홈 > 디렉토리 분류

영조 7년(1731)부터 영조 16년(1741)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0000.4725-20160630.Y1632202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형태사항 크기: 28.5 X 19.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4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영조 7년(1731)부터 영조 16년(1741)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본 청금록은 함창향교에 현전하는 5책 가운데 하나로 영조 7년(1731)부터 영조 16년(1741)까지 7회에 걸쳐 117명이 수록된 청금록이다. 표제에는 청금록으로 되어있고, 본 좌목에는 성명・간지(干支)・본관・관직・개명(改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해 두고 있고 말미에 교임명단이 있다. 모두 7차례 가록(加錄)되어 있으며 중복 없이 매번 새로운 인물이 입록 되어 있다. 이는 양반사족의 명부로 청금록과 동일한 성격의 사족명부인 교안(校案) 처럼 정액(定額)의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입록자 총 117명의 성관비율은 평산신씨 35명・인천채씨 27명・완산이씨 20명・의령남씨 14명・진주류씨 11명・안동권씨 4명・백천조씨 3명・선성이씨 1명・예안이씨 1명・창녕성씨 1명 순이다. 이들 성관은 다른 청금록과 교임록에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 자료는 17세기 이후 함창향교의 인적구성을 파악할 수 있고, 함창 향촌사회 내 사족의 동향과 향교와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韓國의鄕校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鄕校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영조 7년(1731)부터 영조 16년(1741)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자료의 내용
청금록(靑衿錄)은 조선후기 향교에 출입하던 양반사족인 청금유생을 기록한 명부이다. 청금유생은 향교에 출입하였던 양반사족의 명부로서 평민 또는 서얼들로 이루어졌던 교생(校生)과 대비되는 존재들로 교임과 함께 향교를 구성하는 중요한 인적 구성이자 운영 담당자였다. 이러한 교생과 청금유생의 분화, 즉 청금록이 작성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인조년간 교생고강의 실시와 과거응시 자격부여라는 2가지의 요인을 들 수 있다. 현재 함창향교에 현전하는 청금록은 모두 5책이다. 본 자료는 5책 가운데 하나로 영조 7년(1731)부터 영조 16년(1741)까지 7회에 걸쳐 117명이 수록된 청금록이다. 표제에는 청금록으로 되어있고, 본 좌목에는 성명・간지(干支)・본관・관직・개명(改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해 두고 있고 말미에 교임명단이 있다. 모두 7차례 가록(加錄)되어 있으며 중복 없이 매번 새로운 인물이 입록 되어 있다. 이는 양반사족의 명부로 청금록과 동일한 성격의 사족명부인 교안(校案) 처럼 정액(定額)의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첫번째 좌목은 신해(辛亥)(1731) 12월 초4일의 것으로 51명의 입록자 성관(姓貫)을 살펴보면, 평산신씨 14명・인천채씨 12명・완산이씨 10명・의령남씨 7명・진주류씨 4명・안동권씨 3명・백천조씨 1명 순이다. 추록은 3명으로 기재되어 있고, 좌목 말미에는 공사원(公事員) 류(柳)·신(申), 회원(會員) 권(權)·이(李)·신(申)으로 끝을 맺고 있다. 두번째, 세번째 좌목은 임자(壬子)(1732) 8월 초2일의 것과 을묘(乙卯)(1735) 2월 초6일의 것으로 각14명과 1명이 입록되어 있다. 전자의 입록자 성관을 살펴보면, 평산신씨 7명・인천채씨 5명・진주류씨 2명 순이며, 좌목 말미에는 상재(上齋) 신(申)・장의(掌議) 채(蔡)・유사(有司) 남(南)으로 끝을 맺고 있다. 후자는 진주류씨 1명뿐이며, 좌목 말미에는 도유사(都有司) 채(蔡), 장의(掌議) 이(李)・재임(齋任) 남(南)이다. 네번째 좌목은 정사(丁巳)(1737) 9월 21일의 것으로 30명의 입록자 성관을 살펴보면, 완산이씨 9명・인천채씨 7명・평산신씨 7명・백천조씨 2명・안동권씨 1명・창녕성씨 1명 순이다. 좌목 말미에는 회원(會員) 유학(幼學) 이(李)・前正卽 남(南)·생원(生員) 남(南)·이(李)·前군수(郡守) 이(李)·유학(幼學) 신(申)·이(李)·신(申), 도유사(都有司) 신(申), 장의(掌議) 이(李)로 끝을 맺고 있다. 다섯 번째와 여섯번째 좌목은 무오(戊午)(1738) 8월 초6일 것과 경신(庚申)(1740) 6월 16일의 것으로 각10명과 1명이 입록하고 있다. 전자의 입록자 성관을 살펴보면, 평산신씨 4명・진주류씨 3명・의령남씨 2명・선성이씨 1명 순으로 좌목 말미에는 도유사(都有司) 이(李), 장의(掌議) 남(南), 재임(齋任) 류(柳)이다. 후자는 예안이씨 1명 뿐이고, 좌목 말미에는 회원(會員) 신(申)·이(李)·채(蔡)·신(申)·채(蔡)로 끝을 맺고 있다. 일곱번째 좌목은 신유(辛酉)(1741) 정월 15일의 것으로 10명의 입록자 성관을 살펴보면, 평산신씨 3명 인천채씨 2명・의령남씨 2명・진주류씨 2명・완산이씨 1명순 이며, 좌목 말미에는 도유사(都有司) 신(申), 장의(掌議) 성(成), 재임(齋任) 이(李)로 끝을 맺고 있다. 입록자 총 117명의 성관비율은 평산신씨 35명・인천채씨 27명・완산이씨 20명・의령남씨 14명・진주류씨 11명・안동권씨 4명・백천조씨 3명・선성이씨 1명・예안이씨 1명・창녕성씨 1명으로 평산신씨, 인천채씨, 완산이씨 가문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다른 청금록과 교임록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한편 이들 성씨들을 향안과 교안에도 중복 입록자들이 다수가 확인된다. 이러한 사실은 청금록과 향안 및 교안이 독립적으로 작성·운영된 것이 아니라 모두 양반사족의 권위를 상징하는 명부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당시 향교에 출입하였던 청금유생은 향교 운영을 주도했을 뿐 아니라 향안의 운영에도 동시에 참여하였던 함창의 재지사족층 이었다.
자료적 가치
함창향교 청금록은 17세기 이후 함창향교의 인적구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를 통해 당시 청금유생의 입록 뿐 아니라 다른 안(案)과 비교를 통해 함창의 향촌사회 내 사족의 동향과 향교와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韓國의鄕校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鄕校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靑衿錄 時用
權鋏【歸世丁巳】【安東
蔡命亨【泰叟戊午】【仁川
柳章漢【倬爾庚申】【晉州
李允馥【仲郁甲子】【完山
申鎭維【士網甲子】【平山
申鎭岱【李瞻甲子】【平山
柳龜齡【大年甲子】【晉州
蔡徵休【祖應甲子】【仁川
李克謙【子實甲子】【完山
李允杞【汝安乙丑】【完山
申光國【爾及乙丑】【平山
趙守球【叔鳴乙丑】【白川
蔡命弼【輔卿丁卯】【仁川
申鎭周【公輔丁卯】【平山
蔡遇【慶章丁卯】【仁川
蔡晩成【汝達丁卯】【仁川
申鎭九【大仲己巳】【平山
蔡亨運【泰與庚午】【仁川
申光寅【孝光辛未】【平山
申光周【周伯辛未】【平山
申光翼【君輔壬申】【平山
蔡命顯【李明壬申】【仁川
李撝謙【士益壬申】【完山
申鎭元【美仲甲戌】【平山
李允標【汝準甲戌】【完山
申光斗【爾仰乙亥】【平山
南道軾【萬瞻丙子】【宜寧
蔡命千【老與丁丑】【仁川
李允馥【春伯戊寅】【完山
申鎭經【聖能戊寅】【平山
南道轍【聖由戊寅】【宜寧
申鎭運【應休己卯】【平山
南道軒【萬通庚辰】【宜寧
蔡命蓍【應與庚辰】【仁川
南道軿【錫五辛巳】【宜寧
申光儁【英叔辛巳】【平山
南道{車+黃}【君式壬午】【宜寧
蔡命洪【元範壬午】【仁川】【改命洪】
南道輔【濟博壬午】【宜寧
申光顔【若愚癸未】【平山
蔡一成【天用癸未】【仁川
李允{香+集}【瑞郁癸未】【完山
李允馣【李郁甲申】【完山
李允{香+冏}【李郁甲申】【完山
南道輿【士行丙戌】【宜寧
柳祥遇【致伯丁亥】【晉山
李允{香+彧}【時郁戊子】【完山】【改允郁】
柳鵬齡【運卿戊子】【晉山】【改漢齡】

辛亥十二月初四日公事員柳

會員權


追錄
權處紀【君擧辛巳】【花山
蔡景濂【汝周甲申】【仁川
權處綱【公擧庚寅】【花山

辛亥十二月初四日公事員柳

會員權


加錄
申鎭坤【厚卿壬申】【平山
蔡亨夏【羲祥壬申】【仁川
蔡膺祐【天彦丙戌】【仁川
申光朝【舜瑞甲申】【平山
申光僖【孝述乙酉】【平山
申光協【寅甫乙酉】【平山
蔡膺祐【天彦丙戌】【仁川
申保【保卿丙戌】【平山
蔡天成【子元丁亥】【仁川
申光顯【晦之己丑】【平山
蔡大成【聖集庚寅】【仁川
柳以炳【子晦庚寅】【晉州
柳鳳齡【舜瑞辛卯】【晉州
申{亻+集}【汝成丙申】【平山

壬子八月初二日上齋申
掌議蔡
有司南
追錄
柳廷齡【壽伯己巳】【晉州

乙卯二月初六日都有司蔡
掌議李
齋任南
加錄
申光著【用晦丁丑】【平山
申安世【聖任庚辰】【平山
申偕【士範壬午】【平山
李齊杜【士俊癸未】【完山
南道{車+允}【聖通甲申】【宜寧
成漢柱【章伯甲申】【昌寧
申光日【德昇乙酉】【平山
南道輪【仲職丁亥】【宜寧
李允稱【爾郁戊子】【完山
蔡景沈【伯黙戊子】【仁川
蔡命朋【元寶己丑】【仁川
蔡景洛【士源庚寅】【仁川
蔡命五【致九庚寅】【仁川
蔡景淵【仲靜辛卯】【仁川
李齊滂【希范壬辰】【完山
李允文【汝郁壬辰】【完山
蔡膺祥【禎彦癸巳】【仁川
申光迪【惠伯壬辰】【平山
李允{木+賢}【汝華壬辰】【完山
趙浹【悅甫甲午】【白川
蔡命疇【乃九乙未】【仁川
權處維【台擧乙未】【安東
李允埰【汝厚乙未】【完山
李齊綱【叔紀丙申】【完山
李齊沆【希聖乙未】【完山
申光晦【顯之丙申】【平山
南宗憲【以章戊戌】【宜寧】【改晟字明應】
申光緝【敬之庚子】【平山
趙汲【明遇辛丑】【白川
李齊白【次庚辛丑】【完山
丁巳閏九月二十一日會員幼學李
前正卽南
生員南

郡守
幼學申


都有司申
掌議李
加錄
柳祥培【乃厚庚辰】【晉州
申重世【久彦壬午】【平山
柳祥來【未伯癸未】【晉州
蔡命德【聖潤乙酉】【仁川
柳祥彬【汝郁甲午】【晉州
李演【深源己亥】【宣城
南宗敬【伯念庚子】【宜寧
申僄【汝賢庚子】【平山
申倸【仲若丁酉】【平山
申光稷【幼安癸卯】【平山】【改光都子兪】

戊午八月初六日都有司李
掌議南
齋任柳
追錄
南鼎福【饗之甲午】【宜寧

戊午八月初六日都有司李
掌議南
齋任柳
追錄
李萬蕃【茂伯丙寅】【禮安

庚申閏六月十六日會員申




加錄
申光鼎【養吾癸未】【平山
蔡膺裕【永彦丙申】【仁川
蔡景河【應瑞庚子】【仁川
申光胤【祖行庚子】【平山
南宗運【復元庚子】【宜寧
李景祥【雲徵辛丑】【完山
南道輐【完仲壬寅】【宜寧
柳祥星【子文壬寅】【晉州
柳宜時癸卯】【晉州
申健【子强壬寅】【平山

辛酉正月十五日都有司申
掌議成
齋任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