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정해년(丁亥年)·신미년(辛未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영천향교(永川鄕校) 예납안책(例納案冊)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0000.4723-20160630.Y1610413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치부책
작성주체 영천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형태사항 크기: 28 X 21
수량: 20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정해년(丁亥年)·신미년(辛未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영천향교(永川鄕校) 예납안책(例納案冊)
조선후기 정해년(丁亥年)과 신미년(辛未年) 두 해 동안,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소재 영천향교(永川鄕校)가 예납(例納) 받은 각종 물목(物目)과 그 수량 등을 기록해 놓은 장부다.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에는 속사(屬寺)와 각종 점(店)이 있었는데, 속사는 사찰과 암자이며, 점은 각종 물품을 제조해서 예납하는 곳이었다. 이들은 향교에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해 주는 대신, 관(官)에 납부해야 하는 각종 부세(負稅)와 잡역(雜役)을 면제받기도 하였다.
본 ‘예납안책(例納案冊)’에서는 영천향교가 매해 예납 받는 물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납부하는 속사와 점의 존재 양상도 살펴 볼 수 있다. 당시 영천향교은해사(銀海寺)·영지사(靈芝寺)·죽림사(竹林寺)·매곡암(梅谷菴)·봉서암(鳳西菴)·오선암(五仙菴)을 속사로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주로 종이와 채소, 그리고 각종 장류(醬類)를 예납하였다. 또한 자양철점(紫陽鐵店)은 철물을 예곡점(乂谷店)·안현점(雁峴店)·덕성점(德城店)·추곡점(追谷店)·박달점(朴達店)·정점(井店)·임하점(林河店)은 주로 그릇과 항아리 등을 예납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 속사와 각 점이 예납한 물목은 대부분 영천향교에서 거행하는 춘추향례(春秋享禮) 때 소용(所用)되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조선후기 丁亥·辛未年에 慶尙道 永川郡 소재 永川鄕校가 사찰·店 등으로부터 例納 받은 각종 物目과 그 수량 등을 기록해 놓은 장부
자료의 내용
조선후기 慶尙道 永川郡永川鄕校가 例納 받는 각종 物目과 그 수량 등을 기록한 장부다. 丁亥年과 辛未年 두 해의 예납만 기록되어 있는데, 후대 예납 받는 내용이 변경될 경우 해당 사실을 추가 기재해 놓았다. 장부에는 例納處 별로 물목을 구분하였으며, 春秋享禮 때 예납되는 것은 ‘大享時例納定式’에 수록하였다.
정해년 예납 물목은 그해 2월에 작성되었으며, 영천향교 측의 署押이 확인된다. 서두에는 軍旨洑·五味堤·有安·元岩·東南·黃崗·銀海寺·靈芝寺로부터 예납 받는 白紙 및 窓戶紙 등의 물목과 수량을 기재해 놓았다. 이어 ‘大享時例納定式’이 수록되어 있는데, 은해사·영지사·乂谷店·雁峴店·德城店·追谷店·朴達店·井店·五仙菴·오미제·梅谷菴·군지보·林河店이 영천향교에 물목을 예납하였다. 예납하는 물목은 백지·壯紙·曲子·眞末·淸醬·山椒·大接·接匙·火爐 등 향례 때 사용되는 종이와 음식, 그릇 등이다. 사찰과 암자는 주로 종이와 각종 醬, 채소 등을 예납하며, 店은 주로 그릇과 항아리 등을 예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납처가 변경되거나 다른 물건으로 代捧할 경우, 해당 사실이 추가로 부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영지사는 淸醬 5升을 예납해야 되나, 백지 3권을 代捧한 적이 있으며, 乙未年 秋享 때는 돈으로 납부한 사실을 부기하였다. 또한 안현점은 어느 시점부터 大甕 등의 물목을 덕성점과 함께 예납한 것으로 부기되어 있으며, 추곡점과 오선암의 물목도 어느 시점부터 각각 박달점과 오선제가 代納한 것으로 확인된다. 말미에는 예납 물목의 推尋 사실이 기재되어 있다. 鳳西菴영천향교에 종이를 예납하고 있었는데, 전답이 陳廢되어 예납할 수가 없었다. 이에 搜覓한 田庫의 땅을 起墾한 후 4~5년 뒤부터 전과 같이 종이 2속을 推尋하기로 하였다.
신미년 예납 물목은 그해 6월 작성되었으며, 역시 영천향교 齋任의 서압이 확인된다. 서두의 ‘紫陽鐵店鐵例納’에는 자양의 철점이 草刀·菜刀·斧 등의 철물을 예납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어 추곡점이 예납하는 그릇 등의 물목과 수량이 기재되어 있다. 신미년의 ‘大享時例納定式’에 기재되어 있는 예납처로는 은해사·영지사·박달점·오선암·오미제·군지보·유안·원암·동남·황강·덕성점·추곡점이 있다. 이중 덕성점은 물목 대신, 매년 봄과 가을에 돈으로 4냥을 예납하였다. 자료 말미에는 竹林寺·자양철점·오미제·오선암·군지보·황강 측에서 영천향교에 예납하는 물목과 수량이 기재되어 있지만, 자료 후반부가 탈락되어 있어 작성 시기는 확인 할 수 없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확인 할 수 있는 자료다. 조선시대 향교는 경제적 기반 중 하나로 사찰이나 각종 店을 보유하고 있었다. 특히 사찰은 屬寺라 하였는데, 이들은 향교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의 官廳·鄕廳 등의 기관, 그리고 書院에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하였다. 당시 영천향교은해사·영지사·죽림사·매곡암·봉서암·오선암을 속사로 보유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들 속사는 영천향교에 종이나 채소, 그리고 각종 醬類를 예납하였다. 또한 물품을 생산하는 각 店은 철물·그릇·항아리 등의 물목을 예납하였는데, 돈으로 대신 납부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렇게 납부된 물목은 주로 영천향교의 춘추향례 때 所用되었다. 이들 속사와 店은 영천향교에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대신, 官으로부터 각종 負稅와 雜役을 면제 받기도 하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例納▣…
五▣…
五▣…
軍旨洑▣…五味堤二束
有安二束內▣▣
元岩一束
■■東南二束
黃岡一束
銀海寺白紙一束
壯紙四丈
靈芝寺白紙十丈
窓戶四丈
大享時例納定式
銀海寺
白紙壹束
壯紙肆丈
曲子壹▣
眞末壹斗
淸醬壹斗
山椒壹升
葉菜拾塊
靈芝寺
白紙▣▣
壯紙貳丈

曲子壹立
眞末壹斗
土醬壹斗
淸醬壹斗
山椒壹升
葉菜拾塊
白紙拾丈
狀紙壹丈
曲子壹立
土醬伍升
淸醬伍升【白紙三卷代捧乙未秋享時爲此代錢▣▣勿施】
乂谷店
大甕壹坐
大伐壹坐
伐竹貳坐
上尊壹坐
中尊壹坐
太甑壹坐
率■貳坐
沙口壹坐
盆壹坐
小■■壹坐
甁參坐
火爐貳坐
雁峴店【又德城店】
大甕壹坐
大伐壹坐
伐竹貳坐
上尊壹坐
中尊壹坐

大甑壹坐
率牙貳坐
沙口壹坐
盆壹坐
小甕壹坐
甁參坐
火爐貳坐
追谷店【代朴達店】
大甕壹坐
大伐壹坐
伐竹貳坐
上尊壹坐
中尊壹坐
大甑壹坐
率牙貳坐
▣▣壹坐
▣▣▣坐
小甕壹坐
甁參坐
火爐貳坐
井店
廣器伍竹
大接伍竹
甫兒伍竹
■子伍竹
接匙拾伍竹
五仙菴【代五仙堤
白紙貳束【▣…▣】
麻▣伍▣【▣…▣】
草▣…▣
五味堤齋任朴[署押]成[署押]
白紙貳束
梅谷菴

白紙壹束■【起耕人崔順來
軍旨洑
白紙壹束
毛▣洞林河店
廣器伍竹
大接伍竹
甫兒伍竹
鍾子伍竹
接匙伍竹
▣▣
代▣▣命得白紙壹束西峴水庫相▣
柳作白紙貳束西峴田
元岩白紙壹束紙所田
代宗書星得白紙壹束四社稷田
代宗得福三白紙拾丈校墻外田
代元大■■白紙壹束還歸田
還歸鳳西菴員■■戶字卜六卜一勺三斗落只
久爲陳廢空然徵卜故搜覓田庫許耕李卜尙
起墾土四五年後紙二束依前例推尋次
壬辰三月十六日起墾土李定▣▣

丁亥二月日
校[署押]
紫陽鐵店鐵例納
草刀壹柄
菜刀貳柄
▣▣鐵▣
▣鐵三束
▣▣十斤
斧壹柄
追谷店例納
中卄▣▣
▣…

▣▣▣一坐
▣▣一坐
▣一坐
▣▣一坐
甁一坐
卜戶北伏年內四▣本伏除三儒頒代▣▣
僉▣▣▣
以上▣舊▣▣▣▣
大享時例納定式抄出
銀海寺【春秋例納】
白紙壹束
壯紙肆丈
曲子壹立
眞末壹斗
土醬壹斗
淸醬壹斗
葉菜拾塊
山椒壹升
靈芝寺【春秋例納】
白紙拾丈
窓戶紙貳丈
曲子壹立
眞末壹斗
土醬壹斗
淸醬壹斗
山椒壹升
葉菜▣塊
朴達店【春秋例納】
大甕壹坐
小甕壹坐
大伐壹坐
伐竹壹坐

上尊壹坐
中尊壹坐
大甑壹坐
率牙貳坐
沙口壹坐
盆壹坐
甁參坐
火爐貳坐
小尊貳坐
井店
廣器伍竹
大接伍竹
甫牙伍竹
鏡子伍竹【春等例納】
接匙拾伍竹
五仙堤【春秋例納】
白紙貳束【麻鞋各一部式納子齋任】
麻鞋伍部【代錢】
草鞋壹竹
白紙例納【春秋例納】
五味堤貳束
軍旨洑壹束
有安壹束【內東員田】
元巖壹束【田陳】
東南參束
黃崗壹束
德城店代錢
逐年春秋肆兩式
乂谷店【春秋例納】
大甕壹坐
大伐壹坐
伐竹貳坐
上?壹坐

中?壹坐
大甑壹坐
?牙貳坐
沙口壹坐
盆壹坐
小甕壹坐
甁參坐
火爐貳坐
追谷店春秋例納
大甕壹坐
大伐壹坐
伐竹貳坐
上尊壹坐
中尊壹坐
大甑壹坐
?牙貳坐
沙口貳坐
盆壹坐
小甕壹坐
甁參坐
火爐貳坐
辛未六月日齋任朴[署押]
竹林寺代錢伍?【春秋例納】
紫陽鐵店春秋例納
草刀二柄
菜刀二柄
迹鐵三件
片鐵什斤
斧子二柄
白紙例納甲午
五味堤二束五仙堤代錢一兩五?
軍旨洑一束
趙庫子一束
兩西齋十丈
黃崗每年一束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