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세기경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영천향교(永川鄕校) 향교전답안(鄕校田畓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0000.4723-20160630.Y1610412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작성주체 영천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형태사항 크기: 38 X 30
수량: 6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세기경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영천향교(永川鄕校) 향교전답안(鄕校田畓案)
19세기경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영천향교(永川鄕校)가 보유하고 있던 전답의 위치와 규모를 기록해 놓은 전답안(田畓安)이다. 자료의 결락이 많고 연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작성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본문 중에 1831년의 토지매매 명문(明文)과 1850년 3월의 척량기(尺量起)가 첨부되어 있어 19세기 무렵 본 전답안이 작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전답안에 기록된 전답은 우선 면(面) 단위로 구분되어 있으며, 다시 각면(各面)의 평(坪)·원(員)에 따라 전답을 분류해 놓았다. 전답은 일반적인 양안(量案)의 기재방식을 따르고 있다. 해당 전답은 가장 상단에 자호(字號)와 지번(地番)을 기재하였고, 이어 양전방향(量田方向), 토지등급(土地等級), 지형(地形), 두락수(斗落數), 동서장·남북광척수(東西長·南北廣尺數), 결부수(結負數), 사표(四標), 기주(起主)가 차례대로 있으나, 두락수·사표·기주 등은 생략해 놓은 것도 많다.
본 전답안에서는 영천향교의 전답이 관내 각면과 인근 하양현(河陽縣)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결락된 것을 제외하고도 최소 10결(結) 19부(負) 이상을 보유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특히 산상평(山上坪)에만 4결(結) 57부(負) 이상의 전답이 집중되어 있다. 조선후기 법전인 『속대전(續大典)』에 따르면, 정부는 지방 교육의 진작을 위해 군현(郡縣)의 크기를 감안하여 학전(學田)을 지급하였다. 이에 따라 군에 소재한 영천향교는 5결의 학전을 지급받아야 했으나, 19세기 동안 그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다. 실제 조선후기 향교는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학전의 규모보다 많은 학전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천향교도 증식을 통해 19세기 동안 10결이 넘는 전답을 보유하며, 이를 향교 운영에 충당하였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세기경 慶尙道 永川郡 永川鄕校의 보유 전답을 기록해 놓은 장부
자료의 내용
慶尙道 永川郡 永川鄕校가 보유하고 있는 전답의 위치와 結負數 등을 기록해 놓은 田畓案이다. 자료에 결락이 많으며 작성 연도는 표기되어 있지 않다. 다만 본문 중 ‘道光 11년(1831) 明文’과 ‘庚戌(1850) 三月 日 原谷坪校位尺量記’가 첨부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9세기경 영천향교의 전답 규모를 기록해 놓은 자료로 추정된다.
전답안에 기록된 전답은 먼저 面 단위로 분류해 놓았으며, 이어 面 내 각 坪·員별로 분류하여 위치와 규모를 기재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답의 가장 상단에는 字號와 地番을 기재해 놓았고, 이어 量田方向을 ‘北犯·南犯·西犯·東犯’으로 구분해 놓았다. 그 아래의 토지등급은 1~6等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본 전답안에서 6등 전답은 확인되지 않는다. 地形은 ‘方·直·梯·圭’로 구분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斗落數, 東西長·南北廣尺數, 결부수가 차례로 기재되어 있는데, 결부수를 먼저 기재한 부분도 있다. 결부수 아래에는 四標를 기재하였지만 생략한 지역도 확인된다. 가장 아래에는 起主를 표기하였으며, 전답안 작성 이후 賣買가 이루어질 경우 해당 사실을 세주로 부기해 놓았다.
전답안 본문 중에는 ‘道光 11년 明文’과 ‘庚戌 三月 日 原谷坪校位尺量記’가 첨부되어 있다. 이중 ‘道光 11년 明文’은 1831년 4월 초3일 鄕校 庫子가 南坪에 소재한 12負 8束의 畓, 그리고 金堯員에 소재한 9負 5束의 畓을 安의 奴 龍乭에게 錢文 120냥을 주고 매입했다는 내용을 수록해 놓았다. ‘庚戌 三月 日 原谷坪校位尺量記’는 原谷坪에 소재한 향교 전답을 尺量한 기록이다. 전체 전답이 79負 6束이며 이중 62負 1束이 時耕校位라고 표기되어 있다. 尺量 기록 말미에는 永川郡守의 着官과 署押이 확인되는데, 이때 척량을 담당한 摘奸色吏 李宜根의 성명도 함께 기재해 놓았다.
본 전답안에서 확인되는 영천향교의 전답 규모는 결락된 부분이 많아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庚戌 三月 日 原谷坪校位尺量記의 79負 6束을 포함한다면 최소 10結 19負 이상으로 나타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山上坪에 가장 많은 전답이 분포하고 있다. 결락으로 누락된 것을 제외하고도 4結 57負 1束의 전답이 확인된다. 그 외 분포지가 확인되는 것만 나열해도 北習面 應山員·冠方員·山下坪에 모두 19負 1束의 전답이 있으며, 鳳西面 下三日坪에 1結 4負 4束, 鳳上面 牛我堤坪·巨余坪·乂谷坪·玉浦坪에 39負 8束 이상, 內西面에 2負 7束, 朱南上馬畓員·金老里員·禾里方員·易只員·江三員에 89負 1束, 朱下 新堤員·五?里員·赤旨坪·阿川坪에 70負, 還歸面城西員 등지에 49負 3束, 河陽縣赤里坪·內東坪·大乃前坪·客岩坪·鳥山坪 등지에 86負 3束 이상인 것으로 나타난다.
起主는 校位로 기재된 것이 대부분이며, 그 외 菜婢·齋直·別庫·掌務下典·殿直이 있는데, 起主가 생략된 것도 다수다. 전답을 移買할 경우 해당 사실을 부기하였다. 예를 들어 山上坪 鳳十七의 田 7負 6束은 斥賣해서 朱七의 전답을 매입했다고 한다. 또한 下日三坪 騰八十六의 田畓 6負와 八十七의 전답 16負는 永買해서 乂谷의 전답을 매입했다는 사실, 城西員에 1負의 전답을 매입해 植木한 사실, 하양현 赤里坪 宅十九의 전답 6負를 팔아 冠方坪의 畓을 매입한 사실, 赤里坪 宅十烏의 전답은 흉년으로 無稅地라는 사실 등이 부기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으로는 鄕校田, 奴婢, 官의 보조, 儒錢, 願納錢, 校村, 校保, 免講帖, 屬寺, 店人의 貢納 등이 있었다. 이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경제적 기반은 향교전과 노비였으며, 조선후기로 갈수록 향교전의 비중이 높아졌다. 향교전은 學田이라 하여 학문 진작을 위해, 국가에서 郡縣의 크기에 따라 일정량을 향교마다 지급해 주었다. 조선후기 법전인 『續大典』에는 郡의 경우 5結의 학전을 지급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실제로 각 향교는 안정적인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전답을 증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경상도 영천군영천향교도 郡의 규모이기 때문에 5결의 학전을 지급받았으나, 이와는 별개로 영천군과 인근 하양현에 10결이 넘는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전답 경작 방법은 명확하지 않으나, 起主가 校位로 명기된 것은 향교가 농민들에게 소작을 놓은 전답으로 생각되며, 菜婢·齋直·別庫·掌務下典·殿直으로 분류된 것은 해당 校隸가 직접 경작하거나 그곳의 운영비용으로 집행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鄕校田畓案
山上坪
率四十六西犯三等直畓二十廣【東長八十尺廣七十三尺】四十負
四十七北犯三等直畓十庚四斗落【東長五十尺廣四十九尺】八負六束【東險不西南同位北丁立去】
賓四十二南犯三等直畓三十三庚三斗落【東長六十尺廣四十尺】十六負八束【東險金三方右哲】
歸九西犯五等直畓八庚一斗五升落一負二束【南長二十▣…▣】▣…▣【東險南▣令▣▣▣▣▣】
十三西犯二等畓直六庚四斗落【▣…▣】七負一束【▣…▣】
十四西犯二等直畓六十二庚十九斗落【東長▣▣廣百十五尺】一結二十五負一束【南▣▣西坐二方同位】
十五東犯三等直畓十七庚三斗落【東長一百五十尺廣十七尺】十七負八束【▣…▣】
十七西犯四等直畓十庚三斗落【東長九十一尺廣二十五尺】十三負五束【三▣…▣】
十八五等直田【東長七十尺廣四十▣尺】十一▣▣▣【三▣▣位西▣▣】
二十二北犯▣…▣
鳴百八北犯五等直畓二十四庚三斗落【東長四十尺廣三十一尺】五負【東▣南▣西▣▣▣▣】起上同
百九北犯五等直田四斗落【東長四十尺廣二十八尺】四負五束【二方渠西坐南同位】起上同
百十北犯一等直田八負九束【南長三十八尺廣二十四尺】六斗落【東坐北同位二方山】起上同
俠田二斗落
鳳二東犯圭田四斗落【南長六十尺活四十二尺】六負九束【東渠西右奉南同位北自出】起上同
十七南渠越五等直田二斗落【東長三十尺廣十七尺】二負【東山西▣二方渠】起上同
推覓後永三十七東犯五等圭田七斗落【東長九十尺活四十二尺】七負六束【後▣畓▣▣東▣奉北二方渠】斥賣移買朱七
四十五南犯三等梯畓卄三庚三斗落【東長五十八尺大?尺小十二尺】八負五束【東自金南介位西自出地坐】起上同

四十八東犯五等直田【南長四十尺廣十一尺】一負八束【二方渠北同位西介位】【後作畓三斗落】起上同
四十九北犯三等直田【南長三十六尺廣十一尺】二負八束【二方渠西▣▣南同位】起上同
百二北道越三等直田八庚【南八十八尺廣三十七尺】五斗落二十二負八束【▣戒好南道二方坐】起上同
在四十五東犯三等直畓十庚【南長八十尺廣三十三尺】七斗落九負二束【東道西坐南▣出▣位七】起上同
五十五南犯三等直畓十八庚【東長九十六尺廣四十六尺】十斗落三十負九束【東丁▣地▣貴南坐西守淡】起上同
二十九東犯三等直畓十八庚【東長百五尺廣二十七尺】六斗落十九負八束【東西南渠二方道】起上同
三十東坐越三等直畓三庚【東長八十八尺廣十五尺】九負二束【東道西坐】起上同
樹四十三北犯二等直畓十八夜【東長九十二尺廣三十五尺】二十八負六束【二方坐二方戒好】起上同
五十東犯三等梯畓八夜【東長六十五尺大二八十五小六尺】十六負一束三斗落【東自祀西▣貴南渠北坐】起上同
五十三東犯三等直畓四夜【東長五十六尺廣卄▣尺】十一負六束四斗落【東同位西自祀二方坐】起上同
五十七東犯二等圭畓十三夜【南長四十九尺廣四十二尺】九負四束【三▣▣▣】四斗落起上同
五十八西犯三等圭畓三夜【南長四十尺活二十七尺】四負二束【二方坐】三斗落起上同 坐越二夜
五十九三等圭畓十二夜【南長六十八尺廣六十八尺】十六負二束【二方▣位南貴暹北述】起上同
北習本坪應山員
鳥六十九南犯三等直畓二夜【南長五十五尺廣卄▣尺】七負二束【東正▣▣有西▣▣】二斗落起上同
北習冠方員
裳六十西越一等圭畓一夜【同長?五尺廣卄尺】四負二束【東坐三方】一斗落起上同
山下坪
知四十四東犯二等直畓二夜【東長四十二尺廣二十二尺】七負八束【東一百西一百西渠北石松】三斗落內起上同
四十五東犯二等圭畓一夜【東長二十五尺廣十六尺】一斗落別庫

鳳西下三日坪
騰八十六南犯一等直畓二夜【南長四十五尺廣十四尺】六負【二方之學南▣▣東同位】五斗落坪起上同【永賣移買乂谷
八十七一等直畓六夜【南長五十七尺廣卄八尺】十六負【北之學南哲明東同位西▣】
爲三十南犯一等直畓一夜【南長四十二尺廣十七尺】七負一束【東同位西北學南渠▣▣女】二斗落起上同
三十一東犯一等直畓二夜【南長?六尺廣十七尺】六負一束【東正男西同位南渠北▣女】
生卄四南犯五等直畓【東長六十一尺廣三十六尺】八負八束【東北▣南山西江▣▣坐】六夜三斗落起上同
二十五西犯五等直畓【東長三十尺廣二十五尺】三負【東北學▣先二方山】陳
黃四十五東犯三等直畓二夜【東長五十四尺廣卄尺】七負六束【東坐南大先二方柳▣】二斗落起上同
寒八西犯二等直畓四夜四斗落二十一負四束起上同
宇五西犯三等直畓二夜三斗落十負九束起上同
洪四西犯三等直畓二十六負二束
六四負五束十三斗落起上同
八八負七束
知三十一四夜八負五束二斗落起上同
鳳上牛我堤坪
仰■三十四南犯三等直畓二夜三斗落五負三束〔十二負六束〕起上同
也四十七北犯四等直畓一夜三斗落八負六束起上同
巨余坪
竝三十二北犯二等直畓一夜【東長六十五尺廣二十九尺】十六負【二方坐南玉南北次奉▣】四斗落起上同
盈四十三十一負五束三庚五斗落
朗四十二十八負六束二庚五斗落

乂谷坪
時十一南犯二等直畓四夜【東長四十尺廣二十尺】八負二束【東正▣西貴▣▣巨▣▣具】二斗落起上同
十二南犯二等直畓一夜【東長二十八尺廣五尺】一負二束【東正▣西巨▣▣▣▣▣▣】
?四十四南犯五等直畓五夜【廣五十尺】十五負二束五斗落起上同
魚五十一西犯五等四夜【東長八三尺廣二十四尺】八負【東屢伊西▣南山北同位】【▣…▣】
五十二北犯五等反直畓【東長五十九尺廣十三尺】三負一束【東屢伊西戒▣南北同位】四斗落【▣…▣】起上同
五十三西犯五等直田【東長十七尺】■一負東同位西戒奉【▣…▣】
俠三斗落
玉浦坪大自堤下員
庚戌三月日原谷坪校位田尺量記
戶字八十田壹負柒束
八十壹田壹負陸束【浦落】
八十貳田玖束
八十三二等直田【南北長參拾捌尺東西廣捌尺】貳負陸束
八十四二等直田【東西長陸拾尺南北廣陸拾伍尺】貳拾貳負玖束
八十五二等直田【壹負柒束】【浦落】
八十六二等直田【東西長玖尺南北廣貳拾伍尺】拾玖負壹束
八十七四等直田【陸負捌束】【浦落】
八十八二等梯畓【南北長肆拾尺大頭貳拾玖尺小頭拾尺】陸負伍束
八十九二等直畓【南北長參拾捌尺東西廣伍尺】壹負陸束

九十四等直畓貳負柒束【浦落】
九十一四等直畓貳負壹束
九十二四等直畓【東西長肆拾參尺南北廣肆拾尺】玖負肆束
以上柒拾玖負陸束內
陸拾貳負壹束時耕校位
摘奸色吏李宜根
[着官][署押]
懸三十三北犯二等【直畓五夜東長】七十八尺廣二十六尺十七負二束【東山西坐▣德伊北世▣】五斗落起上同
各八十二北四等直田【南長三十三尺廣五尺】九束【三方同位東渠】浦落
八十三西二等直田【南長三十八尺廣八尺】二負六束【三方同位北渠】
八十四二等直田【南長九十尺廣五十三尺】四十三負六束【三方同位南▣地】二十一負一束浦落
八十五二等直田【南長五十尺廣四尺】一負七束【二方渠二方同位】
八十七西犯四等直田【南長六十二尺廣二十尺】六負八束【四方同位】推卜地稅
八十八南二等直畓三夜【南長七十一尺廣十六尺】九負六束【三方同位南更?地】
九十一東堰下四等直田【南長三十二尺廣十二尺】二負一束【東渠北坐二方同位】
九十二西四等直田【東長六十尺廣?七尺】十二負二束【二方同位西方▣地】內【十一卜下二之】
內西淸通
官三十北犯一等直田【東長十九尺廣十四尺】二負七束【二方川西末叱卜▣付昌】起上同

朱南上馬畓員
歲三十三北二等直田二夜【東長七十五尺廣三十尺】十九負一束【▣…▣】
金老里員
生二十四北一等直畓三夜【東長三十五尺廣三十尺】十負五束【東仁切西丁▣南仁▣▣坐】三斗落
禾里方員
麗五十三東三等直畓一夜【東西方▣▣堤二方民業】四負一束【南長四十七尺廣十四尺】五斗落菜婢私
水五十七南坐越一等直畓二夜【南長八十一尺廣十四尺】十一負五束【二方月石北坐南九成】
易只員
崗三十三西二等直田一夜【南長五十四尺廣十五尺】六負九束【東▣石西木得南時昌▣▣史】三斗落齋直私
江三員
海一西犯二等直畓三夜【南長九十八尺廣二十尺】十六負七束【東天男南坐北仁夏西坐渠】六斗落校位
律二十八東二等直畓二夜十九負九束七斗落校位
五十八三等直畓二夜十負四束三斗落上冬
道光十一年辛卯四月初三日鄕校庫子
學奴前明文
右明文事完宅以要用所致傳來畓朱
南坪【冬十四畓九十六之▣▣▣一卞回字?四之十二負八束】六斗落金堯員麗字
卄三之畓九卜五之三斗落拜九斗落二庚畓庫乙儒
幼錢文壹百貳兩依數奉上是遣右人

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雜談上向
以此文憑考事
畓主安奴龍乭[署押]
證筆楊奴直心[署押]
地五十八一夜十八負五束六斗落畓下典私
水八東犯三等梯畓夜四七負三斗落
朱下三歸員歸十畓十一畓十二畓十負四夜三斗落起上同
邇六十五南犯三等直畓二夜【南長四十五尺廣二十五尺】七負九束【二方坐二方分今】二斗落
壹三十六西犯三等直畓三夜【南長六十三尺廣二十八尺】十二負三束【東成男南應先西先萬北坐】三斗落起上同
朱下新堤員
乃七十五七夜十七負五束四斗落起上同
五?里員
賓五十五【南犯四等】二夜【南長四十尺廣十尺】二負七束【二方道北申同西同位】三斗落食▣私
五十六西犯三等直畓二夜【南長三十尺廣十三尺】二負二束【東同位▣東▣西時屎北江▣】
內東赤旨坪
鳳四十七東犯三等直畓九夜【東長六十九尺廣▣十二尺】十五負四束【東自▣▣▣西渠▣▣▣】五斗落
四十九東犯直畓二夜【東▣四▣尺廣三尺】七束【東▣先▣坐西▣▣▣▣】▣…
鳴七十畓四夜八負三束四斗落起上同
樹?二畓三夜三負五束二斗落起上同
?三畓二負
靡六十四六犯直畓二夜【東長五十一尺】二負八束三斗落起上同

談十一南犯三等直畓一夜【東長五十四尺廣二十六尺】九負八束【東世昌北世▣奉千黃西以大】三斗落掌務下典私
良十九西犯三等直畓三夜十五負一束三斗落殿直私
卄北犯三等圭畓一夜【東長五十三尺廣十三尺】二負四束【二方時▣西▣宗奉用位】三斗落殿直私
阿川坪
主卄五東犯二等直畓一夜七負六束三斗落起校位
還歸下▣崗坪
武卄七田十三負四束五斗落推卜【起地稅春秋▣白紙▣式畦耕龍牙】
城西員
賴二十一東犯二等直田【南長六十尺▣▣▣▣尺】七負六束【東二決北道氷庫基西▣▣▣】五斗落時耕▣▣査▣▣】
方七十九東犯三等直田【南長二十尺廣九尺】一負三束【東▣▣同位西北社稷坪】一斗落【時耕耕白地稅春秋白▣一▣式】
七十八北道越三等直田【東長二十六尺廣八尺】一負四束【東西▣南社稷坪北同位】一斗落
八十北犯三等直田【南長二十八尺廣十六尺】三負一束【東山二方城南社稷】二斗落
盆八東犯一等直田【南長一百七十七尺廣五十八尺】一伏二負七束【東七▣田西乭石南同位渠山】校基
九南犯一等直田【東長二十尺廣十四尺】二負八束【東道南▣▣西▣▣北校位】上同
■■二十二東犯一等直田【東長四十七尺廣二十二尺】十二負七束【東江▣二方▣南少渠】上同
內一負一斗落只北火田一斗落壬午秋買入植本
二十九北犯二等圭田【東長三十八尺廣十七尺】二負七束【二方▣北▣西渠】火私時石▣
?■■犯二等直田【南長二十三尺廣十四尺】二負■三束【東渠西▣▣▣北▣▣▣▣】火私時▣▣▣▣
?一北犯二等直田二負七束時耕鄭乭▣
?九東渠越二等直田一負二束【三方▣北▣▣】時耕■■■
▣六十六南犯四等直田【▣…▣】五負四束【▣…▣】五斗落▣…
身四十六犯二等直田五負【▣…▣】▣…
▣…

河陽赤里坪
宅北犯三等直【畓東長四十七尺廣三十五尺】十一負【五束東山二方坐北春玉】【三斗落三夜起授▣】
十五東犯四等梯【田南長五十七尺大四十一尺少十尺】八負【三方小西坐】【此田與畓素以奉畓每年▣荒幾至土無稅▣▣▣▣】
十六北犯四等圭【田南長四十尺活三十尺】三負【五束東山二方入日北坐】【十斗落起▣▣▣】
十九北犯四等直【田南長石二十五尺廣十尺】六負【九束二方山二方世▣】【賣捧價三十兩授買▣北冠方坪衣字畓三斗落】
京九十四畓四負四束
九十六畓六負一束【五庚】
九十七畓三負三束【五庚味五斗落推卜】
九十八畓三負九束
向字內東坪於宮員卄田二負卄一田玖負捌束八斗落【地稅每年春秋白紙貳束式受用】
大乃前坪
投六十七畓二負四束
六十九畓六負七束七庚五斗落推卜▣▣
客岩坪
交四十五畓十一卜一束
四十七畓一卜一束【三庚六斗落內二斗落浦落在四斗落山牙落浦落甲▣在三斗牙落】
五十二畓
五己夜味
須十九畓一庚
卄畓一庚十斗落推卜
永卄畓一庚六斗落
鳥山坪
初?二畓▣九卜三庚三斗落推卜
巨舍坪新洑員

▣四十三畓十一卜五束三庚五斗落
朗四十二畓四十八卜六束二庚五斗落
朱南下五▣坪
八十一畓三卜賣一庚二斗落
朱下槐堤坪
報六十五畓五卜
六十六畓三卜七束
六十七畓■卜四束
六十八畓一卜八束合八庚五斗落
六十九畓十九卜
七十二畓五卜三束
裳卄三畓四卜五束
四十九畓十二卜一束三庚四斗落
五十畓二卜九束
本校▣番公久敗?故▣▣▣▣改爲修正而節糠之紙數丈不足故以片▣
?幾錢之當未▣之田事後之人與我同志者嗣而▣之▣▣▣之▣
▣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