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4년 2월 1일 경주(慶州) 지역 8개 문중 수급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F.1864.4713-20160630.Y165010825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고
작성주체 옥산서원, 현곡 서씨문중 등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작성시기 1864
형태사항 크기: 30.5 X 48.5
판본: 고문서
장정: 낱장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안내정보

1864년 2월 1일 경주(慶州) 지역 8개 문중 수급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1864년 2월 초1일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소재 옥산서원(玉山書院)경주 소재 8개 문중에 발급한 회문(回文)이다. 회문은 문중·기관 등이 각종 의례·행사·회의 개최 등의 사실을 향내(鄕內)의 다른 문중이나 유관 기관에 통보하기 위해 발급하는 문서를 뜻한다. 옥산서원 측은 본 회문에서 1864년 2월 16일 중정일(中丁日)에 향례(享禮)를 개최한다고 간략히 통보해 놓았다. 본 회문을 비롯해 옥산서원에 전해지는 회문의 수·발급 양상은 옥산서원의 사회적 기반을 짐작 할 수 있게 해준다.
『옥산서원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64년 2월 1일 慶尙道 慶州府 玉山書院경주 지역 내 8개 門中에 享禮 일자를 통보하기 위하여 발급한 回文
자료의 내용
1864년 2월 초1일 慶尙道 慶州府 소재 玉山書院에서 享禮 일자 통보를 위해, 경주 지역 8개 門中에 발급한 回文이다. 회문은 문중·기관 등이 각종 의례·행사·회의 개최 등의 사실을 주로 鄕內에 소재한 문중 또는 유관 기관에 통보하기 위해 발급한 문서를 지칭한다.
본 회문에서 옥산서원 측은 本院의 享禮가 1864년 2월 16일 개최되니, 僉尊께서 기일에 맞추어 속히 방문해 주기를 간략히 요청해 놓았다. 여기서 2월 16일은 中丁日에 해당되는 날이다. 발급 담당자는 옥산서원 齋任 李로, 다른 회문과는 달리 성명 아래에 署押을 기재해 놓지 않았다. 李는 옥산서원 재임 李能河로 추정된다. 일자 다음에는 회문이 돌려진 8개 문중이 나열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峴谷의 徐氏 문중, 佳岩의 崔氏 문중, 新里의 李氏 문중, 蘇亭의 李氏 문중, 南山의 任氏 문중, 普門의 南氏 문중, 花谷溪의 柳氏 문중, 排盤의 崔氏 문중이 본 회문을 발급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옥산서원의 사회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현재 옥산서원에는 여러 편의 회문이 전해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회문이 향례 개최 일자를 통보하기 위해 발급된 것이다. 여기에는 경주 지역을 대표하는 여러 문중이 발급처로 기재되어 있다. 옥산서원 향례에는 배향자의 후손인 驪州李氏 일문을 비롯하여, 경주 지역을 대표하는 재지사족 가문들이 다수 참여하였던 것이다. 이는 조선시대 이래 옥산서원경주 지역의 鄕論을 주도하던 서원이었음을 짐작 할 수 있게 해준다.
『옥산서원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回文
右回諭事本院享禮以今
十六日征行望須
僉尊濟濟來賁臨以爲將事
之地千萬幸甚
甲子二月初一日玉山書院
齋任李
峴谷徐氏門中
佳岩崔氏門中
新里李氏門中
蘇亭李氏門中
南山任氏門中
普門南氏門中
花谷溪柳氏門中
排盤崔氏門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