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80년 간행 『영천향교교지(永川鄕校校誌)』 수록 1611~1712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향안(鄕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980.4723-20150630.Y1510405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작성주체 영천군 향청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작성시기 1980
형태사항 크기: 26 X 18
수량: 75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80년 간행 『영천향교교지(永川鄕校校誌)』 수록 1611~1712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향안(鄕案)
1980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의 영천향교교지편찬위원회(永川鄕校校誌編纂委員會)에서 편찬한 『영천향교교지(永川鄕校校誌)』 수록 조선시대 경상도(慶尙道) 영천군의 향안(鄕案)이다. 해당 자료는 1611년부터 1712년까지 영천군에서 작성한 향안 11편 중 당시까지 전해지고 있던 9편의 향안을 수록해 놓았다. 향안은 조선시대 지방자치행정기구인 유향소(留鄕所) 또는 향청(鄕廳)의 구성원 명부로 지방 여론을 주도하던 유력한 재지사족들이 입록되었으며, 그들은 향안을 배타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재지사족 주도의 향촌지배질서 유지를 도모해 나갔던 것이다. 따라서 본 자료에 수록된 입록자의 성분을 통해 17~18세기 영천군 지역의 향권(鄕權)을 주도했던 재지사족 가문을 살펴 볼 수 있다.
실전(失傳) 된 2편을 제외하고 9편의 향안 입록자 중에서 중복 인원을 뺀 총 입록자는 24개 성씨 631명이다. 이들 가운데 많은 입록자를 배출한 성씨와 인원을 살펴보면 이씨(李氏) 134명, 정씨(鄭氏) 123명, 김씨(金氏) 60명, 서씨(徐氏) 46명, 성씨(成氏) 40명, 조씨(曹氏) 32명, 손씨(孫氏)·최씨(崔氏) 각 31명, 박씨(朴氏) 29명, 권씨(權氏) 19명 등으로 나타난다. 그 외에도 윤씨(尹氏)·조씨(趙氏)·전씨(全氏)·류씨(柳氏)·안씨(安氏)·노씨(盧氏) 등이 입록자를 배출하고 있다. 이들의 성관(姓貫)을 살펴보면 영일정씨(迎日鄭氏)의 비중이 가장 높아 17세기 이후 영천군 지역을 대표하는 재지사족 가문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창녕조씨(昌寧成氏)·창녕조씨(昌寧曹氏)·영천최씨(永川崔氏)·대구서씨(大邱徐氏)·일직손씨(一直孫氏)·밀양박씨(密陽朴氏)·안동권씨(安東權氏)·벽진이씨(碧珍李氏)·영천이씨(永川李氏)·경주김씨(慶州金氏) 가문의 영향력도 컸음이 확인된다.
『永川鄕校校誌』, 永川鄕校校誌編纂委員會, 198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朝鮮時代 鄕約硏究」, 申正熙,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611년부터 1712년까지의 慶尙道 永川郡 역대 鄕案을 엮어 1980년 간행 『永川鄕校校誌』에 수록한 자료
鄕案僉知李汝起 永川鄕校校誌
자료의 내용
1611년부터 1712년까지 慶尙道 永川郡에서 작성된 여러 鄕案을 함께 엮어 놓은 자료로, 1980慶尙北道 永川郡의 永川鄕校校誌編纂委員會에서 편찬한 『永川鄕校校誌』에 수록되어 있다. 자료 서두의 ‘鄕案’이라는 제목 아래에는 세주로 모두 11號에 달하는 향안이 전해지고 있었으나 3호와 11호는 失傳되었음을 부기해 놓았다. 따라서 본 자료에서는 1~2호, 3~10호 향안만 확인할 수 있다. 향안은 10호 향안을 제외하고 모두 연대순으로 수록하였으며, 향안에 등재된 鄕員은 기본적으로 성명과 字, 관직·직역·병종 등이 표시되어 있는데, 4호 향안부터는 출생 干支도 기재해 놓았다. 한편, 『永川鄕校校誌』에 수록된 ‘향안’의 저본인 1~2호 향안과 3~10호 향안의 원본은 별도로 확인되지 않는다. 각 향안을 통해 등재자의 사회적 위치, 성씨의 분포와 추이 등을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1호 향안은 1611년 9월 12일에 작성된 것이다. 모두 18개 성씨 90명을 수록하였는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李氏 24명, 金氏 14명, 鄭氏·崔氏 각 9명, 曹氏 7명, 孫氏 4명, 柳氏·朴氏 각 3명, 盧氏·趙氏 각 2명, 郭氏·權氏·成氏·安氏·尹氏·田氏·河氏 각 1명 순이다. 관직·직역·병종별로 구분하면 幼學이 34명으로 가장 많으나 府使·縣監·師傳·宣傳官·直長·察訪·參奉··訓導·奉事 등의 관직 역임자가 54명에 달하며, 生員도 2명 수록되어 있다.
2호 향안은 1615년 2월 13일에 작성된 것으로 16개 성씨 95명을 수록하였는데, 1호 향안에 수록된 인물 상당수가 확인된다. 성씨별로는 李氏 21명, 金氏·鄭氏 각 15명, 崔氏 10명, 曹氏 6명, 朴氏·孫氏 5명, 柳氏·徐氏·成氏 각 3명, 盧氏·尹氏·趙氏 각 2명, 郭氏·安氏·河氏 각 1명 순이다. 입록자의 성분은 유학이 38명으로 가장 높으나, 생원·進士가 5명, 都事·萬戶를 비롯한 기타 관직 역임자가 51명으로 나타난다. 忠順衛라는 병종으로 입록된 자도 1명이다.
3호 향안은 遺失되어 수록하지 않았으며, 뒤 이어 1635년에 重修한 4호 향안이 수록되어 있다. 역시 1~2호 향안과 중복되는 인물이 확인된다. 모두 18개 성씨 101명을 수록하였는데, 성씨별로는 李氏 27명, 鄭氏 16명, 金氏 13명, 崔氏 9명, 徐氏·孫氏 각 6명, 朴氏 5명, 成氏 4명, 曹氏 3명, 盧氏·柳氏·趙氏 각 2명, 郭氏·權氏·安氏·尹氏·田氏·韓氏 각 1명 순이다. 관직·직역별 분포에서는 監察·博士·典籍·부사·郡守 등 내외직 역임자가 다수 확인되지만, 유학이 61명으로 전체 입록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외 司果와 같은 西班 遞兒職이나, 충순위와 같은 병종을 기입한 인물도 확인된다.
5호 향안은 1640년에 중수한 것이다. 19개 성씨 141명을 수록하였는데, 李氏 29명, 鄭氏 25명, 金氏 19명, 崔氏 11명, 徐氏 10명, 朴氏·成氏 각 7명, 孫氏 6명, 曹氏 5명, 尹氏·趙氏 각 4명, 田氏 3명, 權氏·柳氏·全氏·韓氏 각 2명, 郭氏·盧氏·安氏 각 1명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1~4호 향안과 비교해 鄭氏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이 나타난다. 관직·직역별로는 유학이 104명에 이르러 전체 입록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에 비해 관직 역임자나 생원·진사의 비중은 이전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6호 향안은 세 편의 座目으로 이루어져 있다. 1665년 10월 20일에 작성된 첫 번째 좌목에 125명, 1670년 10월 23일 두 번째 좌목에 28명, 1670년 10월 24일 세 번째 좌목에 11명을 수록해 놓았다. 이중 두 번째와 세 번째 좌목은 1665년에 작성된 향안의 追錄 좌목으로 생각된다. 수록 인원은 21개 성씨 164명인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鄭氏 40명, 李氏 26명, 成氏 15명, 金氏 11명, 徐氏 10명, 權氏·朴氏·曹氏 각 9명, 孫氏 7명, 崔氏 5명, 尹氏 4명, 郭氏·安氏·全氏 각 3명, 柳氏·趙氏·韓氏·黃氏 각 2명, 楊氏·田氏 각 1명 순으로, 鄭氏가 처음으로 가장 많은 수를 등록시키고 있다. 관직·직역 중 유학은 143명으로 8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생원·진사를 비롯해 도사·참봉 등 소수의 관직 역임자가 있지만, 이전처럼 비중 있는 내외 관직 역임자는 없다. 또 다른 특징은 매 좌목 말미에 都約正·座首·副約正·直月과 같은 鄕任 및 約任이 함께 기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7호 향안은 1673년에 작성된 두 편의 좌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좌목은 1673년 1월 26일의 것으로 95명을 수록하였으며, 두 번째 좌목은 같은 해 9월 20일의 것으로 14명을 수록해 놓았는데, 첫 번째 좌목의 추록으로 생각된다. 모두 17개 성씨 109명을 수록하였으며, 성씨별로는 鄭氏 31명, 李氏 20명, 金氏 8명, 徐氏·成氏 각 7명, 曹氏 6명, 朴氏 5명, 權氏·孫氏 각 4명, 尹氏·全氏·崔氏 각 3명, 柳氏·安氏·楊氏 각 2명, 趙氏·韓氏 각 1명 순이다. 관직·직역별로는 유학이 96명이며, 그 외 생원·진사·참봉·同知·出身 등이 있다. 특이할 점은 문과 급제자가 1명 있는데, 직역 자리에 ‘及第’라고 기재해 놓아 과거 급제자의 입록 비중이 희소해졌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역시 각 좌목 말미에는 향임과 약임을 기재해 놓았다.
8호 향안은 네 편의 좌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좌목은 1677년 5월 2일의 것으로 148명을 수록하였다. 이하 좌목은 첫 번째 좌목의 추록으로 생각되는데, 두 번째 좌목은 1678년 윤3월 15일의 것으로 14명, 세 번째 좌목은 1680년 11월 15일의 것으로 9명, 네 번째 좌목은 1686년 12월 10일의 것으로 2명을 수록해 놓았다. 모두 16개 성씨 173명이 확인되는데, 성씨별로 나열하면 鄭氏 42명, 李氏 31명, 金氏 18명, 孫氏 14명, 成氏 11명, 徐氏·曹氏 각 10명, 朴氏 9명, 全氏 6명, 權氏·崔氏 각 5명, 安氏 4명, 尹氏 3명, 柳氏·楊氏 각 2명, 趙氏 1명 순이다. 관직·직역별로는 유학이 가장 다수인 152명을 차지하고 있다. 그 외 學諭를 비롯해 생원·진사·출신·部將·參奉·동지·僉知가 나타난다. 좌목 말미에는 약임·향임을 기재해 놓았는데, 마지막 네 번째 좌목에는 公事員 1명, 좌수 1명, 별감 2명만 기재해 놓았고, 약임은 확인되지 않는다.
9호 향안에는 다섯 편의 좌목이 수록되어 있다. 본 자료에 수록된 향안 중 가장 후대에 작성된 것이다. 1687년 7월 18일 좌목에 201명을 수록하였으며, 이어 1688년 4월 24일 좌목, 1690년 12월 26일, 1691년 7월 1일, 1691년 11월 21일, 1712년 1월 3일 좌목을 차례로 수록하였는데 모두 63명이 추가로 입록되어 있다. 모두 20개 성씨 264명이 확인되며, 성씨별로 나열하면 鄭氏 56명, 李氏 51명, 金氏 23명, 成氏 21명, 曹氏 16명, 徐氏·孫氏 각 14명, 朴氏 13명, 權氏 12명, 尹氏 10명, 崔氏 8명, 全氏 7명, 趙氏 4명, 柳氏·安氏·楊氏 각 3명, 郭氏·盧氏 각 2명, 申氏·張氏 각 1명 순이다. 관직·직역별로는 유학만 248명으로 전체 입록자 중 절대 다수인 9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전 향안과 비교해서 가장 높은 수치다. 그 외 문과급제자 1명, 생원 6명, 진사 1명, 출신 9명, 營將 1명이 확인된다. 각 좌목 말미에는 도약정·좌수·부약정·직월·별감·공사원 같은 현임 향임·약임을 수록해 놓았다.
10호 향안에는 여섯 편의 좌목이 있는데, 연대순으로 본다면 5호와 6호 향안 사이에 수록되어 한다. 첫 번째 좌목은 1656년 4월 12일의 것으로 88명을 수록하였으며, 1657년 12월 26일, 1658년 11월 2일, 1659년 1월 3일, 1660년 5월 3일, 1664년 3월 4일 좌목에 모두 87명을 추록해 놓았다. 모두 20개 성씨 175명을 수록하였는데, 성씨별로 나열하면 鄭氏 38명, 李氏 33명, 徐氏 15명, 成氏 14명, 金氏·曹氏 각 11명, 朴氏 9명, 權氏·崔氏 각 7명, 孫氏 6명, 郭氏·柳氏·尹氏·全氏·趙氏 각 3명, 安氏·田氏·黃氏 각 2명, 盧氏·楊氏·韓氏 각 1명 순이다. 관직·직역별로는 유학이 150명으로 가장 많으며, 그 외 생원 8명, 진사 2명을 비롯해 水使·부사·부장·도사·주부·훈도 등 내외 문무관직 역임자가 소수 확인된다. 역시 각 좌목 말미에는 향임과 약임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 자료 끝에는 11호 향안이 유실되었기에 수록하지 않음을 부기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17~18세기 경상도 영천군 지역의 향안 작성 추이와 재지사족의 존재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留鄕所·鄕廳은 조선시대 재지사족 중심의 지방자치행정기구로 해당 고을의 유력 재지사족들이 주도하였다. 이에 재지사족들은 유향소의 구성원 명부인 향안을 배타적으로 운영하면서 그들 중심의 향촌지배질서를 유지해 나갔다. 따라서 1611~1712년까지의 향안을 엮은 본 자료를 통해 이시기 영천군의 鄕論을 주도해 나가던 유력한 재지사족 가문을 파악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자료에서 중복 입록자를 제외한 총 향안 입록자는 24개 성씨 631명인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李氏 134명, 鄭氏 123명, 金氏 60명, 徐氏 46명, 成氏 40명, 曹氏 32명, 孫氏·崔氏 각 31명, 朴氏 29명, 權氏 19명, 尹氏 15명, 趙氏 12명, 全氏 11명, 柳氏 10명, 安氏 8명, 盧氏 7명, 郭氏 5명, 楊氏·田氏·韓氏 각 4명, 黃氏 3명, 申氏·河氏·黃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이중 李氏와 鄭氏가 전 기간에 걸쳐 많은 입록자를 배출하였으며, 그 외 金氏·徐氏·成氏·曹氏·孫氏·崔氏·朴氏·權氏 등도 꾸준히 입록자를 배출하였다. 특히 鄭氏는 17세기 중반 이후 입록 비율이 가장 높아져 유향소·향청 운영을 주도했던 성씨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성씨의 성관은 가장 많은 입록자를 배출한 迎日鄭氏를 비롯해 昌寧成氏·昌寧曹氏·永川崔氏·大邱徐氏·一直孫氏·密陽朴氏·安東權氏·碧珍李氏·永川李氏·慶州金氏 등으로 확인된다.
본 자료에서 확인되는 입록자 성분의 추이를 통해 향안의 성격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후기로 갈수록 幼學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며 관직 역임자는 줄어드는 것이 확인된다. 1630년대부터 유학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며, 특히 1687~1712년 향안에는 유학이 90%를 넘어서게 된다. 관직을 가진 인물의 관직 급도 떨어져, 내외 실직 역임자는 크게 줄어들고 동지·첨지와 같은 명예직을 받은 자가 소수 확인 될 뿐이다. 이는 당쟁과 중앙 정권의 벌열화 과정에서 재지사족의 중앙 진출이 위축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곧 향안 권위의 약화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본 자료에서처럼 17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향안 입록 규모가 커져갔던 것이다. 1712년의 향안을 마지막으로 영천군의 향안이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 것도, 향안 권위의 약화에 따른 빈번한 향안 罷置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한편, 본 자료의 6~10호 향안의 좌목 말미에는 향임뿐만 아니라 도약정·부약정·직월과 같은 약임도 함께 기재되어 있음이 주목된다. 각 약임은 모두 해당 좌목에서 이름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영천군에서의 향안 운영이 고을 단위로 시행되던 향약과 연계·운영되었기 때문이다. 실제 永川鄕校에는 1619년의 「鄕約案」과 1658년의 「約正案」이 전해지고 있다. 이에 따르면 영천군 관할 각 面里마다 향약을 시행·감독하는 약정, 고을 단위의 총책임자인 도약정, 도약정을 보좌하는 부약정, 실무를 맡는 직월을 두었음이 나타난다. 이는 향약이 가지고 있는 향촌 교화적 명분을 바탕으로, 유향소와 향안의 권위를 높이려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永川鄕校校誌』, 永川鄕校校誌編纂委員會, 198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朝鮮時代 鄕約硏究」, 申正熙,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鄕案僉知李汝起

鄕案【共十一號中前校誌四,八九號謄寫甲子三月搜得分一,二,五,六,七,十號,其外三號,十一號遺失今般年代順位自一號更謄】
壹號【萬曆三十九年九月十三日檀紀三九四四年(光海三年辛亥創案)
僉知李守謙【讓仲】僉知李定國【元老】
主簿李守?【仁仲】僉知田時漑【▣之】
察訪鄭世雅【和叔】訓正李?【士任】
僉知李安邦【仲默】幼學河士?【伯魚】
幼學李思榮【▣之】僉知李汝起【景之】
僉知盧遵【汝行】幼學金大聲【聞遠】
主簿徐逸【天民】僉知金希?【聃?】
幼學金德和【泰甫】奉事曹俊驥【汝?】

生員李喜白【伯眞】僉知柳允河【繼先】
僉知李汝超【景豪】幼學朴士愼【景欽】
幼學金希适【子容】幼學李好白【士眞】
僉知李日新【遷善】幼學鄭熙胤【汝長】
僉知鄭光胤【景長】幼學朴點【聖與】
僉知崔義濟【汝揖】幼學孫祥雲【慶瑞】
判事李安宇【季勳】訓奉崔璧南【立甫】
生員鄭湛【淸允】幼學權克立【强哉】
幼學金希憲【介叔】判官李尙白【子眞】
幼學鄭宗胤【子長】幼學成立【卓爾】

幼學李燁【明可】幼學徐景澤【子潤】
幼學崔挺南【秀甫】判事金淪【彦浩】
訓導金洌【彦明】幼學李宜白【汝眞】
訓導李汝?【景峻】縣監曹珹【季獻】
奉事曹瓊【仲獻】幼學鄭四象【汝燮】
幼學柳根晦【汝曄】幼學朴士恂【景實】
奉事崔宗濟【汝元】幼學孫慶男【吉甫】
訓判盧起宗【伯承】奉事李知白【季眞】
直長李國賓【汝觀】參奉曹卓然
幼學崔汝泳【大游】訓奉金?【子淨】

參奉柳榮晦【士曄】幼學金三省【君勉】
參奉曹以咸【克貞】奉事崔東寶【惟善】
縣監金三益【君輔】訓導趙宗垈【景瞻】
訓奉趙宗岳【景仰】判官李磊【汝安】
主簿尹承善【慶胤】幼學崔汝崑【子輝】
幼學崔經濟【聖任】訓導李?【明哉】
幼學李用賓【季親】判事金祉【季綏】
府使崔時濟【君揖】參奉徐得?【見卿】
宣傳金三達【君炯】幼學金就礪【誠可】
訓正曹以鼎【克凝】李得鳳【聖瑞】

鄭繼道【行可】主簿曹卓爾【希聖】
師傳鄭四眞【君燮】幼學鄭四岳【堯佐】
幼學孫興雲【子龍】幼學金彛性【循伯】
萬曆三十九年九月十三日鄕中完議訓奉孫曇【景淸】
凡鄕會時無緣不參者損徒訓奉徐景涵【子泳】
再不參永永損徒參奉郭永鐸【景仁】
三不參永永削迹訓導李?【景安】
右解損解削禮六十歲以下之員論定僉知徐道立【仲修】
凡損徒必行解禮然後隨行事幼學安琠【待價】
判事李君賓【仲觀】訓導徐自界【聖秀】

貳號【萬曆四十三年二月十三日】
僉知李安邦【仲勳】幼學金希适【子容】
僉知盧遵【汝行】僉知李日新【遷善】
幼學金德和【泰甫】僉知崔義濟【汝楫】
僉知李定國【元老】判事李安宇【季勳】
幼學河士?【伯魚】都事鄭湛【淸允】
僉知李汝起【景立】幼學金希憲【介叔】
幼學金大聲【聞遠】幼學鄭宗胤【子長】
僉知金希?【與?】僉正柳允河【繼先】
訓奉曹俊驥【汝?】幼學朴士愼

幼學李好白【士眞】奉事崔宗濟【汝元】
僉知鄭熙胤【汝長】訓判盧起宗【伯永】
幼學朴點【聖與】直長李國賓【與觀】
幼學孫祥雲【慶瑞】幼學崔汝泳【大游】
訓奉崔璧南【立甫】判事金淪【彦浩】
判官李尙白【子眞】幼學李宜白【汝眞】
幼學成立【卓爾】僉使曹珹【季獻】
幼學李燁【明可】幼學鄭四象【汝燮】
訓導金洌【彦明】幼學朴士恂【景實】
幼學柳根晦【汝曄】生員孫宇男【德甫】

幼學鄭昶【通甫】幼學崔經濟【聖任】
奉事李知白【季眞】判事李君賓【仲觀】
參奉曹卓然【景聖】幼學李用賓【季觀】
訓奉金?【子淨】僉正崔時濟【君楫】
參奉柳榮晦【士曄】縣監金三達【君炯】
縣監金三益【君輔】幼學孫興雲【子龍】
參奉曹以咸【克貞】幼學金三省【君勉】
判事金祉【季綏】幼學金就礪【誠可】
師傳鄭四震【君燮】幼學李得鳳【聖瑞】
主簿尹承善【慶胤】奉事崔東寶【惟善】

幼學鄭繼道【行可】訓導李?【景安】
主簿曹卓爾【希聖】幼學金彛性【循伯】
訓導趙宗垈【景瞻】訓奉徐景涵【子泳】
訓奉孫曇【景淸】僉知徐道立【仲修】
參奉徐得麟【見卿】幼學安琠【待可】
幼學鄭四岳【堯佐】幼學崔汝崗【士輝】
參奉郭永鐸【景仁】幼學鄭師道【景醇】
判官李磊【汝安】萬戶鄭安藩【寧甫】
判官崔汝崑【子輝】幼學朴文孝【伯順】
訓導李?【華甫】幼學李礎【可安】

幼學成以直【汝方】訓奉鄭良弼【景賚】
幼學李?【得安】生員鄭四勿【亦顔】
都事李宗老【士壽】幼學曹?【行遠】
萬戶鄭守藩【貞甫】訓導崔洛【而遡】
忠順衛鄭良輔【景賢】幼學鄭壁【峻哉】
生員朴暾【明叔】幼學趙洪勳【國老】
進士成以諒【汝貞】幼學孫瀣【叔浩】
進士李馥【聞伯】進士金克禮【子叔】
僉知尹從善【景登】三號【遺失故未謄寫】
四號【崇禎乙亥重修】

幼學鄭宗胤【子長癸丑判事李君賓【仲觀戊辰
幼學朴士愼【景欽甲寅主簿尹承善【慶胤己巳
幼學李燁【明可戊午僉正崔時濟【君楫庚午
訓導李汝?【景峻己未主簿李廷芳【士馨辛未
幼學崔汝泳【大游辛酉都事李宗老【士壽辛未
幼學李宜白【汝眞壬戌】幼學金三省【君勉壬申
幼學金?【子淨甲子主簿曹粹然【希聖癸酉
奉事李知白【季眞乙丑】幼學鄭繼道【行可甲戌
參奉曹卓然【景聖乙丑訓奉孫曇【景淸甲戌
判事金祉【季綏丙寅】生員鄭四勿【亦顔甲戌

幼學鄭四岳【堯佐甲戌】幼學朴文孝【伯順庚辰
參奉郭永卓【景仁乙亥】幼學朴峴【光叔庚辰
幼學李礎【可安丙子】幼學李榮生【汝輝庚辰
幼學崔汝崑【子輝丁丑訓奉崔汝岡【士輝辛巳
訓導李?【華甫丁丑訓奉金潤礪【致精辛巳
生員朴暾【明叔丁丑監察安琠【待可壬午
縣監崔?【景屹丁丑】忠順鄭良輔【景賢癸未
訓導李?【景安戊寅】幼學韓九思【敬甫癸未
生員成以直【汝方戊寅】幼學李繼老【大壽癸未
訓導崔洛【而遡戊寅】幼學金得礪【景遇癸未

幼學李慶龍【德仲癸未】進士李?【聞伯戊子
幼學李?【克安甲申】幼學李好榮【景華戊子
訓導李?【爾安甲申僉知徐瑋【士潤戊子
司果曹?【行遠甲申】幼學鄭良佐【景藍己丑
幼學李森【茂叔壬午】幼學朴閔孝【季順戊子
進士成以諒【汝貞丙戌】幼學鄭壁【峻哉己丑
幼學全有性【敬夫丙戌】幼學鄭味道【體可己丑
同知趙弘勳【國老丙戌】幼學李喜榮【伯華辛卯
幼學鄭憲道【遵可丙戌】幼學金靖【安叔辛卯
幼學孫瀣【叔浩丁亥】進士李時華【子彬辛卯

幼學權?【興瑞壬辰】幼學李尙中【誠叔丙申
幼學金汝礪【伯說壬辰典籍崔友稷【舜輔庚子
幼學田浹【而悅癸巳】幼學孫繼昌【昌甫己丑
幼學李?【明甫乙未主簿金生礪【士精乙酉
幼學鄭恢道【敬中乙未】幼學鄭守道【遠甫丙戌
幼學成以寬【汝栗丙申】幼學李神龍【華中戊子
郡守金尊性【愼夫乙未僉知鄭興孝【述甫庚子
幼學徐鍵【守伯乙未】幼學柳?【公植己亥
博士鄭好仁【子見丁酉】幼學李晶【汝明辛丑
幼學徐强仁【克夫丙申】幼學李尙弘【毅叔戊戌

生員金?【確夫壬寅】幼學金培【厚叔丁未
幼學趙弘績【國輔壬寅】幼學孫松茂【養一己酉
幼學崔再榮【景賀辛丑僉知柳仁立【恕甫丁卯
幼學成?【晦仲癸卯】幼學金命男【天瑞庚午
幼學崔又益【高輔丁未】幼學盧喆【克明癸未
府使鄭信道【敦夫辛巳】幼學盧珏【克?庚申
幼學鄭壁【景休辛卯】幼學孫宗義【强哉己亥
府使鄭就道【正夫丙申】幼學孫宗禮【文哉庚子
幼學徐强義【勉夫戊戌直長徐自邇【聖立甲午
幼學徐强禮【愼夫辛丑】幼學金時一【士一丙寅

幼學李成龍【甫天乙丑
五號【崇禎庚辰重修】
幼學朴士愼【景欽甲寅】生員鄭四勿【亦顔甲戌
幼學李宜白【汝眞癸亥】幼學鄭四岳【堯佐甲戌
僉知柳仁立【瑞甫丁卯參奉郭永鐸【景仁乙亥
主簿尹承善【慶胤己巳】幼學李礎【可安丙子
僉正崔時濟【君楫庚午】幼學崔汝崑【子輝丁丑
幼學金三省【君勉壬申訓導李?【華甫丁丑
主簿曹粹然【希聖癸酉】生員朴暾【明叔丁丑
訓奉孫曇【景淸甲戌縣監崔?【景屹丁丑

訓導李?【景安戊寅】幼學李繼老【大壽癸未
生員成以直【汝方戊寅】幼學盧喆【克明癸未
訓導崔洛【而遡戊寅】幼學金得礪【景遇癸未
幼學朴文孝【伯順庚辰】幼學李慶龍【德仲癸未
幼學朴晛【光叔庚辰】幼學李?【克安甲申
府使鄭道信【敦夫辛巳訓導李?【爾安甲申
訓奉崔汝岡【士輝辛巳司果曹?【行遠甲申
訓奉金潤礪【致精辛巳主簿金生礪【士精乙酉
幼學李森【茂叔壬午】幼學鄭守道【達夫乙酉
忠順鄭良輔【景賢癸未】進士成以諒【汝貞丙戌

幼學全有性【敬夫丙戌】幼學鄭壁【峻可己丑
同知趙弘默【國老丙戌】幼學鄭味道【體可己丑
幼學鄭憲道【道可丙戌】幼學李喜榮【伯華辛卯
進士李?【聞伯戊子】幼學金靖【安叔辛卯
幼學李好榮【景華戊子】進士李時華【子彬辛卯
幼學朴閔孝【季順戊子】幼學權?【興瑞壬辰
僉知徐瑋【士潤戊子】幼學金汝礪【伯說壬辰
幼學李神龍【華仲戊子】幼學田浹【而悅癸巳
幼學鄭良佑【景藎乙丑】幼學鄭恢道【景中乙未
幼學孫繼昌【勖甫己丑郡守金尊性【謹夫乙未

幼學徐鍵【守伯乙未典籍崔又稷【舜輔庚子
幼學成以寬【汝栗丙申僉知鄭興孝【遠甫庚子
幼學徐强仁【克夫丙申】幼學孫宗禮【文哉庚子
幼學李尙中【誠叔丙申】幼學金以礪【仲說辛丑
府使鄭就道【正夫丙申】幼學李晶【汝明辛丑
郡守鄭好仁【子見丁酉】幼學崔再榮【景賀辛丑
幼學李尙弘【毅叔戊戌】幼學徐强禮【愼夫辛丑
幼學徐强義【勉夫戊戌】生員金?【確夫壬寅
幼學徐宗義【勉哉己亥】幼學趙弘績【國輔壬寅
幼學柳?【公埴己亥】幼學成?【晦仲癸卯

幼學趙?【子安乙巳】幼學李如晦【景容丙申
幼學崔友益【禹輔丁未】幼學安鴻漢【仲吉辛丑
幼學金培【厚叔丁未】幼學朴?【正甫癸卯
幼學孫松茂【養一己酉】幼學李尙直【方叔乙巳
幼學徐錞【誠仲庚戌】幼學崔有?【公獻乙巳
幼學李重榮【而華辛丑】幼學成{日+吉}【晦甫丁未
生員崔有?【子獻壬寅】幼學成?【晦而戊申
幼學尹後燉【魯仲己亥】幼學金宗庇【孝伯壬子
幼學鄭好問【子裕乙巳同知尹是焞【魯夫癸丑
幼學李仁榮【松華丁未】幼學鄭有道【文甫辛卯

幼學田得南【陽叔甲午】幼學鄭興國【由善庚戌
幼學金知性【士敬己亥】幼學鄭興元【善叔癸丑
幼學鄭好義【子方壬寅】生員鄭興賢【公輔甲寅
幼學金純性【而敬壬寅】幼學金潤身【士彦辛卯
幼學金信性【敬一庚戌】幼學曹承孝【而述壬寅
同知韓克仁【君益己酉】幼學李欣榮【士華己亥
幼學趙弘紀【國憲庚戌】幼學曹?【器遠甲辰
幼學尹師焞【魯伯壬子】幼學鄭好信【德基乙巳
同知田尙眞【述古庚戌】幼學朴昌宇【汝寅辛亥
幼學鄭興一【信餘戊申】幼學金孝達【仁彦庚戌

幼學金悌達【順彦癸丑】幼學鄭元頀【泰可壬子
幼學金光庇【孝叔乙卯】幼學鄭以頀【仲和癸卯
幼學崔友摯【湯輔辛亥】幼學孫宗信【誠哉壬寅
幼學金忠達【敬彦丙辰】幼學全尙坤【元厚庚戌
幼學李濡【會源癸丑】幼學成{日+?}【明遠癸丑
幼學鄭思賢【致和癸丑】幼學徐爾料【擎久戊午
幼學李惟慶【而賀丙申】幼學徐鐄【明仲己酉
幼學孫奉浚【君述甲辰】幼學李長榮【克華己亥
幼學李廷蘭【君植辛亥】幼學鄭?【景明甲辰
幼學權尙敏【志聖辛亥參奉李?【深源庚戌

幼學曹振昌【慶發壬子】幼學徐命禹【瑞五壬戌
幼學李淇【泗源癸丑】幼學韓天根【本瑞庚子
幼學李之翰【公衛癸卯
六號【自乙巳庚戌
幼學鄭憲道【遵可丙戌】幼學孫宗義【勉哉己亥
僉知鄭味道【體可己丑】幼學柳?【公植己亥
僉知權?【興瑞壬辰】幼學李欣榮【士華己亥
幼學鄭恢道【景中乙未僉知孫宗禮【文哉庚午
幼學徐鍵【守伯乙未】幼學李晶【汝明辛丑
幼學李如海【景容丙申】幼學曹汝誼【景誼丙申

都事鄭承明【慶餘甲辰】生員成?【晦而戊申
幼學崔再榮【景賀辛丑】幼學鄭興一【信餘戊申
生員崔有?【子獻壬寅同知韓克仁【君益戊申
幼學鄭?【景平壬寅僉知金坦【汝器丙申
幼學孫宗信【誠哉壬寅】幼學趙弘紀【國憲庚戌
幼學曹?【期遠甲辰同知田尙眞【述古庚戌
縣監鄭好禮【子立甲辰僉知鄭興國【由善庚戌
幼學李尙直【方叔乙巳】幼學李是稷【景隆丁未
幼學金培【厚叔丁未】幼學郭鴻{羽+廷}【仲雲庚戌
幼學黃{金+閏}【精叔戊申】幼學安蓍漢【而吉辛亥

幼學金孝達【信彦庚戌】幼學成{日+?}【明遠癸丑
參奉李?【深源庚戌】幼學李淇【泗源癸丑
生員朴昌宇【汝寅辛亥】幼學權好敏【學聖甲寅
幼學權尙敏【志聖辛亥】幼學金忠達【敬彦丙辰
幼學尹師焞【魯伯壬子】幼學金光庇【孝叔乙卯
幼學韓應演【輝叔壬子】幼學鄭希賢【公彦己未
同知尹是焞【魯夫甲寅】幼學成?【光遠辛亥
幼學金悌達【順彦癸丑】幼學鄭?【景厚丁巳
幼學李濡【會源癸丑】幼學成暉【輝遠丙辰
進士鄭思賢【致和癸丑】幼學鄭興仁【公善丁巳

幼學鄭時欽【愼卿戊午】幼學金?【益夫庚申
幼學朴愿【孟敬庚申】幼學鄭慶鍾【古音辛酉
幼學李亨泰【太來壬戌】幼學鄭齊賢【公憲辛酉
幼學朴廷寶【子善癸亥】幼學成暻【斗仰辛酉
幼學曹夏英【昌世癸亥】幼學鄭碩鐘【士應癸亥
幼學成夏胤【昌彦癸亥】幼學成暎【季明甲子
幼學鄭洪鐘【大應庚申】幼學曹士健【强甫甲子
幼學李亨恒【久而癸亥】幼學柳振泰【昌伯乙丑
幼學李亨晉【泰彦癸亥】幼學孫大謙【用中丙寅
幼學李亨節【公遠甲子】幼學崔有球【而獻丙寅

幼學李廷贇【子具丁卯】幼學鄭世武【汝善丙寅
幼學徐啓浚【丕顯戊辰】幼學朴憙【善甫壬戌
幼學趙昌漢【振卿戊辰】生員徐行矩【汝中甲子
幼學鄭時楷【憲卿己未】幼學徐行謹【順卿甲子
幼學鄭之頀【可和甲寅】幼學崔震維【張叔甲子
幼學權求敏【師聖庚申】生員李廷蓍【君吉丁卯
生員李亨益【受而丙寅】幼學李星達【汝顯己巳
幼學鄭惟頀【子和丁卯】幼學徐顯後【丕基己巳
幼學全尙?【汝鎭丁卯】幼學徐裕後【丕承庚午
幼學金振慶【伯與丁卯】幼學成夏進【粹彦庚午

幼學朴昌宙【德裕癸亥】幼學鄭時相【宅卿庚午
幼學郭鴻{羽+廷}【仲雲庚戌】幼學鄭時羽【修卿庚午
幼學曹達孝【善述戊午】幼學成夏章【斐彦戊辰
幼學楊時春【仁卿癸亥】幼學朴?【栗甫甲子
幼學安世英【英之乙丑】幼學權務敏【慕聖丙寅
幼學曹士挺【淸甫丁卯】生員朴惠【允中己巳
生員權晉敏【由聖癸亥】幼學鄭益亨【亨叔庚午
幼學鄭時永【長卿甲子】幼學黃鎰【重叔乙丑
幼學鄭時炯【晦卿丙寅】幼學成夏賢【士彦丙寅
幼學鄭時垣【國卿戊辰】幼學成夏弼【裕彦辛未

幼學徐行善【善之丁卯】幼學朴時爀【翼世壬申
幼學李亨復【公遂丁卯】幼學金揚慶【仲興辛未
幼學權稱【平伯庚午】幼學鄭時昌【德順甲戌
幼學曹士伋【希甫庚午】際
幼學尹殷弼【聖輔庚午乙巳十月二十日
幼學郭壽世【耆伯辛未】座首成{日+?}
幼學鄭爾楨【徵叔辛未】都約正鄭時欽
幼學鄭時衍【達仲壬申】副約正李亨恒
幼學李仁?【大老甲戌】直月鄭惟頀
幼學李洙【巨源戊午

幼學李文海【士容己酉】幼學鄭雄鐘【萬應丁卯
幼學李海【自源庚申】幼學鄭元鐘【大鳴丙子
幼學李濂【聖源戊辰】幼學李萬英【世輝甲戌
幼學孫萬楨【會徵戊辰】幼學鄭尙賢【正卿甲戌
幼學朴憲【汝式己巳】幼學金受天【遂初丁卯
幼學李?【渾源壬申】幼學金德天【浩然壬申
幼學孫萬祿【會綏癸酉】幼學鄭緖明【繼而己未
幼學安世翼【翼之乙亥】幼學尹殷衡【任卿甲戌
幼學鄭基明【幾仲丙辰】幼學鄭重明【斐卿乙丑
生員鄭時?【悅之乙亥】幼學鄭克明【德卿丁卯

幼學權績【善仲甲戌】都約正成夏胤
幼學徐行健【子以癸酉】座首徐行謹
幼學徐大來【吉叔丙子】副約正鄭時相
幼學鄭時圭【德章丙子】直月孫萬祿
幼學成夏一【疆彦丁卯】幼學孫爀【恭然辛未
幼學成夏亨【泰彦戊辰】幼學權稜【方仲庚辰
幼學全尙圭【子信乙亥】幼學曹俊昌【慶世戊寅
幼學全命天【克初丁丑】幼學曹壽昌【慶甫己卯
際幼學李廷賓【子觀戊寅
庚戌十月二十三日幼學鄭爾亨【泰叔辛巳

幼學李俊?【鵬遠丁丑庚戌十月二十四日
幼學成夏文【章彦庚辰】都約正成夏胤
幼學成夏昌【和彦乙亥】座首徐行謹
幼學徐行敬【子一丁丑】副約正鄭時相
幼學崔有壁【叔獻庚辰】直月孫萬祿

七號【癸丑
幼學柳?【公植己亥】生員成?【晦而戊申
幼學孫宗禮【文哉庚子】幼學鄭興一【信餘戊申
幼學李尙直【方叔乙巳同知韓克仁【君益戊申

幼學金坦【汝器丙申】幼學金光庇【孝叔乙卯
幼學趙弘紀【國憲庚戌】幼學鄭希賢【公彦己未
幼學金孝達【仁彦庚戌】幼學鄭興仁【公善丁巳
參奉李?【深源庚戌】幼學鄭時欽【愼卿戊午
生員朴昌宇【汝寅辛亥】幼學朴愿【孟敬庚申
同知尹是焞【魯夫甲寅】幼學李亨恒【久而癸亥
幼學李濡【會源癸丑】幼學李亨節【公達甲子
進士鄭思賢【致和癸丑】幼學金?【益夫庚申
幼學李淇【泗源癸丑】幼學鄭齊賢【公憲辛酉
幼學金忠達【敬彦丙辰】幼學成暻【斗仰辛酉

幼學鄭碩鐘【士應癸亥】生員徐行矩【汝中甲子
幼學成暎【季明甲子】幼學徐行謹【順卿甲子
幼學曹士健【强甫甲子】幼學崔震維【張叔甲子
幼學柳振泰【昌伯乙丑】幼學成夏進【粹彦庚午
幼學李廷贇【子具丁卯】幼學曹達孝【善述戊午
幼學鄭時楷【憲卿己未】幼學安世英【英之乙丑
幼學鄭世武【汝善丙寅】幼學曹士?【淸甫丁卯
幼學金振慶【伯興丁卯】生員權晉敏【由聖癸亥
幼學全尙?【汝鎭丁卯】幼學鄭時永【長卿甲子
幼學鄭惟頀【子和丁卯】幼學鄭時炯【晦卿丙寅

幼學鄭時垣【國卿戊辰】幼學鄭重明【斐卿乙丑
幼學鄭時相【宅卿庚午】幼學鄭緖明【繼而己未
幼學成夏章【斐彦戊辰】幼學鄭克明【德卿丁卯
幼學徐行善【善之丁卯】幼學李夏亨【泰彦戊辰
幼學李文海【士容庚申】幼學李亨復【公遂丁卯
幼學李海【自源庚申】幼學李亨復【公遂丁卯
幼學李洙【巨源戊午】生員朴惠【允中己巳
幼學李濂【聖源戊辰】幼學朴憲【汝式己巳
幼學孫萬楨【會徵戊辰】幼學鄭時羽【修卿庚午
幼學鄭基明【幾仲丙辰】幼學鄭益亨【亨叔庚午

幼學曹士伋【希甫庚午】幼學李仁?【大老甲戌
幼學尹殷弼【聖輔庚午】幼學尹殷衡【任卿甲戌
幼學鄭爾楨【徵叔辛未】出身鄭時昌【德順甲戌
幼學金揚慶【仲興辛未】幼學權積【善仲甲戌
幼學孫爀【爀然辛未】幼學安世翼【翼之乙亥
幼學鄭時衍【達仲壬申】生員鄭時?【悅之乙亥
幼學朴時爀【翼世壬申】幼學全尙圭【子信乙亥
幼學李?【渾源壬申】幼學成夏昌【和彦乙亥
幼學孫萬祿【會綏癸酉】幼學徐大來【吉叔丙子
幼學徐行健【子以癸酉】幼學鄭時圭【德章丙子

幼學全命天【克初丁丑癸丑正月二十六日
幼學李俊?【鵬遠丁丑】都約正成?
幼學徐行敬【子一丁丑】座首曹士?
幼學曹俊昌【慶世戊寅】副約正鄭時衍
幼學曹壽昌【慶甫己卯】直月李俊?
幼學李廷賓【子觀戊寅】幼學李益?【鵬搏乙亥
幼學權稜【方仲庚辰】幼學楊時寅【演卿乙亥
幼學成夏文【章彦庚辰】幼學崔柱元【萬古丙子
幼學鄭爾亨【泰叔辛巳】幼學楊時純【眞卿丁丑
際幼學鄭時喜【悅卿己卯

幼學鄭碩?【元直壬午】都約正鄭時欽
幼學權穆【深仲癸未】副約正鄭惟頀
幼學鄭仁亨【元叔辛巳】座首曹士?
幼學鄭爾周【大叔癸未】座首曹壽昌
幼學徐行一【敬之癸未僉知鄭興明【由善庚戌
及第李世益【仲謙乙酉】幼學崔柱天【九萬己巳
際幼學金相天【千莖乙丑
癸丑九月二十日
八號【乙卯五月日】
僉知孫宗禮【文哉庚子】生員成?【晦而戊申

幼學鄭興一【信餘戊申】幼學鄭興仁【公善丁巳
同知鄭興明【由善庚戌鄭時欽【愼卿戊午
幼學金孝達【仁彦庚戌朴愿【孟敬庚申
參奉李?【深源庚戌李亨恒【久而癸亥
生員朴昌宇【汝寅辛亥金?【益夫庚申
幼學李濡【會源癸丑李亨節【公達甲子
進士鄭思賢【致和癸丑成暻【斗仰辛酉
幼學李淇【泗源癸丑鄭碩鐘【士應癸亥
金光庇【孝叔乙卯成暎【季明甲子
金忠達【敬彦丙辰曹士健【强甫甲子

幼學柳振泰【昌伯乙丑】幼學安世英【英之乙丑
鄭時楷【憲卿己未曹士?【淸甫丁卯
鄭世武【汝善丙寅】生員權晉敏【由聖癸亥
金振慶【伯興丁卯】幼學鄭時永【長卿甲子
全尙?【汝鎭丁卯鄭時垣【周卿戊辰
鄭惟頀【子和丁卯崔柱大【九萬己巳
生員徐行矩【汝中甲子鄭時相【宅卿庚午
幼學崔震維【張叔甲子成夏章【斐彦戊辰
成夏進【粹彦庚午徐行善【善之丁卯
曹達孝【善述戊午李文海【士容己酉

幼學李海【自源庚申】生員朴惠【允中己巳
李濂【聖源戊辰】幼學朴憲【汝式己巳
孫萬楨【會徵戊辰】出身鄭時羽【修卿庚午
孫基明【幾仲丙辰】幼學鄭益亨【亨叔庚午
鄭重明【斐卿乙丑曹士伋【希甫庚午
鄭緖明【繼而己未尹殷弼【聖輔庚午
鄭克明【德卿丁卯鄭爾楨【徵叔辛未
成夏亨【泰彦戊辰金揚慶【仲興辛未
成夏賢【士彦丙寅孫爀【爀然辛未
李亨復【公遂丁卯鄭時衍【達仲壬申

幼學朴時爀【翼世壬申】幼學徐大來【吉叔丙子
出身李?【渾源壬申鄭時圭【德章丙子
幼學徐行健【子以癸酉全命天【克初丁丑
李仁?【大老甲戌李益?【和甫丁丑
尹殷衡【任卿甲戌曹俊昌【慶世戊寅
部將鄭時昌【德順甲戌曹壽昌【慶甫己卯
幼學權?【善仲甲戌李廷賓【子觀戊寅
安世翼【翼之乙亥權稜【方仲庚辰
生員鄭時?【悅之乙亥】生員成夏文【章彦庚辰
幼學全尙圭【子信乙亥】出身鄭爾亨【泰叔辛巳

幼學李益?【鵬搏乙亥僉知孫胤昌【勖哉壬寅
楊時寅【演卿乙亥】幼學李泳【澄源乙卯
崔柱元【萬古丙子金以一【會百辛酉
楊時純【眞卿丁丑李咸亨【子長辛未
鄭時喜【悅卿己卯孫大臨【悅中辛未
生員鄭碩?【元直壬午李命稷【伯兪癸酉
幼學權穆【深仲癸未孫煥【煥然甲戌
鄭仁亨【元叔辛巳孫陽錫【錫汝甲戌
鄭爾周【大叔癸未孫燦【燦然丙子
徐行一【敬之癸未李世晟【明彦丙子

幼學李世漢【天章己卯】幼學李世觀【明夫庚辰
學諭李世益【仲謙乙酉】出身金慶祉【泰餘庚辰
幼學金重慶【季與庚辰】幼學孫大觀【季賓辛巳
李命奭【季兪庚辰李景益【益哉辛巳
孫大恒【久中己卯孫大震【省中辛巳
李萬葉【世久丙子金裕慶【子餘壬午
鄭世胤【聖述己卯金守慶【永甫壬午
鄭世振【聖徽庚辰孫汝斗【望之癸未
全尙培【汝植辛巳李希孟【聖承癸未
金慶祜【伯餘己卯徐行後【子順癸未

幼學孫燧【燧然】幼學曹啓基【子開丙戌
朴安世【顯哉丙戌全五行【攸敍丙戌
鄭時贊【虞卿丙戌鄭世咸【汝成丙戌
鄭之漢【聖觀丁亥曹克昌【慶述丙戌
權稶【茂伯丁亥】出身柳種德【子新丁未
崔松年【萬久壬午金振韶【聖聞辛巳
全賦天【命吾甲申徐後錫【永伯癸未
曹世昌【慶必甲申成夏俊【昌彦癸未
鄭碩?【元?乙酉安世徵【汝休甲申
李景說【夢賚乙酉鄭之相【汝弼乙酉

出身鄭碩亨【謙叔丙戌】副約正金振慶
幼學鄭爾昌【永叔丙戌】直月安世翼
朴繼世【子述丙戌】幼學尹石麟【希瑞甲寅
李世膺【禮徵丙戌金垣【徵叔己未
成夏甲【興彦丁亥李濟【道源癸亥
金應韶【子聞丁亥鄭晉明【積餘甲子
李永苾【茂卿丁卯
丁巳五月二日鄭世憲【汝章乙亥
都約正李亨節徐迪後【順承丙子
座首鄭時楷李世郁【文彦辛巳

幼學金慶裕【大餘辛巳】副約正鄭爾楨
李世裕【景寬丁亥】直月孫大恒
崔斗丙【伯升戊子】幼學金基復【仁輔乙酉
鄭之洙【聖渤戊子徐振後【昌叔辛巳
鄭爾吉【慶叔戊子趙興漢【振伯戊子
成夏順【亨彦己丑安世亨【汝違己丑
朴光世【叔晦己丑
戊午閏三月十五日金慶輔【賀叔癸未
都約正李淇曹善基【慶重庚寅
座首全尙?鄭之模【汝章庚寅

幼學朴瑞世【士徵辛卯】幼學鄭之良【汝翊壬辰
際際
庚申十一月十五日丙寅十二月初十日
都約正鄭時垣公事員鄭爾楨
座首李咸亨座首李世晟
副約正楊時純別監朴繼世
直月權稜成夏甲
幼學徐元得【道而戊子
九號【自丁巳壬辰
幼學鄭興一【信餘戊申】幼學金孝達【仁彦庚戌

幼學金光庇【孝叔乙卯】幼學崔震維【張叔甲子
金忠達【敬彦丙辰成夏進【粹彦庚午
金?【益夫庚申曹士?【淸甫丁卯
成暎【孝明甲子】生員權晉敏【由聖癸亥
曹士健【强甫甲子】幼學鄭時永【長卿甲子
鄭時楷【憲卿己未崔柱天【九萬己巳
鄭世武【汝善丙寅鄭時相【宅卿庚午
金振慶【伯興丁卯孫萬楨【會徵戊辰
全尙?【汝鎭丁卯鄭基明【幾仲丙辰
生員徐行矩【汝中甲子鄭重明【斐卿乙丑

幼學鄭緖明【繼而己未】幼學金揚慶【仲興辛未
鄭克明【德卿丁卯孫爀【爀然辛未
成夏亨【泰彦戊辰鄭時衍【達仲壬申
李亨復【公遂丁卯朴時爀【翼世壬申
朴憲【汝式己巳李仁?【大老甲戌
出身鄭時羽【脩卿庚午尹殷衡【任卿甲戌
幼學鄭益亨【亨叔庚午權?【善仲甲戌
曹士伋【希甫庚午】生員鄭時?【悅之乙亥
尹殷弼【聖輔庚午】幼學全命天【克初丁丑
鄭爾楨【徵叔辛未李益?【和甫丁丑

幼學曹俊昌【慶世戊寅】生員鄭碩?【元直壬午
曹壽昌【慶甫己卯】幼學權穆【深仲癸未
權稜【方仲庚辰鄭仁亨【元叔辛巳
生員成夏文【章彦庚辰鄭爾周【大叔癸未
出身鄭爾亨【泰叔辛巳徐行一【敬之癸未
幼學李益?【鵬搏乙亥金以一【會百辛酉
楊時寅【演卿乙亥李咸亨【子長辛未
崔柱元【萬古丙子孫大臨【悅仲辛未
楊時純【眞卿丁丑李命稷【伯兪癸酉
鄭時喜【悅卿己卯孫燦【燦然丙子

幼學李世晟【明彦丙子】幼學李景益【益哉辛巳
李世漢【天章己卯孫大震【省中辛巳
金重慶【季興庚辰金裕慶【子餘壬午
李命奭【季兪庚辰金守慶【永甫壬申
李萬葉【世久丙子孫汝斗【望之癸未
鄭世胤【聖述己卯李命伯【聖承癸未
全尙培【汝植辛巳孫燧【燧然甲申
金慶祜【伯餘己卯朴安世【顯哉丙戌
李世觀【明夫庚辰鄭時贊【虞卿丙戌
孫大觀【季賓辛巳鄭之漢【聖觀丁亥

幼學權稶【茂伯丁亥】幼學安世徵【汝休甲申
崔松年【萬久壬午鄭之相【汝弼己酉
全賦天【命吾甲申】出身鄭碩亨【謙叔丙戌
曹世昌【慶必甲申】幼學鄭爾昌【永叔丙戌
鄭碩?【元?乙酉朴繼世【子述丙戌
曹啓基【子開丙戌李世膺【禮徵丙戌
全五行【攸敍丙戌成夏甲【興彦丁亥
鄭世咸【汝成丙戌金應韶【子聞丁亥
曹克昌【慶述丙戌尹石麟【希瑞甲寅
出身柳種德【子新丁亥李永苾【茂慶丁卯

幼學徐迪後【順承丙子】幼學朴光世【叔晦乙丑
李世郁【文彦辛巳金慶輔【賀叔癸未
金慶裕【大餘辛巳曹善基【慶重庚寅
李世裕【景寬乙酉鄭之模【汝章庚申
崔斗丙【伯升戊子朴斗世【士仰辛卯
鄭爾吉【慶叔戊子徐元得【道而戊子
成夏順【亨彦己丑鄭之良【汝翊壬辰
徐振後【昌叔辛巳營將鄭時諶【老卿辛巳
趙興漢【振伯戊子】幼學柳爾?【濟安戊午
安世亨【汝達己丑孫陽振【伯彦癸亥

幼學金時一【士一丙寅】幼學徐昌後【違卿丙戌
李泂【淸源癸酉趙堧【匡卿癸未
鄭世垣【方卿戊辰盧亨遠【遠卿庚辰
朴昌猷【大升辛未李永後【▣卿庚午
成夏秀【違彦丁丑】出身李世憲【而式戊子
徐碩後【汝承戊寅】幼學曹錫封【大伯戊子
李世綱【領卿庚辰郭壽徵【德?戊子
成夏挺【廷彦庚辰李命龍【子雲癸未
李世靖【彦卿癸未李命虎【君燮丙戌
尹應三【世林庚辰李命膺【楷仲戊子

幼學金重一【允兼丙子】幼學權得?【度卿甲午
鄭碩祐【五兼戊子】出身李世光【明叔辛卯
權?【汝實庚寅】進士李命元【舜擧辛卯
成後明【光甫辛卯】幼學李命仲【堯卿丙申
鄭世仁【汝元戊子成夏圭【瑞彦戊子
鄭斗寅【子建辛卯金重三【偉兼丁丑
尹殷聖【任叔辛卯李廷郁【盛哉丙申
曹爀夏【明述辛卯郭壽曾【德老乙未
權和【敬而癸巳成夏益【謙彦辛卯
權?【美叔丁酉成夏慶【君彦乙未

幼學成夏信【元彦甲午】幼學尹殷輔【大任丙申
鄭碩基【道以壬辰鄭思謙【達三丙申
鄭碩玄【志遠丙申鄭碩宗【伯承壬辰
金來慶【來甫庚寅】出身鄭碩明【汝晦壬辰
李命啓【賓子丙申】幼學鄭之鉉【君玉辛卯
鄭世復【汝亨庚寅鄭碩後【進叔乙未
成夏績【功彦丁酉】出身鄭碩祖【汝承壬辰
成夏?【宗彦癸巳】幼學李世沆【太初丙戌
成夏衍【大彦乙未李世嶠【子仰乙未
李廷葵【君望辛卯趙壽千【眉?戊子

幼學崔孝胤【公善辛卯徐迪來【啓叔丁酉
鄭安亨【榮叔庚寅尹重三【公輔癸未
成後聖【大而辛卯李重珍【錫汝癸巳
成後尹【殷卿乙未李命說【聖弼丁酉
曹信基【立卿丙申李世邕【和仲丙申
徐後振【興仲甲午崔柱丙【擎長辛卯
徐元復【貞而辛卯尹起三【汝輔戊子
李命徵【瑞仲壬辰徐賀來【會叔辛卯
鄭汝亨【文叔辛卯鄭俊亨【平叔癸巳
鄭德亨【新叔丙申】際

丁卯七月十八日座首權?
座首權?文科出身朴聖世【?如壬辰
公事員楊時純
別監孫大震庚午十二月二十六日
崔斗丙都約正權?
幼學朴聃世【元老庚寅】座首徐振俊
李益晟【器甫辛卯】副約正朴上世
際直月李命啓
戊辰四月二十四日別監趙興漢
公事員鄭時羽成後尹

幼學李世哲【汝賢乙酉】出身孫萬楨【會應己卯
李世彬【子均壬辰】際
朴泰世【士亨丁酉辛未十一月二十一日
際都約正鄭時相
辛未七月初一日副約正李世漢
都約正李益?座首鄭爾周
座首曹世昌幼學尹殷相【巨卿癸未
副約正朴上世金厚慶【而▣戊子
直月鄭之良李世稷【舜佐甲午
幼學孫萬祉【會久己巳徐鼎來【台叔甲午

幼學鄭之徽【汝愼辛卯】幼學鄭之汶【聖在戊戌
生員李命尹【聖任壬辰李挺孝【孝仲己亥
幼學權穡【載仲丙申李邦郁【贊▣己亥
成後說【聖輔乙未趙廷漢【振仲庚子
鄭碩祉【愼居丙申李命封【慶叔庚子
鄭碩祜【汝厚丙申曹炯夏【彬述丙申
金慶鉉【子平戊戌尹尙老【德起庚子
曹翼海【子游戊戌崔厚丙【萬重甲午
孫命?【聖遇辛卯朴圭世【宋瑞壬寅
李聃年【周伯丁酉孫漢樞【斗一甲辰

幼學鄭起休【德而庚子】幼學權得泰【萬亨甲辰
權稷【舜佐辛卯朴大世【士用乙巳
曹夏寧【長世辛丑金東鉉【玉汝丙午
鄭世恒【汝久戊戌朴世尙【望?丙午
全得天【善初壬寅楊正知【孟中丙午
柳種學【汝習癸卯全萬元【擎伯丙午
鄭萬陽【皆春甲辰金錫奎【文啓丙午
成後閔【聖稱壬寅徐元徵【子休戊申
成後亮【漢卿甲辰李益昇【由甫癸卯
申以澈【鴻伯乙巳李敏春【新卿己酉

幼學李建廈【汝官己酉】幼學盧壽甲【仁?丙辰
徐達河【聖輝庚戌李文徵【禮叔戊午
金泰鎰【汝精庚戌張友載【三粹己未
孫汝壽【德老辛亥】際
曹翼鳳【聖徵己酉壬辰正月初三日
李寅華【德輝壬子】公事員朴泰世
鄭載泰【常甫甲寅】【改名載元】因鄕會重修
安處靜【叔敬丙辰
十號【自丙申甲辰
護軍曹卓爾【希聖癸酉訓導李?【景安戊寅

幼學朴文孝【伯順庚辰】幼學鄭味道【體可己丑
朴晛【光叔庚辰李喜榮【伯華辛卯
李繼老【大壽癸未金靖【安叔辛卯
李慶龍【德仲癸未權?【興瑞壬辰
主簿金生礪【士精乙酉田浹【而悅癸巳
幼學鄭守道【達夫乙酉鄭恢道【景中乙未
同知趙弘默【國老丙戌水使金尊性【謹夫乙未
幼學鄭憲道【遵可丙戌】幼學徐鍵【守伯乙未
進士李?【聞伯戊子成以寬【汝栗丙申
幼學李神龍【華仲戊子鄭有道【文甫辛卯

幼學李尙中【誠叔丙申】幼學李晶【汝明辛丑
府使鄭就道【正夫丙申崔再榮【景賢辛丑
幼學李如海【景容丙申】生員崔有?【子獻壬寅
李尙弘【毅叔戊戌】幼學鄭?【景平壬寅
孫宗義【勉哉己亥曹承孝【而述壬寅
柳?【公植己亥孫宗信【誠哉壬寅
金知性【士敬己亥成?【晦仲癸卯
李欣榮【士華己亥李之翰【公衛癸卯
縣監崔友稷【舜輔庚子曹?【期遠甲辰
幼學孫宗禮【文哉庚子部將鄭好禮【子立甲辰

幼學鄭?【景明甲辰同知韓克仁【君益戊申
孫奉後【君述甲辰】幼學孫松務【養一己酉
李尙直【方叔乙巳徐錞【誠仲庚戌
金培【厚叔丁未趙弘紀【國憲庚戌
李仁榮【公華丁未同知田尙眞【述古庚戌
成{日+吉}【晦甫丁未僉知鄭興國【由善庚戌
生員成?【晦而戊申】幼學金孝達【仁彦庚戌
幼學鄭興一【信餘戊申全尙坤【元厚庚戌
徐疆信【直夫己酉朴昌宇【汝寅辛亥
徐鐄【明仲己酉參奉李?【深源庚戌

司勇曹?【由遠辛亥】幼學成{日+?}【明遠癸丑
幼學李廷蘭【君植辛亥李星發【汝實癸丑
權尙敏【志聖辛亥李淇【泗源癸丑
尹師焞【魯伯壬子】生員鄭興賢【公輔甲寅
曹振昌【慶發壬子】幼學權好敏【學聖甲寅
同知尹時焞【魯夫甲寅徐行達【汝兼乙卯
幼學鄭興元【善叔癸丑金忠達【敬彦丙辰
徐悌達【順彦癸丑金光庇【孝叔乙卯
李濡【會源癸丑全尙?【子中丁巳
進士鄭思賢【致和癸丑徐爾枓【擎久戊午

幼學鄭希賢【公彦己未】副約正鄭
朴愿【孟敬庚申】幼學金坦【汝器丙申
李亨泰【大來壬戌鄭?【景厚丁巳
李廷賓【子善癸亥鄭洪鐘【大應庚申
曹夏英【昌世癸亥李亨恒【久而癸亥
成鳳胤【昌彦癸亥李廷英【君弼丙辰
李亨晉【泰彦癸亥
丙申四月十二日李亨節【公遠甲子
座首李柳爾?【濟遠庚子
都約正曹成?【光遠辛亥

幼學成暉【輝遠丙辰】幼學柳振泰【昌伯乙丑
鄭興仁【公善丁巳孫大謙【用中丙寅
鄭時欽【愼卿戊午崔有球【而獻丙寅
金?【益夫庚申李廷贇【子具丁卯
鄭慶鐘【古音辛酉趙昌漢【振慶戊辰
鄭齊賢【公憲辛酉徐啓後【丕顯戊辰
成暻【斗仰辛酉】際
鄭碩鐘【士應癸亥丁酉十二月二十六日
成暎【季明甲子】都約正李
曹士健【强甫甲子】座首金

副約正成幼學鄭世武【汝善丙寅
直月朴李廷蓂【君瑞戊午
幼學鄭之頀【可和甲寅朴憙【善甫壬戌
鄭時楷【憲卿己未】生員徐行矩【汝中甲子
權求敏【師聖庚申】幼學徐行謹【順卿甲子
生員李亨益【受而丙寅崔震維【張叔甲子
幼學朴{吾/心}【省吾丁卯】生員李廷蓍【君吉丁卯
鄭惟頀【乃和丁卯李星遠【汝顯己巳
全尙?【汝鎭丁卯徐顯後【丕基己巳
金振慶【伯興丁卯徐裕後【丕承庚午

幼學成夏進【粹彦庚午】幼學朴昌宙【德裕癸亥
鄭允亨【士裕乙丑
戊戌十一月初二日徐維俊【誨謙甲寅
座首徐際
都約正李己亥正月三日
副約正鄭座首徐
直月李都約正李
幼學曹汝誼【景誼丙申】副約正朴
都事鄭承明【慶餘甲辰】直月徐
幼學黃{金+閏}【精叔戊申郭鴻{羽+廷}【仲雲庚戌

安蓍漢【而吉辛亥鄭晉頀【君和壬戌
盧俊彦【智叔戊午】生員權晉敏【由聖癸亥
郭鴻翼【?雲己未鄭時永【長卿甲子
曹達孝【善述庚申鄭時炯【晦卿丙寅
楊時春【仁卿癸亥鄭時垣【周卿戊辰
安世英【英之乙丑鄭時相【宅卿庚午
崔柱大【擎伯己巳鄭時羽【休卿庚午
曹士?【淸甫丁卯崔萬逸【君▣甲辰
李是稷【景隆丁未】際
黃?【輝叔壬子庚子五月初三日

都約正鄭黃鎰【重叔乙丑
座首李成夏賢【士彦丙寅
副約正鄭成夏弼【裕彦辛未
直月李徐行善【善之丁卯
徐維德【仲瑞戊戌李亨復【公遂丁卯
成夏章【斐彦戊辰權稱【平伯庚午
朴?【栗甫甲子曹士伋【希甫庚午
權務敏【慕聖丙寅尹殷弼【聖輔庚午
生員朴惠【允中己巳郭壽世【耆伯辛未
鄭益亨【亨叔庚午鄭爾楨【徵叔辛未

鄭時衍【達仲壬申】座首尹
李仁?【大老甲戌】都約正鄭
際副約正楊
甲辰三月四日直月金
十一號【遺失故未謄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