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군(聞慶郡) 문경향교(聞慶鄕校) 문묘의모록(文廟義慕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915.4728-20150630.Y1532304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의연록
작성주체 문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작성시기 1915
형태사항 크기: 20.5 X 20.5
수량: 2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문경 문경향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1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군(聞慶郡) 문경향교(聞慶鄕校) 문묘의모록(文廟義慕錄)
1915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군(聞慶郡)의 유림(儒林)들이 문경향교(聞慶鄕校)에 대한 재정 지원을 위해, 기금을 모금한 뒤 작성한 장부다. 「공자탄강2466년 문묘의모록(孔子誕降二千四百六十六年 文廟義慕錄)」이라는 자료의 표제에서 알 수 있듯이, 향교의 가장 중요한 의례인 석전례(釋奠禮)의 비용과 문묘(文廟) 건물 보수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이루어진 모금이었다. 자료는 퇴락한 문경향교의 재정 지원을 위해 1914영빈서당(潁濱書堂) 유림들이 발급한 통문(通文)과 문경군 관내 각면(各面)별 문중(門中) 및 유림의 모금 상황을 기록한 장부로 구성되어 있다.
일제강점 이후 조선시대까지 자치적으로 운영되던 향교의 재정이 일제의 통제로 크게 위축되었으며, 이에 따라 향교에서 가장 중요한 의례인 석전례조차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향교의 전통을 유지하려는 지역 유림들은 자발적인 모금 활동을 통해 향교의 전통과 명맥을 유지해 나갔다. 본 자료에서 확인되는 문경향교의 모습도 일제강점기 어려웠던 향교 운영의 실상과 지역 유림들의 대응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 할 수 있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15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군(聞慶郡) 유림(儒林)들이 문경향교(聞慶鄕校)의 재정 지원을 위한 기금을 모금한 뒤 작성한 장부
孔夫子誕降二千四百六十六年月日 文廟義慕錄
자료의 내용
1915慶尙北道 聞慶郡의 儒林들이 聞慶鄕校의 재정 지원을 위해 기금을 모금한 후 작성한 장부다. 한말 이후 근대식 교육기관의 설립과 일제의 향교 통제 정책에 따라 향교의 재정이 악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지역 유림들이 뜻을 모아 재정 지원을 했던 것이다. 「孔子誕降二千四百六十六年 文廟義慕錄」이라는 표제에서 알 수 있듯이, 모금된 기금은 가장 중요한 향교 의례인 釋奠禮의 원활한 시행과 文廟 건물의 보수를 위해 마련되었다. 자료는 모금의 상황을 알리는 潁濱書堂 通文과 各面 門中 및 유림별 모금 액수가 기재된 장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영빈서당 통문은 1914년 5월 초4일 幼學 金鳴圭를 포함한 28인의 명의로 발급된 것이다. 이들은 영빈서당에서 활동하던 유림으로 都事, 主事, 參奉, 承旨, 直閣 등 전직 관료를 비롯해 進士 출신도 포함되어 있다. 통문에서는 현재 문경향교의 物力이 수 년 동안 蕩殘되어 春秋 석전례 때의 예를 제대로 행할 수 없다고 하면서, 이는 後人과 後學에게 俎豆의 觀感이 되지 못해 우리가 매우 근심하는 바라고 하였다. 이어 孔子를 비롯한 儒學의 先賢들이 있었기에 우리가 지금까지 배움이 있을 수 있었다며, 선현에게 지내는 석전례가 꼭 필요함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면서 다행히 지금 여러 사람들이 이러한 세태를 애통해 하면서 俎豆의 예를 복구하기 위해 기금을 모금하여 재정을 지원하는데 뜻을 모았다고 한다. 이에 일을 지체 할 수 없어 우선 本面에서 都廳 1員을 뽑고, 또 都廳所에서 마땅한 자를 有司로 擇定했으며, 이들이 모금된 기금을 수합해 6월 그믐까지 문경향교에 발송하기로 했음을 알리고 있다.
통문에 이어 수록된 모금 장부는 各面 별로 분류되어 있으며, 다시 각 洞里 별로 유림 및 문중의 기부 액수를 기재해 놓았다. 총 모금 액수는 192円 70?으로 山北面 35円 60?, 身北面 32円 20?, 麻城面 16円 70?, 舊戶縣面 42円 10?, 舊花壓面 28円, 加恩面 20円 70?, 山陽面 10円 40?, 戶西南面 6円, 元山西面 1円씩 모금되었다. 그런데 이 중 산북면은 兩次에 걸친 面會의 비용을 제하면 실제 33円 37?이며, 舊호현면도 비용 7円 90? 8里를 제하면 실제로는 34円 19? 2里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정리된 장부에는 훗날 집행 비용 내역과 추가로 모금된 내역이 추가로 부기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1914년 모금액 중 舊화장면의 2엔은 1915년 校宮 수리의 비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산양면 機堤新機, 元산서면에서 각각 1円씩 수합한 3円은 1918년 秋享 때 집행했음을 부기해 놓았다. 자료 말미에는 1916년 8월, 高彦祐가 유사를 맡는 가운데 115兩 50錢과 7円이 모금되었음을 부기하였고, 이어 1918년에는 有司 李用雨가 담당하는 가운데 현존 금액이 9円 9?임을 부기하였다.
한편, 1914년과 1916년에 있었던 재정 지원에 참여한 유림과 문중을 모두 합치면 289곳에 이른다. 이를 성씨별로 나열하면 金氏 63곳, 李氏 51곳, 鄭氏 23곳, 申氏 20곳, 朴氏 15곳, 權氏 11곳, 張氏 11곳, 徐氏 10곳, 閔氏 8곳, 尹氏 8곳, 洪氏 8곳, 林氏 7곳, 崔氏 7곳, 盧氏 6곳, 嚴氏 6곳, 黃氏 6곳, 蔡氏 5곳, 南氏 4곳, 趙氏 4곳, 孔氏 3곳, 千氏 2곳, 姜氏, 高氏, 郭氏, 柳氏, 文氏, 劉氏, 裵氏, 孫氏, 宋氏, 安氏, 禹氏 각 1곳 순이다.
자료적 가치
일제강점기 향교 운영의 실태를 볼 수 있는 자료다. 한말 근대식 교육기관이 보급되면서 官學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던 향교의 운영이 위축되어 갔다. 이어 일제는 지역 사족들에 의해 자치적으로 운영되던 향교 운영을 직접적으로 간섭하기 시작하였다. 향교의 首任을 지방관에 의해 발탁되는 直員으로 획일화 시켰으며, 향교의 재정을 통제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로써 향교는 유명무실했던 교육의 기능마저 완전히 상실했으며, 오로지 제례의 기능만 남게 되었지만, 이마저도 향교 재정의 악화와 관의 부족한 지원으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자료에 수록된 통문에서처럼 향교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뜻있는 유림들이 자금을 모아 향교에서 행해지는 석전례의 명맥을 이어 나갔던 것이다. 이러한 모금 활동은 조선시대부터 있었던 향교의 중요한 재정적 기반 중 하나인 儒錢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모금 활동에 참여한 유림 및 문중의 성씨별 분포를 살펴보면, 20세기 이후 문경향교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전통적인 재지사족 사회에 변화가 일어났음이 확인된다. 성씨별 분포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金氏, 李氏, 申氏 3개 성씨는 20세기 이전 작성되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문경향교의 靑襟錄과 任員錄에서도 많은 숫자가 확인되는 가문이다. 그런 가운데 朴氏, 張氏, 尹氏 등의 비중이 높아졌음이 주목되며, 특히 孔氏·盧氏·嚴氏·禹氏·劉氏·千氏 등은 현존하는 20세기 이전의 문경향교 청금록·임원록에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 성씨다. 20세기 이후 향교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사회 질서가 위축되어 감을 확인 할 수 있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孔夫子誕降二千四百六十六年月日文廟義慕錄

潁濱書堂通文
右爲通告事伏以無物不誠聖人之格言非禮不享
鬼神之常理本校自數年以來物力蕩殘春秋釋菜
專不如禮惟其無物故轉致不誠惟其不誠故自多非
禮神之格思已不敢度且使後人後學將不得觀感於俎
豆之事此豈非吾輩憂懼奮勵之時乎明儒有言曰孔
子眞萬歲之師也顔曾思孟學之而聖周程張朱學
之而賢學之未至得其一毛一髮亦足以潤身猶愈於不
不學今日之人不論大小貴賤苟有一毛一髮之有得者
何莫非孔子之徒也家而塾而訓學者存焉術而序而
敎師者居焉莫不有月俸歲?而獨於聖師無追慕
明?之誠可乎伏惟僉尊亦必有深憂隱痛者存幸卽
齊聲同力以補厚享每因大祭輪次一會干以講聖賢
幾墜之緖于以復俎豆久廢之禮且使執事諸生得以
致誠而具禮幸甚
此亦中卽卽轉傳無至留滯遺漏之弊自本面中薦
出都廳一員又自都廳所以可堪之人擇定有司使之收
合以六月晦前收合實數錄送於校中幸甚又俊秀
之自願隨行者許通恐好而若其無意者則不必强之
甲寅五月初四日潁濱書堂會中
幼學金鳴圭進士高{?+式}李洙參
都事金鳴圭幼學蔡周伯蔡圭鳳
主事金灝鎭金商佑權應僖
進士黃義民申國熙承旨李琦浩
直閣朴益東李寅九余煥文
參奉柳昌植進士高斗演林致一
幼學洪益華都事高在鳳李起東
李鴻義主事姜炳裕
卞榮弼幼學申匡一
朴泳九金履玉
閔致默
收合錄
山北面

近?權應僖門中正円
李光義門中四拾錢
保村金冕圭門中參円
書中張世昌門中貳円
大土黃浩淵門中貳円
黃義睦六拾錢
種谷李潤東門中六拾錢
梨上李益佐門中六拾錢
裵顯明六拾錢
禹道英六拾錢
于邑李忠敎門中貳円
石達蔡河禹六拾錢
黃道默六拾錢
金基鎬貳拾錢
大鳥南薰錫貳拾錢
龍洞金進鎰正円
鳳下金龍卿正円
李弘儀捌拾錢
鳳上李竝榮
李章榮
李圭翊參円
虎巖金鍾潤
金鍾哲貳円
朴義鎬
朴?洙貳円
蘆下尹龍炳正円
田頭申性均
申相均貳円
回下金履鎭正円
金亨求正円

徐月圭正円
道致盧勉昇四拾錢
于邑黃在完正円
林思元
林鳳來正円
金正昭四拾錢
已上合參拾參〔五〕円參〔六〕拾〔拾〕七錢內
【兩次面會下記除實三十三円三十七?】
身北面
龍洞金炳禧正円
金鴻圭正円
徐俊範正円
姜學熙五拾錢
金仲年五拾錢
張學楨五拾錢
尹鍾黃
尹鍾夾正円
葛坪金會鍾正円
鄭敎永正円
李中桂貳拾錢
李周鉉四拾錢
尹羲東貳拾錢
李大鎬正円
李海敎四拾錢
李宜燮四拾錢
金永夏四拾錢
李秀永四拾錢
洪宗玉四拾錢
權純模正円
李敎宣正円
申命喆正円
黃澣秀四拾錢
觀音李昌寅貳拾錢
千普洛貳拾錢

千茂洛貳拾錢
腦巖金智圭四拾錢
平川金勝培正円
柳聖養四拾錢
朴泳九正円
金德鎔四拾錢
金濟殷貳拾錢
蔡時欽貳拾錢
金敎鎬貳拾錢
李元載貳拾錢
金燦植貳拾錢
申泰運貳拾錢
靈山權學泉正円
權東稷正円
朴載成正円
巴八權秉均五拾錢
朴東洙貳拾錢
文政煥六拾錢
朴載春貳拾錢
唐浦李鍾遠貳拾錢
李承洛貳拾錢
權百源六拾錢
李興欽四拾錢
權?四拾錢
崔相溥貳拾錢
古堯閔中植貳拾錢
李冕和門中正円
鳳鳴李裕達四拾錢
崔尙琦五拾錢
李炳鎬四拾錢
古堯鄭源倬貳拾錢
唐浦申匡一貳拾錢

葛山李集賢正円
李賜榮正円
崔允一五拾錢
以上合參拾壹円七拾錢
麻城面
留洞金灝鎭正円
泉洞申萬熙五拾錢
新院權鼎洙拾錢
鳳笙權秉時貳拾錢
李南九拾錢
金達植拾錢
上乃南啓春貳拾錢
申允熙貳拾錢
申泰均貳拾錢
趙光泳貳円
下乃申鉉翼貳拾錢
金光濟四拾錢
金周鎬五拾錢
金洪益四拾錢
九郞李定寧貳拾錢
權時永貳拾錢
石橋李邦寧貳拾錢
李昌九貳拾錢
鼎洞李徹和四拾錢
申鉉瑀貳拾錢
鄭海寬四拾錢
李洙參貳拾錢
張錫恒拾錢
洪承胤四拾錢
華山申國熙四拾錢
申復熙貳拾錢
申秉均五拾錢
金尙圭正円
先收李琦浩門中六円

以上合拾六円七拾錢
戶縣面
佳灘申輔均六拾錢
鄭錫胤六拾錢
鄭英載六拾錢
鄭光薰四拾錢
鄭疇載四拾錢
鄭瓚載四拾錢
鄭震培四拾錢
朴景鎬六拾錢
朴寅錫四拾錢
徐憲洙六拾錢
徐廷奎六拾錢
徐鎭泓四拾錢
徐亨洙四拾錢
徐在鳳四拾錢
台峯金震佑六拾錢
金鳳起四拾錢
南魯震四拾錢
鱉巖閔致默六拾錢
閔致源六拾錢
閔致中四拾錢
閔永鎬門中四拾錢
李泰鎭六拾錢
李源大四拾錢
蔡周祜四拾錢
李秉淵貳拾錢
戶界洪永圭六拾錢
洪泰均六拾錢
洪時均八拾錢
申弘均六拾錢
宋秉文參拾錢
金在熙貳拾錢

牛老張錫鉉正円
鄭極和貳円
鄭興逵正円
鄭承奎正円
鄭宗逵正円
鄭達和正円
鄭承基正円
鄭承魯正円
金相篤正円
金致燮正円
盧載燁正円
盧性龜正円
九上金重培六円
金鍾大正円
金兢性正円
九下鄭昌鍊正円
鄭臣欽正円
鄭寬欽六拾錢
鄭承謨六拾錢
李鳳宰正円
李廷郁正円
安孝熙正円
以上合四拾貳円拾錢內
【▣▣七円九拾?八▣▣實三拾四円拾九?▣▣】
化莊面
內化金寅奎
金輝台
金用濟
金煥奎
金正鉉門中四円
朴勝大
朴勝斗
朴勝立
朴勝億
朴勝守門中四円

張復七
張國大門中五拾錢
嚴鍾國
嚴鍾淑
嚴喆敎門中五円
昭野張漢卓
張復三門中正円拾錢
下渭嚴柱鎬
嚴富承
嚴柱鉉門中五円
加佐目金夏圭
金炯振
金泰圭門中參円
蒼邱張星漢正円
李容成正円
徐廷夔正円
鄭基錫正円
張德賢正円
以上合貳拾八円內【二月乙卯校正修理費用】
加恩面
上槐孔聖烈正円
院北洪益華六拾錢
金海鎭四拾錢
上槐李丙奎貳拾錢
洪稷燮貳拾錢
院北劉秉悳貳拾錢
尹錫範正円
鄭基元正円
李康基貳拾錢
李仁宰貳拾錢
蔡鴻大四拾錢
李復來貳拾錢
金錫柄貳拾錢
孔文會正円又▣▣円

孫交秀四拾錢
南相漢參拾錢
朴基永正円
李完鎭四拾錢
完章李康寅正円
金信圭正円
李康壽正円
鄭寅秀正円
金亮漢六拾錢
閔致一六拾錢
竹門黃淇澈正円
金基洪正円
金晩用六拾錢
金守玉四拾錢
李起晩四拾錢
李正儀四拾錢
郭漢元四拾錢
李錫紀四拾錢
李起華貳拾錢
金元漢貳拾錢
趙南奭貳拾錢
李起宗貳拾錢
以上合拾九円七拾錢
山陽面
果下林永洙四拾錢
林鍾澤正円
林盛潤門中正円
林圭相正円
林無得正円
果上金溶七
金道權
金喆權
金炯稷

金炯進
金炯柱
金溶均門中參円
戶西南面
機堤申復熙壹円【戊午秋享時入用】
松淵申?
申?
申碩均門中四円
戶西南面
新機里金鍾泰壹円【戊午秋享時卽上入用】
山西面崔鍾一壹円【戊午秋享時卽上入用】
孔道鎭五兩下仙
高彦祐三兩下仙
趙炳道五兩下仙
尹炳時五兩酒泉
尹元植二兩五?下仙
申鉉台五兩金沙
金永奎五兩東里
趙秉濟五兩富谷
朴相祐五兩加道
蔡光默五兩下仙
盧恒國五兩鳳巖
閔泳樞二兩五?鳳巖
閔泳悳二兩五?鳳巖
盧秉國五兩鳳巖
徐星喆五兩鳳捿
崔煥基五兩鳳亭
崔翼基五兩鳳亭
金漢植五兩加道
金正鍾五兩加道
李用雨五兩上仙
崔鍾一五兩下仙
權相根五兩上仙
徐廷奎五兩上仙
盧望道五兩上仙

金文燮五兩上仙
金雲漢一円富谷戊午秋享時入用】
尹仁漢門中五円【戊午秋享時入用】
洪英錫一円
丙辰八月日
有司高彦祐
戊午有司李用雨
▣▣內現存九円九?▣
都廳崔相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