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0~1886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임원록(任員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880.4728-20150630.Y15323030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문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작성시기 1880
형태사항 크기: 33 X 39
수량: 18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문경 문경향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880~1886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임원록(任員錄)
1880년 7월부터 1886년 3월 삭(朔)까지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소재 문경향교(聞慶鄕校)의 교임(校任)을 기재한 명부다. 현재 문경향교에는 18~19세기의 임원록(任員錄) 4건이 전하는데, 본 임원록은 그 중에서도 가장 후대에 작성되었다. 교임은 도유사(都有司) 1인, 장의(掌議) 2인, 재유사(齋有司) 2인이 임명된 것으로 나타난다. 문경향교의 다른 임원록에는 도유사 1인, 장의 1인, 재임(齋任) 1인이 임명된 것으로 나타나, 19세기 중반 이후 교임 구성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임원록에 기재된 교임은 모두 87명이다. 이 중 2명은 현직 문경현감(聞慶縣監)으로 있으면서 도유사를 역임하였었다. 향교가 조선시대 관학(官學)을 대표했던 만큼, 교육과 교화에 관심이 컸던 수령은 직접 교임을 맡기도 했던 것이다. 문경현감을 제외한 85명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이씨(李氏) 19명, 신씨(申氏) 17명, 김씨(金氏) 12명, 채씨(蔡氏) 6명, 정씨(鄭氏) 5명, 박씨(朴氏) 4명, 홍씨(洪氏) 4명, 장씨(張氏) 3명, 권씨(權氏) 2명, 남씨(南氏) 2명, 류씨(柳氏) 2명, 문씨(文氏)·서씨(徐氏)·성씨(成氏)·조씨(趙氏)·최씨(崔氏)·황씨(黃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이중에서 특히 비중이 높은 이씨·신씨·김씨는 18세기 임원록에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이 18~19세기 문경향교를 중심으로 활동한 문경현 지역의 대표 사족 가문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80년부터 1886년까지 慶尙道 聞慶縣 소재 聞慶鄕校에서 校任을 역임한 인사들의 명부
庚辰七月日 任員錄
자료의 내용
1880년 7월부터 1886년 3월 朔까지 慶尙道 聞慶縣 聞慶鄕校에서 校任을 역임한 인사들의 명부로, 표제는 「庚辰七月日 任員錄」이다. 현재 문경향교에는 1726~1798년 임원록 1건, 1845~1853년 임원록 2건, 그리고 본 임원록이 전하는데, 그 중에서 본 임원록이 가장 후대에 작성되었다. 명부는 짧게는 한 달 미만, 길게는 열 달을 간격으로 기재되어 있다. 향교에서 매월 거행하는 朔望禮를 기준으로 정리해 놓은 듯하다.
본 임원록에 수록된 교임은 향교 운영을 실질적으로 주관하는 都有司·掌議·齋有司다. 즉 1880년~1886년 동안 문경향교는 도유사 1인, 장의 2인, 재유사 2인 체제로 운영되었던 것이다. 이는 이전 문경향교의 교임 구성과 차이가 있다. 다른 3건의 임원록에는 문경향교 교임이 도유사 1인, 장의 1인, 그리고 齋任 1인 체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1853년 이후 어느 시점에 교임 구성의 변화가 있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임원록에서 교임을 역임한 인사는 총 85명이다. 이중 鄭寅壽朴海聞聞慶縣監으로 있으면서 도유사로 참여하였다. 興學과 敎化에 관심이 많은 수령이 부임하면, 직접 향교 교임을 맡는 경우도 있었던 것이다. 문경현감 2명을 제외한 83명을 교임별로 구분하면 도유사 23명, 장의 35명, 재유사 25명이 임명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를 다시 성씨별로 나열하면 도유사는 申氏 6명, 李氏 6명, 金氏 2명, 朴氏 2명, 南氏·文氏·成氏·張氏·鄭氏·蔡氏·黃氏 각 1명 순이며, 장의는 金氏 7명, 申氏 7명, 李氏 7명, 鄭氏 3명, 蔡氏 3명, 柳氏 2명, 洪氏 2명, 權氏·南氏·張氏·趙氏 각 1명 순이다. 그리고 재유사는 李氏 6명, 申氏 4명, 金氏 3명, 朴氏 2명, 蔡氏 2명, 洪氏 2명, 權氏·閔氏·徐氏·張氏·鄭氏·崔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성씨별로는 李氏 19명, 申氏 17명, 金氏 12명, 蔡氏 6명, 鄭氏 5명, 朴氏 4명, 洪氏 4명, 張氏 3명, 權氏 2명, 南氏 2명, 柳氏 2명, 文氏·徐氏·成氏·趙氏·崔氏·黃氏 각 1명 순이다. 그 외 削籍 된 흔적이 네 군데 확인되며, 1880년 10월 재유사를 맡았던 幼學 閔泳殷의 이름 아래에는 ‘拔去’라는 세주가 부기되어 있다. 이런 削籍 흔적과 ‘拔去’ 표시는 문경향교 운영을 둘러 싼 향촌 세력 간의 갈등이 있었음을 추정케 해준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후반 문경현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본 임원록의 도유사·장의·재유사는 실제 향교 운영을 주도하는 교임으로, 해당 고을의 명문벌족들이 임명되었다. 교임을 맡은 성씨 가운데 李氏, 申氏, 金氏의 비중이 높게 나는데, 이는 문경향교에 전해지고 있는 18~19세기의 靑襟錄, 任員錄의 추세와 큰 차이가 없다. 그 외 蔡氏, 鄭氏, 洪氏 등도 꾸준히 교임 임명이 이루어지고 있음이 나타난다. 이들 성씨의 성관은 平山申氏, 全州李氏, 順天金氏, 仁川蔡氏, 缶林洪氏 등으로, 19세기 후반 문경향교를 중심으로 문경현 지역의 향촌사회에 큰 영향력을 끼친 가문들이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庚辰七月日任員錄

庚辰七月日
掌議幼學■■■
八月日
都有司幼學蔡範九
掌議幼學申穆均
洪祐?
齋有司幼學李夏炳
九月日
都有司幼學金普均
十月日
都有司幼學申遇周
掌議幼學金時均
金商輔
齋有司幼學李旭宰
辛巳正月日

都有司幼學李?重
齋有司幼學■■■
二月日
掌議幼學柳海周
齋有司幼學洪鍾漢
三月日
都有司幼學李汶浩
掌議進士李在慶
三月日
掌議幼學鄭仁浩
掌議幼學金元均
四月日
齋有司幼學洪喆箕
八月日
都有司幼學申冕熙
掌議幼學權正洙
齋有司幼學申泰聖
十月日
掌議幼學鄭光準
齋有司幼學閔泳殷【拔去】

辛巳十二月日
靑襟錄
辛巳十二月日
都有司前承旨朴海哲
掌議幼學蔡邦鎭
申聖熙
齋有司幼學金商範
壬午正月日
都有司幼學成益源
三月日
齋有司幼學李鍾和
掌議幼學金用均
四月日
掌議幼學李鳳熙
齋有司幼學張世準
五月日
都有司幼學鄭仁龍
齋有司幼學徐鎭奎
六月日

都有司幼學李基陽
掌議幼學李忠基
李震九
七月日
齋有司幼學崔在九
九月日
都有司申遇熙
齋有司金在龍
齋有司申弘均
三月日
齋有司幼學金朝漢
壬午十二月日
都有司行縣監鄭寅壽
掌議幼學李庚五
掌議幼學申德均
癸未十月日
都有司行縣監鄭寅壽
掌議幼學申秉熙
掌議幼學洪炳銖

甲申正月日
都有司幼學李中麟
靑襟錄
癸未十二月日
都有司行縣監鄭寅壽
掌議幼學鄭晩容
幼學申道均
齋有司幼學李應和
都有司幼學李中麟
甲申正月日
都有司幼學申匡國
齋有司幼學鄭行?
甲申三月朔
都有司幼學南魯源
掌議幼學蔡永復
幼學鄭晩容
齋有司幼學蔡仁洙
三月望
都有司幼學南魯源
掌議幼學蔡永復

幼學南魯鳳
齋有司幼學權仁洙
四月朔
都有司幼學朴宗儒
掌議幼學南魯鳳
幼學金萬鎭
五月朔
都有司幼學朴宗儒
掌議幼學南魯鳳
幼學金萬鎭
齋有司幼學蔡奎明
七月朔
都有司幼學朴宗儒
掌議幼學金萬鎭
進士李鍾濬
齋有司幼學蔡奎明
八月初一日
都有司幼學李幹正
掌議幼學鄭仁和

趙科淳
九月日
掌議幼學金賢均【改圭】
齋有司幼學申尙熙
乙酉正月日
齋有司幼學申益均
三月十五日
掌議幼學李淵浩
四月初一日
都有司幼學李起恒
齋有司幼學李鼎九
十五日
都有司行縣監朴海聞
掌議幼學李淵浩
五月初一日
都有司幼學黃建默
掌議幼學申命夏
齋有司幼學李鼎九
五月望
都有司幼學張浚模

六月一日
掌議幼學柳海重
十一月一日
都有司幼學文懿碩
齋有司幼學李海龜
十一月望
掌議幼學■■■
幼學張鎭夏
十二月一日
都有司幼學金炳懋
掌議幼學■■■
齋有司幼學朴啓東
丙戌正月望
都有司幼學申錫百
掌議幼學申光熙
二月朔
都有司幼學申永熙
二月望
掌議幼學金錫圭
齋有司幼學朴義夏

三月朔
掌議幼學蔡永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