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6년 비안향교(比安鄕校) 장의행임록(掌議行任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866.4773-20150630.Y1532506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작성시기 1866
형태사항 크기: 36 X 28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의성 비안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의성 비안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안내정보

병인년 중추에 수정을 했다고 밝히고 있는 비안향교 장의들의 인명을 수록한 〈장의행임록〉이다. 입록된 장의 총인원은 148명으로 입격자 4명이 포함되어 있다. 비안향교에 현전하는 장의관련 명부는 총 5책인데, 본 문서는 그 중 2번째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앞선 장의안 작성 후 110여 년이 흐른 뒤의 것이다. 입록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김씨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어 이, 박, 장, 변, 우씨 등 17세기 이후 비안향교를 주도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성씨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그 외에 19세기 중반 들어 도유사안 등에 간헐적으로 입록을 보이는 나, 황, 현, 백, 윤씨 등이 소수를 이루고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1866년 비안향교(比安鄕校) 장의행임록(掌議行任錄)으로 장의 148명의 인명을 기록한 것
자료의 내용
丙寅年 中秋에 修正을 했다고 밝히고 있는 비안향교 掌議들의 인명을 수록한 〈掌議行任錄〉이다. 입록된 장의 총인원은 148명으로 入格者 4명이 포함되어 있다. 비안향교에 현전하는 장의관련 명부는 총 5책인데, 본 문서는 그 중 2번째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앞선 장의안 작성 후 110여 년이 흐른 뒤의 것인데, 현전하는 자료에 따로 기록이 없어 중간에 편찬된 문건이 소실되어 남아있지 않은 것인지, 애당초 편찬되지 않다가 당시가 되어서야 修正되었는지 알 수 없다. 입록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金氏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어 李, 朴, 張, 卞, 禹氏 등 17세기 이후 비안향교를 주도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성씨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그 외에 19세기 중반 들어 도유사안 등에 간헐적으로 입록을 보이는 羅, 黃, 玄, 白, 尹氏 등이 소수를 이루고 있다.
掌議는 都有司, 有司 등과 함께 향교 운영에 실질적인 임무를 담당하는 주요 校任으로 대개 도유사의 천거와 수령, 유림, 유생 등의 三望을 거쳐 교임으로 선출된다. 도유사가 鄕中凡事를 총괄하며 대외적으로 향교를 대표하는 실질적인 책임자라고 한다면 향중의 대소사를 운영해 나가는 실질적인 관리자는 장의였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의는 유림 중에서 地閥이나 덕행이 있는 자로 각별히 선출되며, 이들은 향교의 경제적 문제를 포함한 향교의 전반적인 일을 담당하였던 실질적인 관리자였다. 장의의 인원은 보통 2명으로 동·서재로 구분하여 표시하기도 하고, 담당하는 역할에 따라서 靑衿掌議, 典穀掌議, 科資掌議, 學庫掌議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또한 서열을 정해 首掌議, 副掌議로 표시하여 역할을 분담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비안향교의 경우, 동재와 서재를 관리하는 장의가 구별되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별도로 역할을 분담하거나, 서열화하여 장의를 구분하여 임명록을 작성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비안향교에 현전하는 장의 관련 5건의 문서에서는 그러한 구분을 통해 작성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장의를 비롯한 교임들의 임기는 대개 1년을 기한으로 상정하는 것이 통례였는데, 본 문서가 작성될 시점에서는 그 기간이 훨씬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므로 본 장의안도 여러 해의 장의의 명단을 누적하여 작성하고 있었던 것을 1866년에 비로소 수정하여 성책한 것으로 보인다. 교임의 임기는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크게 단축되는 현상을 보인다. 본 문서에는 체직기간을 중심으로 기록하였다기 보단 장의들의 인명을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는 여타의 비안향교 장의 관련 문서의 서술형식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장의의 실질적인 임기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이보다 앞서 작성된 1755년의 장의안에 再任, 重任의 경우가 적지 않게 발견되고 있고, 본 문서가 작성된 이후의 장의안과 비교해 봤을 때 작성은 6년 만에 이뤄진 것이지만, 6년간의 장의의 명부라고 하기에는 많은 109명의 인명이 수록된 것으로 보아 장의의 임기가 현격하게 줄어들어 많은 인원수가 장의를 번갈아가며 혹은 교체되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같은 현상은 여타 향교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이 시기 향교의 향촌유림의 공동체적 내지 향촌자치제적 성격이 점차 감소하면서 그 만큼 질적 저하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즉 18세기 중반 이후 校任은 다만 享祀만을 주관하는 명예직의 성격을 띠면서 그 역할수행이 제대로 되지 못했던 것이다.
앞선 시기의 장의안보다 100년이 넘은 뒤에 작성된 본 문서에 등재된 장의들의 성씨를 살펴보면, 총 17개의 성씨로 앞선 문서보다 약 2배가 늘어나 있다. 金氏가 37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어 李 27명, 朴 20명, 張 14명, 卞 13명, 禹 12명, 鄭 6명, 權 5명, 洪 4명, 申·康 각 2명, 孫·羅·玄·黃·白·尹 각 1명씩이다. 앞선 장의안보다 100년이 훨씬 지난 시점이라 장의라는 교임을 구성하는 성씨의 변화양상을 극단적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지만, 두드러지는 점은 비안향교 교임으로서의 주요 성관의 변화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 다른 교임안인 도유사안을 비롯하여 향중 액내교생들의 명부인 청금록, 유안 등과 비교해 봤을 때 비안향교의 전통적 향촌유력 성씨는 張, 卞, 金, 李, 朴, 禹氏 등인데, 본 문서가 작성된 19세기 중반에는 이와 더불어 위 6개의 성씨 중 김씨 세력이 점차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입록자 수로 나타나며, 이외에 申, 洪, 康, 羅, 黃, 玄, 白, 尹氏 등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성씨는 장의직 참여 빈도가 매우 낮아 이 지역에서의 族的 기반이 그리 견고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19세기 중반 이후 비안향교의 여러 활동에 참여하는 성씨가 다양하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료적 가치
掌議는 都有司, 有司 등과 함께 향교 운영에 실질적인 임무를 담당하는 주요 校任으로 도유사가 鄕中凡事를 총괄하며 대외적으로 향교를 대표하는 실질적인 책임자라고 한다면 향중의 대소사를 운영해 나가는 실질적인 관리자는 장의였던 것이다. 본 문서는 이러한 장의직을 역임한 이들의 인명을 기록한 것으로 비안향교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인물들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그 가치를 지닌다. 앞선 시기의 장의안보다 100년이 넘은 뒤에 작성되어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중반까지의 단계적 변화양상을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문서에 등재된 장의들의 성씨는 총 17개의 성씨로 앞선 문서보다 약 2배가 늘어나 있다. 비안향교 여타의 교임안인 도유사안을 비롯하여 향중 액내교생들의 명부인 청금록, 유안 등과 비교해 봤을 때 비안향교의 전통적 향촌유력 성씨는 張, 卞, 金, 李, 朴, 禹氏 등인데, 본 문서가 작성된 19세기 중반에는 이와 더불어 위 6개의 성씨 중 김씨 세력이 점차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입록자 수로 나타나며, 이외에 申, 洪, 康, 羅, 黃, 玄, 白, 尹氏 등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이들 성씨는 장의직 참여 빈도가 매우 낮아 이 지역에서의 族的 기반이 그리 견고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19세기 중반 이후 비안향교의 여러 활동에 참여하는 성씨가 다양하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掌議案 生存
李龍燮
金養仁
朴來英
金德坤
鄭益熙
李周楨
羅文奎
張邦紀
禹濟海
朴奎相
卞海鶴
張禹錫
鄭益壽
朴履周
李周郁
禹元海
金致孝 入格
李寅厚
金世烈
金鎭國
朴斌漢
金養文
卞浩聖
金思烈 入格
朴大奎
康世侯
張天鶴
李周幹
金亨震
禹時榮
金弘烈
卞海龍
金夏震
張星鎭
金致運 入格
金周鼎
朴世漢
李周鉉
金致文
李幹泰
張仁欽
金基永
朴潤萬
禹洛天
卞文榮
朴潤彦
金應鍾
卞龜春
金哲震 改顯相
卞源孝
金應相
權錫應
李文煥
卞邦榮
金麟錫
李錫祉
卞宅東
張應天
金道成
禹宗範
李孝綱
權鍾述
金遠洙
李相坤
朴時麟
李錫檜
朴甲麟
鄭周翼
金道坤
鄭錫和
申永祚
金致濚 改致錫
卞潤玉
李台煥
金周福
張仁運
朴甲耆
金鎭邦
禹龜洛
李學彬
張炳奎
玄基福
洪慶遠
李根秀
鄭益國
李周新
康世七
禹龍見
李承華
朴緖漢
張光熙
洪慶德
金炳德
張殷鶴
李錫春
金東植
朴章煥
李宗道
洪述遠
禹洛元
張光錫
李宗植
李仁煥
卞龍發
李麟九
洪慶喆
朴魯奎
李坤秀
朴斗紀
李箕煥
朴春漢
卞錫璞
張光?
金台鱗 改在敬
金應淵
禹台昇
金振鉉
朴章祐
金宗浩
鄭完禧
禹九弦
金星運
朴秉祐
金圭錫
朴遇相
金顯鍾
申鼎滿
卞宅奎 入格
李仁培
權錫恒
金顯翼
張聲鶴 改聖鶴
李周文
權以聖
禹龍彩 丙寅七月日差
朴甲千 丙寅七月日差
卞浩文
張光欽 改光遠
權聖達
金致貞 改致任
孫慶斗

丙寅中秋修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