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5~1853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임원록(任員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845.4728-20150630.Y1532303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문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작성시기 1845
형태사항 크기: 31 X 31
수량: 54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문경 문경향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845~1853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임원록(任員錄)
1845년부터 1853년까지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소재 문경향교(聞慶鄕校)의 임원인 교임(校任)의 성명을 수록한 명부다.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교임으로는 향교를 대표하는 도유사(都有司), 향교 운영을 실질적으로 담당하는 장의(掌議), 장의의 업무를 보좌하는 재임(齋任)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경향교는 도유사 1인, 장의 1인, 재임 1인 체제로 문경향교가 운영되었던 것이다. 명부는 향교에서 매월 행해지는 삭망례(朔望禮)를 기준으로 그때의 교임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임원록에는 수령인 문경현감(聞慶縣監)이 간혹 문경향교 도유사를 역임한 것으로 나타난다. 지방의 관학(官學)을 대표하고, 가장 큰 의례를 행하는 기구였던 만큼, 교육과 교화에 관심이 컸던 수령들은 직접 향교의 도유사를 맡기도 했던 것이다.
8년 동안 교임을 역임했던 인사들 중 문경현감을 제외하면 도유사 20명, 장의 31명, 재임 34명 등 모두 85명이 임명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신씨(申氏) 18명, 이씨(李氏) 16명, 김씨(金氏) 6명, 권씨(權氏) 5명, 홍씨(洪氏) 5명, 남씨(南氏) 4명, 박씨(朴氏) 4명, 정씨(鄭氏) 4명, 조씨(趙氏) 4명, 채씨(蔡氏) 4명, 최씨(崔氏) 4명, 강씨(姜氏) 2명, 안씨(安氏) 2명, 고씨(高氏), 금씨(琴氏), 류씨(柳氏), 목씨(睦氏), 민씨(閔氏), 변씨(卞氏), 성씨(成氏) 각 1명 순이다. 이중에서 비중이 높은 신씨·이씨·김씨는 18세기에 작성된 문경향교의 각종 명부에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이 조선후기 향교를 중심으로 문경현 지역을 대표하던 성씨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45년부터 1853년까지 慶尙道 聞慶縣 소재 聞慶鄕校에서 校任을 역임한 인사들의 명부
任員錄
자료의 내용
1845년부터 1853년까지 慶尙道 聞慶縣 소재 聞慶鄕校애서 校任인 都有司, 掌議, 齋任·齋有司 역임 인사들의 명부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행해지는 朔望禮를 각각 ‘朔’과 ‘望’으로 표시하고, 여기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현임 도유사·장의·재임을 기재해 놓는 방식으로 자료가 구성되어 있다. 1845년 3월 朔부터 1853년 望까지 기록이 이어지는데, 書體로 보아 한 번에 작성된 것이 아니라 삭망례가 행해질 때마다, 또는 몇 달 단위로 추가로 기재가 이루어진 듯하다.
기재된 교임은 도유사·장의·재임으로 도유사의 경우 수령인 聞慶縣監이 직접 역임한 경우도 확인된다. 趙元和, 丁馨敎, 朴齊賓은 본 임원록이 작성되는 기간 동안 문경현감으로 있으면서 직접 도유사를 역임했던 것이다. 沈有澤도 謁聖禮를 행했음이 기재되어 있다. 향교가 官學을 대표하는 만큼 삭망례에 대한 수령의 관심이 컸던 것이다. 그 외 生員 李泰行이 帶恩祗謁, 進士 朴大陽이 謁聖한 기록도 부기되어 있다. 한편, 문경향교에는 본 임원록과 동일한 시기의 교임을 수록한 「乙巳 三月日 改正 任員錄」」이 전해지고 있는데, 수록 인물은 2~3명을 제외하고 거의 동일하다. 다만 본 임원록이 매월의 삭망례 참여 교임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복잡한데 반해, 「乙巳 三月日 改正 任員錄」은 일정하지는 않지만, 1~6개월 단위로 교임을 기재해 놓아 본 자료보다는 일목요연하게 교임을 파악할 수 있다.
각 교임별 역임자를 살펴보면 도유사는 문경현감을 제외하고 모두 20명이 역임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申氏 7명, 南氏 3명, 李氏 3명, 金氏, 鄭氏, 趙氏, 蔡氏, 崔氏, 洪氏 각 1명 순이다. 도유사는 削籍된 흔적이 열 세군데 나타난다. 향교 운영을 둘러 싼 여러 갈등이 표출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1848년 9월의 削籍 흔적 아래에는 ‘投邪故割去’라는 부기가 있다. 장의는 申氏 8명, 李氏 6명, 金氏 3명, 權氏 2명, 鄭氏 2명, 蔡氏 2명, 崔氏 2명, 洪氏 2명, 南氏, 朴氏, 成氏, 趙氏 각 1명 순으로 31명이 역임한 것으로 나타나며, 削籍 흔적은 열 두 군데다. 재임은 齋有司로고도 기재되어 있는데 모두 34명으로 성씨별로는 李氏 7명, 權氏 3명, 申氏 3명, 姜氏 2명, 金氏 2명, 朴氏 2명, 安氏 2명, 趙氏 2명, 洪氏 2명, 高氏, 琴氏, 柳氏, 睦氏, 閔氏, 卞氏, 鄭氏, 蔡氏, 崔氏 각 1명 순이다. 그리고 削籍 흔적이 네 군데 나타난다. 총 85명이 교임을 역임하였으며, 이들을 다시 성씨별로 나열하면 申氏 18명, 李氏 16명, 金氏 6명, 權氏 5명, 洪氏 5명, 南氏 4명, 朴氏 4명, 鄭氏 4명, 趙氏 4명, 蔡氏 4명, 崔氏 4명, 姜氏 2명, 安氏 2명, 高氏, 琴氏, 柳氏, 睦氏, 閔氏, 成氏, 卞氏 각 1명 순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인적 구성과 문경현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본 임원록에 기재된 교임은 도유사·장의·재임이다. 도유사는 校長·齋首·齋長이라고도 불리는 향교의 首任으로 향교를 대표하며 제반 업무를 총괄하는 자리였다. 고을 내 명망 있는 인사 중 원로 인사들이 주로 임명되었다. 副任인 장의는 1~2인이 임명되었으며, 향교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자리였다. 비교적 연소한 인사가 임명되는 재임도 1~2인이 임명되었다. 재유사·色掌이라고도 불리는데, 장의의 향교 업무를 보좌하였다. 문경향교는 이상의 교임을 갖추고 도유사 1인, 장의 1인, 재임 1인 체제로 운영되었던 것이다.
도유사·장의·재임 같은 핵심 교임은 고을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해당 고을의 명문벌족 출신의 인사들이 차지하였다. 본 임원록에 기재되어 있는 성씨 가운데 申氏, 李氏, 金氏의 비중이 높은데 이들 성씨는 문경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18세기의 任員錄과 靑襟錄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외 權氏, 洪氏, 南氏, 蔡氏 등의 성씨도 18세기와 큰 차이 없이 꾸준히 교임으로 임명되었다. 이들의 성관은 平山申氏, 順天金氏를 비롯해 缶林洪氏, 安東權氏, 仁川蔡氏 등으로 18~19세기에 걸쳐 문경향교를 중심으로 향촌사회에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던 가문이다. 한편, 18세기의 임원록과 비교해, 본 임원록에서는 宋氏, 吳氏, 全氏 등의 성씨가 확인되지 않는 대신, 琴氏, 卞氏, 睦氏, 安氏 등 새로운 성씨가 나타난다. 이들 성씨는 비록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지만, 문경현 내에서 가문의 이주와 부침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任員錄
三月朔乙巳
掌議李道行

都有司申仁東
四月朔
掌議李東陽
齋任安恭欽

縣監趙元和
都有司申益煥
掌議李東陽
五月朔
掌議李東陽
齋任安恭欽

掌議李東陽

六月朔
都有司申益煥
掌議李東陽

掌議李東陽
齋任安恭欽
七月朔
縣監趙元和
都有司申益煥
齋任安恭欽

都有司申益煥
掌議李東陽
齋任安恭欽
八月朔
都有司申益煥
掌議李東陽

齋任安恭欽

九月朔
掌議李東陽
齋任安恭欽

都有司申益煥
掌議李東陽
齋任安恭欽
十月朔
都有司行縣監趙元和
掌議李東陽
齋任金?煥

掌議李東陽
十一月朔
掌議李東陽

都有司行縣監趙元和
掌議李東陽

十二月朔
都有司行縣監趙元和
掌議鄭文熙
齋任琴錫範

齋任趙奎增
丙午正月朔
齋任趙奎增
初三日
都有司行縣監趙元和

掌議鄭文熙
齋任趙奎增
二月朔【初一日行享禮故更不焚香耳】
掌議鄭文熙

掌議申錫元
三月朔
都有司行縣監趙元和

齋任洪陽燮
四月朔
齋任洪陽燮

都有司行縣監趙元和
掌議申錫元
齋任洪陽燮
五月朔
掌議申匡弼
齋任李宅培

掌議申匡弼

閏五月朔
齋任李宅培

掌議申匡弼
六月朔
掌議申匡弼

掌議申匡弼
七月朔
掌議申匡弼
齋任李宅培

掌議申匡弼
齋任李宅培
八月朔
掌議申匡弼
八月望

掌議趙相增
齋任柳進河
九月朔
都有司崔章憲
掌議趙相增
齋任柳進河
九月望
都有司崔章憲
十月朔
都有司崔章憲
掌議趙相增
十月望
都有司崔章憲
掌議趙相增
齋任柳進河
十一月朔

都有司崔章憲

縣監趙元和
都有司崔章憲
掌議趙相增
齋任柳進河
十二月朔
都有司崔章憲

都有司崔章憲
掌議鄭驥文
丁未正月朔
齋任權基善

都有司李東行
掌議鄭驥文

齋任權基善
二月朔
掌議申斗會
齋任權基善
二月望
縣監趙元和
都有司李武孝
三月朔
都有司南正璣
三月望
都有司南正璣
齋任金秤均【改玉均】
四月朔
掌議■■■

都有司申匡桓
五月朔
掌議■■■

掌議■■■
齋任李幹直
六月朔
掌議
六月望
都有司申匡桓
七月朔
掌議■■■

都有司申匡桓
掌議■■■
齋有司朴鎭衡

七月十七日謁聖
縣監丁馨敎
八月朔
都有司申匡桓
掌議■■■
齋任朴鎭馨
八月望
都有司趙錫琦
掌議金炳河
九月朔
都有司趙錫琦
掌議金炳河

縣監丁馨敎
都有司趙錫琦
掌議金炳河

齋任朴圭錫
十月朔
都有司趙錫琦

都有司趙錫琦
十一月朔
掌議金炳河
齋任朴圭錫

都有司趙錫琦
十二月朔
掌議成復源
齋任鄭祖文

都有司行縣監丁馨敎
掌議成復源

戊申正月朔
掌議成復源
三日謁聖
都有司行縣監丁馨敎

掌議成復源
齋任李源垈
二月朔
掌議成復源
齋任李源垈

掌議成復源
齋任李源垈
三月朔
掌議成復源
齋任李源垈


齋任李源垈
四月朔
齋任李源垈

掌議成復源
五月朔
縣監丁馨敎
齋任李源垈

齋任李源垈
六月朔
都有司行縣監丁馨敎
掌議成復源
齋任李源垈

掌議崔瑢

七月朔
都有司申極會
掌議崔瑢

都有司申極會
掌議崔瑢
齋任洪鍾洛
八月朔
掌議崔瑢

掌議崔瑢
齋任洪鍾洛
九月朔
都有司■■■【投邪故割去】

都有司■■■

掌議申性源
十月朔
掌議申性源

都有司■■■
十一月朔
齋任李起行

掌議申性源
齋任李起行
十二月朔
縣監丁馨敎
都有司洪疇錫
掌議申性源

都有司洪疇錫

掌議洪鍾洛
己酉正月朔
掌議李洌
齋任權璲
正月望
掌議李洌
齋任權璲
正月二十三日謁聖
縣監朴齊賓
二月朔
都有司申匡晉

縣監朴齊賓
三月朔
掌議金殷相

齋任■■■

齋任■■■
四月朔
掌議金殷相
齋任■■■

掌議金殷相
閏四月朔
縣監朴齊賓
生員李泰行帶恩祗謁

掌議金殷相
五月朔
齋任■■■

掌議金殷相
六月朔
縣監朴齊賓

掌議金殷相
七月朔
掌議金殷相
七月望
掌議金殷相
八月朔
掌議金殷相

掌議李三魯
九月朔
都有司申景準
掌議李三魯

齋任蔡錫九

齋任蔡錫九
十月朔
掌議南用恒
齋任蔡錫九

掌議南用恒
十一月朔
都有司申景準
掌議南用恒
十一月望
掌議南用恒
十二月朔
掌議南用恒

掌議南用恒

庚戌正月初一日朔
掌議申井會
初三日
縣監朴齊賓

都有司南弘默
掌議申井會
二月朔
都有司■■■
掌議蔡文龜
齋任李宗翼
二月望
都有司蔡象沈
三月朔
齋任姜遠河
三月望
都有司蔡象沈
掌議申錫五

齋有司姜遠河
四月朔
掌議申錫五
四月望
掌議申錫五
齋任姜遠河
五月朔
都有司蔡象沈
五月望
齋任姜遠河
六月朔
掌議申錫五
六月望
都有司蔡象沈
掌議申錫五
齋有司姜遠河

七月朔
掌議申錫五
七月望
都有司蔡象沈
掌議申錫五
齋任姜遠河
八月朔
掌議申錫五
八月望
齋任姜遠河
九月朔
都有司■■■
掌議申匡國
齋任卞圭甲

都有司金學在

掌議申匡國
十月朔
掌議申匡國
齋任卞圭甲

都有司李敬行
掌議蔡光憲
齋任李鼎八
十一月朔
都有司李敬行
掌議蔡光憲
齋任李鼎八

都有司李敬行
掌議蔡光憲
齋任李鼎八

十二月朔
都有司鄭呂九
掌議蔡光憲
十二月望
掌議蔡光憲
辛亥正月朔
都有司朴周鳴
齋任姜周玉
正月望
都有司朴周鳴
掌議權相敎
齋任高百源
二十一日歲謁
縣監朴齊賓
二月朔
掌議李完孝

齋任李亨晉
二月望
齋任李亨晉
三月朔
掌議申景維
三月望
掌議申景維
四月朔
掌議申景維
同月望
掌議申景維
五月朔
齋任崔璣衡
同月望
掌議申景維
六月朔

掌議朴春信
六月望
掌議朴春信
七月朔
掌議朴春信
七月望
掌議朴春信
齋任申遇文
八月朔
掌議朴春信
齋任申遇文
八月望
掌議朴春信
齋任趙?
閏八月朔
掌議李之浩
閏八月望

掌議李之浩
九月朔
齋任趙?
九月望
掌議李之浩
十月朔日
都有司行縣監朴齊賓
掌議李之浩
齋任趙?
十月望
掌議李之浩
十一月朔
掌議李之浩
齋任趙?
十一月望
掌議李之浩
齋任趙?
十二月朔

掌議李之浩
十二月望
都有司■■■
掌議李之浩
壬子正月朔
掌議金炳晟
初三日謁聖
縣監朴齊賓

都有司■■■
掌議金炳晟
齋任申晉基
二月朔
都有司■■■
掌議金炳晟
齋任申泰昇

二月望
都有司申履會
掌議崔璉
三月朔
都有司申履會
齋有司閔在性
三月望
齋任閔在性
四月朔
掌議崔璉
四月望
掌議崔璉
齋任閔在性
四月二十一日
謁聖進士朴大陽

五月朔
都有司申履會
掌議崔璉
五月望
都有司申履會
六月朔
都有司申履會
齋任閔在性
六月望
都有司申履會
掌議崔璉
七月朔
都有司申履會
掌議崔璉

都有司申履會

掌議崔璉
齋任閔在性
二十五日謁聖
縣監沈有澤
八月朔
都有司申履會
掌議崔璉

掌議■■■
齋任睦英錫
九月朔
都有司■■■
掌議■■■
齋任睦英錫

掌議■■■

齋任睦英錫
十月朔
都有司■■■

掌議■■■
十一月朔
掌議■■■

都有司■■■
掌議■■■
齋有司睦英錫
十二月朔
都有司■■■
齋任睦英錫

都有司■■■
掌議權禹錫

齋任權之煥
癸丑正月朔
縣監沈有澤
齋任權之煥

都有司南漢植
掌議權禹錫
齋任權之煥
二月望
掌議洪象奎
齋任安仁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