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4년 수정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1726~1798년 임원록(任員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814.4728-20150630.Y1532303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문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작성시기 1814
형태사항 크기: 37.5 X 39.5
수량: 6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문경 문경향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814년 수정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1726~1798년 임원록(任員錄)
1814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소재 문경향교(聞慶鄕校)에서 수정(修正) 작성한 임원록(任員錄)이다. 임원록에는 1726년부터 1798년까지 문경향교의 교임(校任), 즉 향교 임원을 역임했던 인사들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다. 명부 말미에는 1814년 10월 본 작성한 민조영(閔祖榮)의 지(識)가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임원록의 작성 경위와 의의를 간략히 언급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이전의 임원록이 모두 유실(遺失)된 까닭에 문경향교에 전해지는 준분록(駿奔錄), 분향록(焚香錄), 전수기(傳受記) 등의 각종 자료를 통해 본 임원록을 재정리했음이 나타나 있다.
본 임원록에서 확인되는 교임으로는 도유사(都有司), 장의(掌議), 재임(齋任)이 있다. 도유사는 향교 운영을 총괄하는 자리로 향교와 고을을 대표하는 원로 또는 고을의 수령이 맡는 자리였다. 장의는 향교의 실질적인 운영을 책임지는 자리이며, 재임은 비교적 연소한 인사가 임명되어 장의를 보좌하며 향교 운영을 담당하였다. 문경향교는 도유사 1인, 장의 1인, 재임 1인 체제로 운영되었는데, 이들 자리는 지역의 대표적인 사족 가문 출신의 인사들이 맡았다. 임원록 본문에 수록된 351회의 교임 임명 기록을 살펴보면 대체로 신씨(申氏), 이씨(李氏), 김씨(金氏) 3개 성씨의 비중이 높으며, 그 외 민씨(閔氏), 채씨(蔡氏), 남씨(南氏), 권씨(權氏), 정씨(鄭氏) 등도 꾸준히 교임을 배출시킨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의 성관(姓貫)은 평산신씨(平山申氏), 순천김씨(順天金氏), 여흥민씨(驪興閔氏), 의령남씨(宜寧南氏), 인천채씨(仁川蔡氏), 안동권씨(安東權氏), 전주이씨(全州李氏) 등으로 이들 가문에 의해 문경향교 운영이 주도되었음을 알 수 있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14년에 修正한 慶尙道 聞慶縣 소재 聞慶鄕校의 任員錄으로 1726년부터 1798년까지의 역대 校任을 수록
甲戌十月日修正 任員錄
자료의 내용
1814년 修正된 慶尙道 聞慶縣 소재 聞慶鄕校의 任員錄이다. 여기에는 1726년부터 1798년까지 문경향교 校任인 都有司, 掌議, 齋任을 역임한 인사들의 성명이 기록되어 있다. 1814년 수정한 것은 기존에 전해지던 임원록이 遺失되어, 다른 향교 자료를 통해 재구성하였기 때문이다. 임원록은 명부와 임원록 작성 경위를 밝힌 申祖榮의 識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신조영의 識는 1814년 10월에 작성되었으며, 幼學 金履根이 書한 것으로 나타난다. 신조영문경현 출신의 유력 인사로 1798년 生員의 신분으로 문경향교 장의를 역임한 적이 있다. 識에서는 우선 한 고을의 중요한 文獻으로 靑襟錄, 駿奔錄, 焚香錄, 任員錄이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聖廟를 崇奉하는 자들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라 하였다. 문경향교에도 각종 명부가 존재하였음이 확인되나, 현재 준분록과 분향록은 하나도 전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근일 예전에 보관하던 여러 기록들이 많이 유실되었고, 그 중 임원록은 열중에 하나 둘 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한 달 동안 철저히 살펴 임원록을 정리했다고 한다. 그 방법은 분향록과 준분록에 의거하고, 傳受記에 있는 것을 상고하는 것이었다. 또한 의심이 나는 부분은 『春秋』의 夏五書法, 즉 闕文의 서법에 의거하여 1726년부터 1798년까지 교임 명부를 완성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 작업이 후세가 ‘杞宋無懲之歎’, 즉 징험할 것이 없어 안타까워하는 것을 덜기 위한 것이니, 완전하지 않은 『周禮』의 「冬官」을 채우는 작업과 동일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덧붙여 말하기를 사람의 자식 된 자는 비록 심히 不肖해도 父祖의 이름이 지극히 중요함을 잊지 않는데, 이전 기록의 유실은 이 기록에 있는 자들의 자손 된 입장에서 분명 우리들의 책임임을 통감한다고 하였다. 識 다음에는 지금 예전 것을 징험하여 후환을 대비하고자 이 기록을 만들었으니, 마땅히 그 법을 신중히 지켜 쉽게 버리지 말 것을 당부해 놓았다. 識 말미에는 1814년 당시 교임이었던 도유사 李之榮, 掌議 李明燮, 齋任 權師義와 會員 14명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본 임원록은 1726년 2월부터 1798년 10월까지의 기록이다. 기록 중간 중간에는 준분록, 분향록, 傳與記 등 참고한 자료도 함께 밝혀 놓았다. 그리고 1740년 가을부터 1743년 봄까지는 준분록과 분향록이 유실되어 전여기를 통해 보충하였으며, 1751년 봄부터 1753년 여름까지는 다른 자료들이 모두 유실되어 교임 명부가 비워져 있다고 하였다. 임원록은 문경향교의 교임 가운데서도 도유사, 장의, 재임을 수록한 것으로, 각 교임의 정수는 도유사 1인, 장의 1인, 재임 1인 체제였음을 알 수 있다. 임기는 대체로 1년 내외이며, 보통 임명되는 연배를 보면 ‘도유사-장의-재임’ 순이다. 이에 명부에 수록된 金日晃 같은 인사는 1727년 재임, 1734년 장의, 1754년 도유사를 차례로 역임한 것으로 나타난다. 교임 중 향교를 대표하는 도유사는 문경현의 사족을 대표하는 원로 인사가 맡았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수령인 聞慶縣監이 맡기도 하였다. 1787년에 金履鎬, 1792년에 朴彛源, 1796년에 宋倫載가 각각 문경현감으로 있으면서 도유사를 역임한 것이다. 조선후기 향교의 교임은 지방 사족이 관의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임명하였지만, 교화와 興學에 큰 관심을 가지는 수령이 부임하였을 경우, 직접 향교 首任인 도유사를 맡는 경우도 있었다.
1726년부터 1798년까지 교임 임명 회수는 총 351회다. 이 중 도유사는 106회 임명되었는데, 성씨별로 나열하면 申氏 23회, 金氏 22회, 李氏 22회, 閔氏 8회, 權氏 5회, 南氏 5회, 宋氏 4회, 鄭氏 4회, 蔡氏 3회, 高氏 2회, 安氏 2회, 全氏 2회, 姜氏, 朴氏, 張氏, 洪氏 각 1회 순으로 나타난다. 장의는 116회 임명이 이루어졌으며 성씨별 회수는 金氏 28회, 李氏 23회, 申氏 21회, 蔡氏 8회, 南氏 7회, 鄭氏 7회, 閔氏 6회, 權氏 5회, 洪氏 3회, 高氏 2회, 安氏 2회, 吳氏 2회, 柳氏, 朴氏 각 1회 순이다. 마지막으로 재임은 申氏 33회, 李氏 32회, 金氏 25회, 蔡氏 8회, 洪氏 7회, 張氏 6회, 閔氏 5회, 權氏 4회, 南氏 5회, 姜氏, 高氏, 柳氏, 鄭氏 각 1회 순으로 총 129회의 임명이 있었다. 이를 다시 합산하여 나열하면 申氏 77회, 李氏 77회, 金氏 75회, 閔氏 19회, 蔡氏 19회, 南氏 17회, 權氏 14회, 鄭氏 12회, 洪氏 11회, 張氏 7회, 高氏 5회, 宋氏 4회, 姜氏, 2회, 柳氏 2회, 朴氏 2회, 吳氏 2회, 全氏 2회 순이다. 대체로 申氏, 金氏, 李氏 3개 성씨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인적구성과 문경현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임원록에 표기된 교임은 都有司, 掌議, 齋任이다. 도유사는 교임 중 首任으로 校長, 齋首, 齋長으로도 불린다. 향교 운영을 총괄하였는데, 지역 사족을 대표하는 원로가 역임하였다. 副任인 掌議는 향교 재정을 비롯한 실무 책임자로 1~2인이 맡았는데, 문경향교에서는 1인이 임명되었다. 末任인 재임은 色掌, 有司, 齋有司 등으로 불린다. 고을의 연소한 유생이 임명되어 장의를 보좌해 향교 행정을 담당하였다. 장의와 마찬가지로 1~2인 임명되는데 문경향교는 1인만 임명되었다. 이상 도유사, 장의, 재임은 향교 운영을 실질적으로 책임지는 자리로 전통적인 재지사족들이 들어가는 東齋儒生 또는 靑襟儒生 출신 중에서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문경향교에 전해지는 1751년 「靑襟錄」 등재 인물 중 적지 않은 수가 임원록에 등재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도유사, 장의, 재임은 지역을 대표하는 재지사족이 번갈아가면서 맡는 자리였던 관계로 교임의 가문 분포를 살펴보면 문경향교를 비롯해 향촌사회를 주도하던 재지사족 가문의 위세도 함께 살펴 볼 수 있다. 본 임원록에서는 申氏, 金氏, 李氏 3개 성씨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한편 문경향교에는 본 임원록을 제외하고도 19세기 중후반의 교임을 수록한 세 편의 임원록이 함께 전하는데, 그 임원록에도 3개 성씨의 비중은 여전히 높다. 따라서 18~19세기를 거치는 동안 이들 성씨가 지속적으로 문경향교 운영을 주도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閔氏, 蔡氏, 南氏, 權氏, 鄭氏 등도 상당수의 교임을 꾸준히 배출시킨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 가문의 성관은 平山申氏, 順天金氏, 驪興閔氏, 宜寧南氏, 仁川蔡氏, 安東權氏, 全州李氏 등으로 18세기 문경향교를 중심으로 문경현 지역의 향촌사회를 주도한 가문이었던 것이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甲戌十月日修正任員錄

丙午二月日
都有司金日昇
掌議鄭國樑
齋任李重亨
丁未二月日
掌議金日省
齋任李後白
六月日
掌議鄭國柱
八月日
都有司李後松
掌議金是鉉
齋任金日晃

戊申二月日
都有司閔周彬
掌議權希選
齋任金南錫
己酉八月日
掌議鄭國柱
齋任申弼楚
庚戌二月日
都有司張宗閔
掌議閔周綱
齋任申弼直
辛亥二月日
都有司李厚亨
八月日
齋任李重亨
壬子二月日
都有司閔宙亮
掌議金日省

齋任李東燮
八月日
掌議申大恒
齋任洪夏九
癸丑二月日
都有司李綱
掌議吳?
八月日
都有司申厚儉
掌議安?
齋任申弼楚
甲寅二月日
都有司李夢井
掌議金日晃
八月日
都有司李望弼
掌議權處貞
齋任蔡球

乙卯二月日
都有司金日昇
齋任金日新
八月日
齋任李升國
丙辰二月日
掌議李繕
齋任申弼楚
八月日
都有司申大恒
掌議李昌國
齋任蔡?
丁巳二月日
齋任洪夏九
八月日
都有司金日曄
齋任申弼楚
戊午二月日

都有司金日省
齋任李後綱【改萬紀】
八月日
都有司閔周綱
掌議安達世
齋任李升國
己未二月日
掌議金日章
齋任李萬紀
八月日
齋任金重鉉
庚申二月日
都有司申厚儉
掌議蔡?
齋任金日輝
右依駿奔錄考正
庚申秋至癸亥秋焚香
幷失故闕之

辛酉月日
掌議閔周緯
壬戌三月日
掌議金日井
八月日
掌議蔡球
右考傳與記補遺
癸亥十月日
都有司鄭國柱
掌議權處貞
齋任金光錫
甲子四月日
都有司閔周天
掌議李昌國
八月日
齋任申弼喆
十二月日
掌議蔡膺祜

齋任金實
乙丑二月日
掌議閔泳洙
三月日
都有司安?
齋任李濟安
十月日
齋任張應壽
十二月日
都有司李後膺
丙寅正月日
齋任申弼敎
二月日
掌議吳尙洙
三月日
都有司金{山+晉}
十二月日
齋任蔡命臣

丁卯正月日
都有司申光哲
掌議洪夏五
六月日
齋任閔思洙
戊辰二月日
都有司閔周龜
掌議申弼喆
四月日
齋任張應壽
八月日
齋任閔思淵
十月日
都有司蔡膺祜
己巳正月日
都有司權聖濟
齋任金泰鉉
二月日

都有司申大玉
三月日
掌議金日輝
齋任金實
五月日
掌議蔡球
庚午二月日
都有司金啓鉉
齋任高日柱
四月日
掌議鄭光鉉
六月日
掌議申弼楚
八月日
都有司安達世【進士】
齋任申?
十一月日
掌議金光錫

辛未正月日
掌議鄭之?
二月日
都有司李綢
齋任金日鍊
三月日
掌議金日輝
右依焚香錄考正
辛未春至癸酉夏焚香駿奔兩錄
幷失故闕之
癸酉五月日
齋任金澤龍
六月日
都有司權聖濟
掌議申舜岳
九月日
齋任金泰鉉
甲戌二月日

都有司金日晃
四月日
都有司申大玉
掌議閔思洙
齋任申?
九月日
齋任金禹鉉
乙亥正月日
掌議金重鉉
齋任鄭光輔
三月日
都有司李後承
掌議李拯國
十一月日
都有司閔綢緯
丙子正月日
都有司申用休
五月日

掌議金光錫
十一月日
都有司高日齊
丁丑二月日
齋任申休德
五月日
掌議申履岳
齋任李光春
七月日
都有司金日井
八月日
都有司高命楫
十月日
掌議金應海
十二月日
齋任申百增
戊寅二月日

都有司申舜岳
己卯正月日
掌議李拯國
五月日
都有司南鼎寶
閏六月日
都有司金日瑞
十月日
齋任金以鉉
庚辰四月日
掌議申休德
五月日
都有司申光旭
八月日
掌議申萬增
辛巳七月日
掌議申重岳
八月日

都有司李憲國
十一月日
掌議高厚健
壬午正月日
都有司蔡?
二月日
掌議李慶益
三月日
都有司鄭光鉉
四月日
掌議高日柱
閏五月日
齋任金以鉉
七月日
都有司申克恒
掌議金泰鉉
九月日
都有司權聖濟

十月日
齋任申休得
癸未三月日
齋任金禹鉉
五月日
都有司金澤普
六月日
都有司宋翼九
七月日
都有司李拯國
掌議蔡德運
齋任金以鉉
八月日
掌議金應海
甲申正月日
齋任申炅
二月日
掌議金禹鉉

三月日
都有司鄭光鉉
四月日
齋任申思友
八月日
齋任蔡蓍元
九月日
掌議申日復
乙酉閏二月日
齋任金東範
五月日
掌議李重春
八月日
齋任李慶會【改師寬】
金澤潤
十月日
都有司金光錫
掌議申日復

丙戌二月日
掌議金以鉉
齋任申百增
三月日
齋任李宜泰
九月日
都有司進士申象岳
右依焚香錄考正
丁亥二月日
都有司李拯國
掌議李重夏
八月日
掌議申炅
齋任申百熙
戊子二月日
齋任金澤潤
八月日
都有司申履岳

掌議南鼎燁
齋任李師百
己丑二月日
都有司申弼敎
掌議申百熙
齋任金國鉉
五月日
掌議南必隣
八月日
都有司金應海
掌議閔雨龍
齋任申?
庚寅三月日
掌議李濟聖
八月日
都有司金日三
掌議李師百
申致龍

齋任張璞
辛卯二月日
都有司南鼎{火+業}
掌議申致龍
金祖範
齋任李濟邦
八月日
掌議權廷彦
壬辰二月日
都有司閔思濂
掌議申百增
齋任權應相
八月日
都有司金澤龍
掌議申休得
齋任李有燮
癸巳二月日
都有司全益濟

掌議申?
齋任申錫一
八月日
都有司金澤普
甲午二月日
齋任李師周
八月日
都有司南宗敬
掌議申百泰
齋任權應相
乙未二月日
都有司南鼎宅
八月日
齋任李根址
丙申二月日
掌議權梓
丁酉二月日
都有司鄭光輔

掌議洪繼箕
齋任申溶【進士】
五月日
掌議金履慶【改仁慶】
八月日
都有司李彦國
掌議南必曄
齋任洪啓輔
戊戌二月日
掌議李濟邦
齋任金龍海
八月日
都有司申致晩
齋任南必岳
己亥二月日
都有司李憲國
八月日
都有司金應海

掌議金東範
齋任申相昇
庚子二月日
都有司南鼎宅
齋任李碩運
八月日
都有司申萬增
掌議申{火+?}
齋任柳章春
辛丑二月日
都有司申世岳
掌議南?逸
齋任洪啓輔
三月日
掌議蔡蓍元
八月日
都有司南必隣
掌議李師萬

齋任李震泰
壬寅二月日
都有司全璧來
掌議鄭?
八月日
都有司金澤普
掌議李師龍
齋任南必岳
癸卯二月日
齋任蔡定麟
八月日
都有司申萬增
齋任申思寬
甲辰二月日
都有司李東燮
掌議金應沂
齋任李墺
八月日

都有司申思九
掌議蔡紹明
齋任洪聖稷
乙巳二月日
都有司李憲國
掌議李徽素【改再素】
齋任權必顯
八月日
都有司李裕新
掌議鄭?
齋任李墺
丙午二月日
都有司金澤龍【進士】
掌議金德慶
齋任申宅義
右依駿奔錄考正
三月日
都有司姜晉經

四月日
都有司閔雨龍
丁未二月日
都有司行縣監金履■(鎬)
掌議申百謙
齋任李之榮
戊申二月日
都有司權?
掌議李墺
齋任申宗憲
七月日
都有司申光胤
己酉二月日
都有司李重春
三月日
都有司金祖範
八月日
都有司金以鉉

九月日
齋任閔祖榮
庚戌正月日
都有司李再素
掌議金澤龍
三月日
齋任李培一
五月日
都有司洪繼箕
掌議金祖慶【改繼淳】
八月日
齋任申漢東
十一月日
齋任南漢蓍
辛亥二月日
都有司申百泰
掌議金龍海
齋任蔡河明

四月日
齋任南漢昭
五月日
都有司申炅
十一月日
齋任李希燮
十二月日
掌議南漢昭
壬子正月日
都有司李再素
齋任申鳳岳【改僖岳】
四月日
齋任姜惠祖
五月日
掌議金祖慶【改繼淳】
齋任申百麟【改百毅】
七月日
都有司行縣監朴彛源

掌議洪聖稷
齋任李行裕
九月日
掌議李恒燮
齋任張翊龍
十月日
都有司李再素
十二月日
齋任李{示+樂}
癸丑六月日
齋任洪聖尹
九月日
都有司申{火+?}
齋任蔡亨東
十月日
掌議金性魯
甲寅正月日
都有司蔡德進

掌議李仁泰
齋任李?
三月日
掌議金澤麗
六月日
都有司申致龍
掌議朴台慶
齋任金龜範
八月日
都有司李師百
掌議蔡定鳳
九月日
都有司李再素
掌議柳以儉
齋任申匡六
乙卯四月日
掌議李墺
齋任權進百

八月日
齋任蔡定宅
十一月日
齋任金容根
丙辰正月日
都有司行縣監宋倫載
掌議南漢昭
二月日
掌議李泰燮
齋任李希燮
三月日
掌議金弘慶
齋任申匡復
八月日
齋任洪聖尹
十月日
掌議李墺
齋任李時馥

丁巳二月日
齋任李{土+寅}
三月日
都有司李再素
掌議南必岳
齋任閔致滎
六月日
都有司行縣監宋倫載
齋任李時馥
八月日
齋任申孝然
十一月日
齋任申匡元
戊午二月日
齋任申擎岳
四月日
掌議李之榮
齋任張師欽

五月日
掌議李光再
齋任閔泰榮
六月日
掌議生員閔祖榮【文正言
七月日
都有司金宅淳
掌議李之榮
齋任李明燮
十月日
都有司行縣監宋倫載
齋任張宇楨
右依焚香駿奔兩錄考正
己未三月日
一鄕之文獻莫過於靑襟駿奔焚香與
任員諸錄蓋所以崇奉聖廟者在是所
以謹識先單名迹而思以址其美者在是所以

仰承國家之敎化?躬繕行明乎進退之
義與乎廉恥禮讓之風不失夫士君子矩?
者亦在是於是而不知恪守焉則尙可曰肖於家
而秀於鄕乎哉不幸近日舊藏諸錄間多遺失
至於任錄殆乎十不一二存焉此則吾輩之責也
閱月根究旣不可得則不獲已謹以見在焚香
駿奔爲據而旁考傳受記所載其有可疑處倣
春秋夏五書法而闕之斷自英宗丙午?于
先朝戊午參互??重整一通然杞宋無徵之
歎或不能無後人之盛非敢曰此書直可以補周禮
冬官之闕蓋以爲▣▣大▣▣獲得古文▣▣▣
此薦者其亦不害爲今文耳錄旣成成以爲失之
修之之由不可以不識於養端而且曰凡爲人子孫者
雖甚不肖豈不知父祖名諱之至重而不可忽哉然
則向者是錄之失殆非是錄中子孫者之罪也今
欲懲於前而毖後患宜莫若愼簡其任此不易
之理也在後之賢尤不可不知有志於恪守是
錄者其於薦代之際尙愼?哉
甲戌陽月朔日戊午正字閔祖榮
幼學金履根
都有司幼學李之榮
掌議李明燮
齋任權師義
會員李恒燮
李時馨
鄭賓鎬
李重燮
金元慶
李翼燮
申翼東

金壽範
鄭東暹
閔昇照
洪範錫
李之業
李鎬俊
李晟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