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84년부터 1775년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775.4725-20150630.Y153220101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775
형태사항 크기: 36 X 24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39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1684년부터 1775년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본 청금록은 영조 7년(1731)부터 영조 17년(1741)까지 11년간 작성된 명부이다. 함창향교에 소장된 본 자료는 177명의 향원을 수록하고 있으며 겉표제는 청금록이며 좌목에는 좌목은 성명과 改名, 仙 등을 기재해 두고 있고 좌목 말미 마다 교임명단이 적혀있다. 청금록은 향교의 校生 가운데 양반사족으로 구성된 儒生의 案으로 조선후기 재지사족들만의 배타적 명부인 청금록을 만들어 향론을 주도해 나갔기 때문에 입록자의 현황을 통해 당시 지역 여론을 주도했던 세력을 파악 할 수 있다. 177명이 수록된 본 청금록의 상의 성씨를 나열하면 이씨 31명, 채씨 25명, 신씨 24명, 권씨 18명, 류・홍씨 12명, 남・김씨 10명, 鄭氏 7명, 강・곽・박씨 각 5명, 안씨 3명, 윤씨 4명, 趙氏 2명 민・송・庾・최 각 1명 순이다. 여타 향안과 교안의 입록자 성씨 분포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조선후기 함창지역은 이들 가문들 향론을 주도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록자 중 과거급제 또는 사마시 합격자 4명 뿐으로 그 비율이 극히 낮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韓國의 鄕校硏究 』,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684년부터 1775년까지 함창향교(咸昌鄕校)에서 작성한 청금록(靑衿錄)
자료의 내용
청금록(靑衿錄)은 조선후기 향교에 출입하던 양반사족인 청금유생을 기록한 명부이다. 청금유생은 향교에 출입하였던 양반사족의 명부로서 평민 또는 서얼들로 이루어졌던 교생(校生)과 대비되는 존재들로 교임과 함께 향교를 구성하는 중요한 인적 구성이자 운영 담당자였다. 현재 함창향교에 현전하는 청금록은 모두 5책으로 숙종 10년(1684)부터 영조 51년(1775)까지 92년간 걸쳐 교안(校案)과 병행해서 작성되었다.
본 자료는 5책 가운데 하나로 영조 7년(1731)부터 영조 17년(1741)까지 3회에 걸쳐 177명이 수록된 청금록이다. 겉표제에는 청금록으로 되어있고, 본 좌목에는 성명, 改名, 仙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해 두고 있고 말미에 교임명단이 있다.
2차례 加錄되고 있으며 중복된 경우 없이 매번 새로운 인물이 입록 되어 있다. 이는 양반사족의 명부로 청금록과 동일한 성격의 사족명부인 교안과 같이 청금록의 입록에 있어서도 定額의 개념이 없다. 첫 번째 좌목은乙酉(1731) 6월 초1일 것으로 112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22명, 채씨 19명, 신씨 15명, 권씨 12명, 남・류・鄭씨 각 7명, 곽・김씨 각 5명, 홍씨 4명, 박씨 3명, 안・윤씨 각 2명, 庾・趙氏 각 1명 순으로 이씨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온다. 이중 관직명은 보이지 않고 다만 3명이 급제를 1명은 사마시에 합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좌목 말미에는 上齋申, 掌議申, 有司柳로 끝을 맺고 있다. 두번째 좌목은丁亥 8월 8일 것으로 26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신・홍씨 각 4명, 姜・이・채씨 각 3명, 남・윤씨 2명, 권・박・송・안・趙씨 각 1명 순이다. 이중 관직자나 급제자가 보이지 않고 좌목 말미에는 上齋南, 掌議蔡, 有司申으로 기록하고 있다. 세번째 좌목은庚寅 2월 2일 것으로 39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6명, 신・류・김・권씨 각 5명, 홍씨 4명, 채씨 3명, 姜氏 2명, 최・박・민・남씨 각 1명 순이다. 이중 관직자나 급제자가 보이지 않고 좌목 말미에는 上齋南, 掌議申, 有司權으로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이들 성씨들을 향안과 교안에도 중복 입록자들이 다수가 확인된다. 이러한 사실은 청금록과 향안 및 교안이 독립적으로 작성·운영된 것이 아니라 모두 양반사족의 권위를 상징하는 명부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당시 향교에 출입하였던 청금유생은 향교 운영을 주도했을 뿐 아니라 향안의 운영에도 동시에 참여하였던 함창의 재지사족층 이었다. 청금록에 기재된 교임의 구성 都有司, 上齋, 掌議, 有司, 회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유사는 향교운영의 총책임자로 향중의 명망있는 인사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장의와 유사는 도유사를 보조하는 양반유생들이었다.
자료적 가치
함창향교 청금록은 17세기 이후 함창향교의 인적구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를 통해 당시 청금유생의 입록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른 案과비교를 통해 함창의 향촌사회내 사족의 동향과 향교와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반면 관직 내지 관품자의 비율은 극히 낮게 나타나는 점은 함창지역 사족들이 仕路 진출이 완전히 막혀 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靑衿錄

柳起漢【仙】
鄭碩賓【仙】
李珏【仙】
蔡命範
蔡大徵

申銳
申鎭岳
李敏興【仙】
蔡昌徵【仙】
李好謙

申鎭大
權鉉【仙】
南夢獜
郭喜晩【改麒世】
金泰齡

李德謙
申鎭普
柳明漢
蔡時錫
申鎭邦【仙】

蔡遵
趙始成
李璿【仙】
柳雄漢
權以時

洪命錫
申夏鉉【仙】
蔡斗徵
申命興
李遂興

申鎭華
李斗興
郭再晩【改麟世】
鄭大成
權銑【仙】

申鎭世
洪重錫
蔡命吉【改命】
申鎭萬【仙】
權瑺【改珝】

鄭纘善
洪圭錫
安恒
鄭碩獜【仙】
蔡時欽

朴瑞應
李箕興
郭來晩
金九齡
李宜謙

朴瑞獜
鄭天成
蔡鳳徵
蔡吉徵【仙】
柳玄齡

李夏謙
權鐸
李弘謙
蔡亨吉
郭徵晩【改鳳世】

蔡命喆【改命運】及第
李獜興
蔡命亨【及武】
鄭碩臣
申鎭崙【仙】

李處源
李光謙
金琇
南?【改?】【仙】
金瑀

李震開
申鎭宇
南圖䎘
權昌大【改處大】【仙】
李鼎謙

柳章漢
安晶
李俊謙
權廷
柳祥翼【及第】

權欽【仙】
蔡時鎭
申鎭紀
權鎭【仙】
鄭峻【仙】

庾以復
柳德齡【仙】
朴禮恒【仙】
李文興
洪聖衍

權鎨
李獜錫
蔡逢吉
尹德衡
李泰謙

蔡徵休
蔡命寶【癸巳司馬】
李震泰
南圖海
李震基

申鎭維
權昌錫【改任大】
申光澤
權鑊
蔡應吉

南汝銑
尹德純
蔡命弼
郭成晩【改龜世】【仙】
南圖振

金璞
南圖運
乙酉六月初一日上齋申
掌議申
有司柳

加錄
宋治文
權重時
洪命龜
洪宇龜

姜文輔【仙】
姜鎭恒【仙】
朴瑞猉
李挺萬
申震龜

尹?
蔡遇
蔡亨復
李華謙
洪冑信

洪聖績
姜{木+賢}
申鎭岱
尹煓
趙再昌【改守球】

申重泰
蔡徵來
安曄【仙】
南圖雄
申以濟

南汝鎭
李雲秀
丁亥八月八日上齋南
掌議蔡
有司申

加錄
崔嶺
金弘道
權重泰
李雄萬【仙】

申玉鉉
閔瑄【改興龍】
權重道
權和
李之莢

李基完
李鳳錫
洪聖潤
蔡命相
柳祥晋

權{玉+獻}
蔡命說
洪聖澤
柳祥天
柳祥休

蔡晩成
姜標
權鏽

姜晋泰

李德馥
申光殷
金玶
金{玉+式}
南圖遠

柳祥采
李增馥
洪達俊
申鎭九
申光周

朴瑞奎
金瑎
申光翼
金玾
柳龜齡

庚寅二月二日上齋南
掌議申
有司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