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73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773.4725-20150630.Y153220101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773
형태사항 크기: 30 X 23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58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1773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1873년에 작성된 경상도 咸昌縣 鄕案이다. 함창향교에 소장된 본 향안은 2회에 걸쳐 392명의 향원을 수록하고 있고 내지에는 咸昌鄕案座目으로 기록되어 있고 좌목은 성명과 관직만을 기재해 두고 있다. 조선후기 재지사족들은 향안에 입록함으로써 향론을 주도해 나갔기 때문에 입록자의 현황을 통해 당시 지역 여론을 주도했던 대체적인 성씨를 파악 할 수 있다. 본 향안에서는 35개의 성씨가 확인되는데 이씨 79명, 김씨 46명, 채씨 31명, 권씨 29명, 申氏 25명, 남씨 24명, 홍씨 22명, 柳씨 20명, 姜씨 19명, 박씨 20명, 인씨 12명, 손씨 10명, 趙씨 8명, 허씨 6명, 곽·안씨 5명, 송·장·황씨 3명, 반·서·양·윤·鄭·최씨 2명, 庚·문·민·邊·卞·심·오·林·曹·秦씨 각1명 순이다. 본 향안은 18세기 향안의 특징 즉 입록자 수의 격증으로 인한 향안 권위가 약화되는 모습이 나타나는데 현존 향안 중 가장 많은 성씨가 등장하는 것이 바로 그러한 현상이다. 또한 이씨가 가장 많으며 김씨, 채씨, 권씨, 남씨, 신씨, 홍씨, 류씨 8개 성씨가 70%를 차지하는 비중으로 미루어 18세기 후반 함창의 향안은 이들 성씨들이 장악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입록자 중 관직을 가진 자는 城主 1명 뿐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韓國의 鄕校硏究 』,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73년에 작성된 경상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자료의 내용
1773년에 작성된 경상도 咸昌縣 鄕案으로 함창향교에 소장되어 온 자료이다. 함창향교에는 모두 7종의 향안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 향안들은 다소 중복되거나 연대가 비슷한 것이 있으나 舊案·加錄·座目·繼錄 등의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본 자료의 명칭은 咸昌鄕案座目이며 겉표지 표제는 鄕案正案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을 거치면 소실 된 향안들은 17세기에 집중적으로 복구가 이루어지는데 시기적으로 지역적으로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대체로 17세기 중엽까지 향안 입록은 재지사족들의 공론에 의해 추진되는 추세였다. 본 향안은 현전하는 자료 중 1607년 복구 된 이후 1691년, 1748년, 1769년에 이어 5번째로 향안은 1773년 정월과 5월 2차례에 걸쳐 입록 하였다. 본 향안의 좌목은 본관, 字號, 생년간지 등에 관한 사항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단지 성명과 관직 또는 관품만을 기재해 두고 있다. 첫 번째 좌목은 1773년 정월 초1일의 것으로 12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3명, 박·申氏 각2명, 권·김·남·인·채씨 각1명 순으로 8개의 성씨가 나타나며 관직 보유자는 없다. 향안 말미에는 癸巳正月初一日이라고 기록하고 있고, 날짜 아래에는 당시의 향안 작성에 참여한 僉知 蔡,座目 權, 校長 李, 院長 南을 명기해 놓았다. 두 번째 좌목은 1773년 5월 초3일의 것으로 380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76명, 김씨 45명, 채씨 30명, 권씨 28명, 남·申氏 23명, 홍씨 22명, 柳씨 20명, 姜씨 19명, 박씨 18명, 인씨 11명, 손씨 10명, 趙씨 8명, 허씨 6명, 곽·안씨 5명, 송·장·황씨 3명, 반·서·양·윤·鄭·최씨 2명, 庚·문·민·邊·卞·심·오·林·曹·秦씨 각1명 순으로 35개의 성씨가 나타나며 관직 보유자는 城主 1명 뿐이다. 앞선 향안들보다는 전체 성씨 숫자는 증가하며 이씨가 가장 많으며 김씨, 채씨, 권씨, 남씨, 신씨, 홍씨, 류씨 8개 성씨가 70%를 차지하고 있어 이들 성씨가 18세기 후반 함창의 향안을 장악했던 대체적인 성씨들로 볼 수 있다. 관직 비율이 극히 낮은 수치는 이는 이미 인조반정 이후 노론 전제정권에 따른 재지사족들의 중앙 관료 진출이 어려워지는 추세와 내적으로 폐쇄적이고 배타적으로 운영되던 향안 권위가 사라진 현상이 반영된 것이고, 향안이 더 이상 양반의 상징이 될 수 없음을 의미하기도 하다. 두 번째 향안 말미에는 崇禎紀元後三癸巳五月初三日 기록하고 있고, 날짜 아래에는 참여자에 대한 기록은 없다.
자료적 가치
본 향안은 18세기 후반 함창지역 사족들의 인적구성과 성씨분포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향촌사회에서 자신들의 지위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작성된 향안은 18세기 들어서면 입록자 수가 격증하고 파치 되는 시기에 접어들어 향안의 권위가 크게 약화되는 추세가 이어진다. 그래서 입록 기준 완화 상황이 향안에 그대로 반영되어 현존 향안 중 가장 많은 성씨가 등장하는 요인이 된다. 반면 관직 내지 관품자의 비율은 극히 낮게 나타나는 점은 함창지역 사족들이 仕路 진출이 완전히 막혀 있거나 향안이 더 이상 양반의 상징이 될 수 없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조선후기 향촌사회 권력구조 변동에 대한 시론』, 김인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鄕案正案

咸昌鄕案 座目
金羲徹
申光楚
蔡光澤
李允榏
權聖溥
印龜文

南鼎安
朴瑞國
李光溫
李濟鴻
申佶
朴尙燦

癸巳正月初一日
僉知蔡
座目權
校長李
院長南

加錄
柳凝之【城主】
柳宜浻
柳順慶
柳餘慶
柳宗慶
柳以然

柳錫彩
柳溥
柳洙
柳星寅
柳震彦
崔宗岳
李德純

李處堡
李處岱
李晩華
姜齊運
姜齊建
姜載龍
姜必耈

姜必周
姜震顯
姜德顯
姜道顯
姜周顯
金偉
金光信

金佺
金俊
申南藩
柳祥允
柳宜慶
柳宜彩
柳宜洵

李奎觀
李載春
李元仁
李元義
李處仁
安應駿
朴成宅

趙命秀
申弼英
洪龜成
柳益齡
洪惠吉
趙允益
金希璧

金光澤
金光漢
金光郁
金聲一
金光國
金濟
趙正棋

張世漢
申鎭文
申光纘
洪胤復
朴增郁
金道恒
權柱

洪聖錫
洪冑仁
權信
金性玉
庚繼貞
李濟殷
朴必茂

朴尙質
李弘烈
姜世東
李允堥
李齊崇
李齊光
李若天

李齊愼
李齊海
李齊河
李春玉
李崑玉
李之玉
李性玉

李鉉玉
權宗煥
權聖濯
朴宗胤
姜仁瑞
李日進
權謜

宋仁奎
宋原宗
曹德基
李允馧
申思洪
黃達文
黃河淸

黃河潤
權聖行
權鎰
權聖源
李允恭
權檀
權倜

蔡珣
蔡{玉+集}
蔡玧
蔡{玉+燮}
蔡瑄
蔡?
申思泰

權儉
宋道明
權聖一
權聖宜
金輝洛
安命世
權諫

梁世重
李光春
申思鐸
李夏發
李夏淙
李光國
南命和

南命業
南命宅
安胤泰
申範恒
姜命興
南命申
姜晉弼

印東元
申尙積
姜命成
印成玉
孫振顯
印成文
印成贊

李元重
洪胤天
洪胤南
印東郁
趙炫文
申思齊
李致永

權{玉+頁}
李枝永
申思?
梁萬榮
蔡潤
蔡璞

李演
李{氵+顥}
李澈
李濈
李聃齡
李光履
李錫履

李商履
權樟
權坊
申檠
李齊觀
李東哲
李東禎

李東苾
李義慶
洪益漢
申思益
郭師顔
郭師元
郭宗弼

郭文穆
郭昌國
金學天
金適魯
金致洪
金致溟
金百鍊

金致海
金龍羽
洪天河
洪樂源
洪樂運
洪樂禹
洪樂一

洪啓河
洪潤河
洪受河
洪祥河
洪龍河
洪注河
洪紀河

洪廷輔
申光禹
申光億
申思穆
李熙坤
張大成
邊國萬

姜櫟
姜杙
孫德宋
孫德裕
孫繩顯
孫運顯
孫始顯

孫雲成
孫是恒
蔡洪大
蔡極轍
蔡景洪
林國彰
蔡羽國

蔡夏圭
吳潤
朴尙賢
朴尙秀
朴尙枝
金兌興
金兌增

蔡元大
蔡浩大
蔡翼大
金礪彬
蔡景模
蔡德轍
蔡景楷

蔡景海
徐重稷
徐命祐
文尙宋
許瑍
許璡
許胤

南鼎祿
南師正
南漢龜
朴熙春
南宅交
南宅隅
朴尙新

南鼎烈
南圖維
南鼎郁
南鼎雲
金胤澤
朴文起
朴文昌

許球
許珠
許倬
潘夏錫
潘景洛
南道濟
南道{車+旬}

李泰興
朴履亨
李文龜
李重爀
李重宅
李重華
李重春

朴宜春
閔思舜
尹相履
金鉉佐
李達龍
李達明
李文興

崔壽{忄+百}
趙宗晉
李百祥
權憲
南漢俊
南漢師
南必泰

趙疇
權煜
金振玉
金必玉
南鼎齊
南弼朋
南弼友

南胤漢
鄭東煥
尹佶
鄭鍷
蔡德銓
申尙奭
李顯陽

安興輔
南必衡
安聖輔
申思周
申思宗
姜文欽
沈箕岳

孫雲瑞
蔡溥澤
蔡膺穆
蔡善繼
蔡膺祊
蔡景仁
蔡洙大

張世緯
申達陽
李處均
姜惟
姜周相
趙榮宅
孫雲五

朴尙根
趙宗秀
金履達
李允實
李允發
印相禮
印鳳文

蔡景襄
蔡膺福
洪碩溥
權大興
權大一
權宜智
朴致興

金載運
金載相
金載潤
金載璜
金載郁
金纘宗
金守宗

印棋文
印彪文
印彙文
印龍文
金學徹
金膺徹
蔡膺吉

權記
權{言+厚}
權瞭
權睆
申思廉
申光學
柳萬春

金載輝
金以宗
金新宗
金龍宗
金光運
秦宅東
權?

李壽輝
李陽俊
李星老
李星煥
李震龍
金世徹
申南錫

柳祥一
柳以漢
柳以稷
李德源
李星庚
李星玉
李星龍

李德新
朴龍錫
李星一
李星五
朴思淳
權璹
李蕆

李壽增
李壽耆
卞尙玉
金國宗

崇禎紀元後三癸巳五月初三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