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1~1775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청금록(靑襟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751.4728-20150630.Y15323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문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작성시기 1751
형태사항 크기: 49 X 35.5
수량: 67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문경 문경향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751~1775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문경향교(聞慶鄕校) 청금록(靑襟錄)
경상도(慶尙道) 문경현(聞慶縣) 소재 문경향교(聞慶鄕校)에서 1751년부터 1775년까지 10회에 걸쳐 작성한 청금록(靑襟錄)이다. 청금록은 향교에 소속된 유생(儒生)들의 명부 중 하나다. 조선시대 향교에는 사족뿐만 아니라, 준수(俊秀)한 일반 평민, 그리고 피역(避役)을 도모하는 이들 등 다양한 부류가 속해 있었다. 기존의 사족들은 이러한 비사족(非士族)과 구분 짓는 각종 명부를 작성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청금록이었다. 청금록은 향교 교생(校生) 가운데서도 지역의 명문 사족만이 수록되었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7세기 중반 이후 청금록 작성이 확산되어 갔다. 본 청금록은 문경향교에 전하는 유일한 청금록으로 늦어도 18세기 중엽에는 문경현의 사족들이 청금록을 작성해 나가며, 사족 중심의 신분질서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음을 알 수 있는 자료다.
본 청금록은 신광악(申光岳)이 작성한 서목과 10회에 걸쳐 작성된 청금록 유생 명부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는 청금록의 작성 경위가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으며, 명부에는 총 215명에 달하는 청금유생의 성명을 수록해 놓았다. 1751년 3월 30일자로 작성된 첫 명부에 40명을 수록한 이후, 1775년까지 165명이 추가로 입록되었는데, 이들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신씨(申氏) 66명, 이씨(李氏) 43명, 김씨(金氏) 42명, 남씨(南氏) 11명, 권씨(權氏) 8명, 민씨(閔氏) 7명, 채씨(蔡氏) 7명, 류씨(柳氏) 5명, 정씨(鄭氏) 5명, 박씨(朴氏) 4명, 고씨(高氏) 3명, 장씨(張氏) 3명, 홍씨(洪氏) 3명, 조씨(趙氏) 2명, 강씨(姜氏), 송씨(宋氏), 원씨(元氏), 전씨(全氏), 최씨(崔氏), 황씨(黃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입록 성씨 가운데서는 신씨, 이씨, 김씨의 비중이 높아 이들 성씨가 향교 운영을 주도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신씨는 16세기 문경현의 대표적인 재지사족 가문으로 자리매김한 평산신씨(平山申氏) 가문으로 확인된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51년부터 1775년까지 慶尙道 聞慶縣 소재 聞慶鄕校에서 10회에 걸쳐 작성한 靑襟錄
靑襟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聞慶縣 소재 聞慶鄕校의 靑襟錄이다. 1751년부터 1775년까지 10회에 걸쳐 작성되었으며, 모두 215명의 儒生을 수록해 놓았다. 청금록의 본문은 1751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申光岳의 序文과 유생의 명부로 구성되어 있다.
문경향교 齋長이었던 신광악의 서문에서는 청금록의 작성 경위를 간략히 언급해 놓았다. 서문에는 먼저 청금록이 곧 儒案이니, 안동상주 같은 큰 고을이든 예천함창 같은 작은 고을이든 모두 청금록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였다. 18세기 무렵 영남 지방의 향교에서 일반적으로 校生과 구분하는 청금록이 작성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면서 ‘時額儒生’은 鄕任으로 擬望하지 못하나, 우리 읍은 해수가 차지 않아도 통용하기 때문에 매우 개탄스럽다고 하였다. 그래서 城主께서 부임한 후 향교를 크게 부흥시키기 위해 1751년 3월, 長老와 少年들이 모든 모인 자리에서 먼저 鄕案을 바르게 하고, 이어 校錄을 닦았는데, 당시 聞慶縣監1750년 2월부터 1753년 4월까지 재임했던 洪?이며, 향안은 ‘舊鄕案’이라는 제목으로 현재 문경향교에 전해지고 있다. 그러면서 校錄에는 고을에서 신망이 두터운 宿士와 재주 있는 소년을 지명해서 적으니 모두 40여 인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서로 더불어 약속하기를 이 기록에 들어간 자는 鄕堂이 功曹照薦 하지 못하게 하고, 이 기록에 참여한 자가 빈궁하다 하여도 감히 出品하지 못하게 했는데, 대개 聖廟가 유교의 도를 중히 여기는 곳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앞서 ‘時額儒生’을 향임으로 擬望하지 못한다는 원칙을 한 번 강조한 부분이다. 서문 말미에는 향후 모든 군자가 힘써 청금록을 전수하여, 우리들이 立規한 뜻을 바꾸지 말 것을 당부해 놓았다.
청금록의 유생 명부는 모두 10회에 걸쳐 작성되었다. 첫 번째 명부는 본 서문이 작성되던 1751년 3월 30일의 것으로 유일하게 명부 말미에 都有司 申, 會員 蔡, 申, 金의 署押이 기재되어 있다. 서문에서 밝힌 대로 40명의 유생이 수록되어 있으며, 한 군데의 削籍 흔적이 확인된다. 입록자 40명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申氏 16명, 金氏 9명, 李氏 6명, 閔氏 2명, 朴氏 2명, 南氏, 柳氏, 鄭氏, 蔡氏, 高氏 각 1명 순이다. 두 번째 명부부터 열 번째 명부는 새롭게 정리된 것이 아니라, 기존 청금록에 加錄된 인물을 수록해 놓았다. 두 번째 명부는 1751년 8월 24일 加錄된 것으로 金氏 6명, 李氏 6명, 申氏 5명, 蔡氏 3명, 鄭氏 1명 등 모두 21명을 수록해 놓았으며, 削籍 흔적이 한 군데 있다. 세 번째는 1755년 2월 초3일의 명부로 申氏 5명, 李氏 5명, 金氏 3명, 高氏, 權氏, 南氏, 閔氏, 宋氏, 鄭氏, 趙氏, 蔡氏, 崔氏 각 1명 순으로 모두 22명이 확인되며, 削籍 흔적은 세 군데다. 네 번째는 1757년 8월 초7일의 명부로 申氏 7명, 朴氏 2명, 權氏, 金氏, 李氏, 黃氏 각 1명 등 13명을 수록해 놓았으며, 削籍 흔적은 한 군데다. 다섯 번째 1763년 8월 초4일 명부에는 金氏 6명, 申氏 5명, 李氏 4명, 南氏 2명, 權氏, 蔡氏 각 1명 등 19명을 수록하였으며, 削籍 흔적이 한 군데 나타난다. 여섯 번째 1768년 8월 초1일 명부에는 모두 24명이 수록되어 있는데, 申氏 7명, 李氏 7명, 金氏 5명, 高氏, 南氏, 全氏, 鄭氏, 蔡氏 각 1명이며, 한 군데의 削籍 흔적이 있다. 일곱 번째 1769년 2월 초4일 명부에는 李氏 6명, 金氏 3명, 申氏 3명, 閔氏 2명, 姜氏, 權氏, 南氏, 柳氏, 張氏, 洪氏 등 모두 20명을 수록하였다. 그리고 이때부터 열 번째 명부까지는 각각 두 군데의 削籍 흔적이 확인된다. 여덟 번째 명부는 1770년 8월 초4일의 것으로 金氏 6명, 李氏 5명, 申氏 3명, 權氏 2명, 閔氏 2명, 南氏, 柳氏 각 1명 등 모두 20명이 수록되어 있다. 아홉 번째 명부는 1774년 3월 초10일의 것으로 모두 22명이 수록되어 있는데, 성씨별로는 申氏 11명, 南氏 2명, 柳氏 2명, 李氏 2명, 權氏, 元氏, 張氏, 趙氏, 洪氏 각 1명 순이다. 마지막 열 번째 1775년 8월 초2일 명부에는 申氏 4명, 金氏 3명, 南氏 2명, 權氏, 李氏, 張氏, 鄭氏, 洪氏 등 모두 14명을 수록해 놓았다. 이상의 수록자를 합산하면 총 215명이 확인되며, 성씨별로 나열하면 申氏 66명, 李氏 43명, 金氏 42명, 南氏 11명, 權氏 8명, 閔氏 7명, 蔡氏 7명, 柳氏 5명, 鄭氏 5명, 朴氏 4명, 高氏 3명, 張氏 3명, 洪氏 3명, 趙氏 2명, 姜氏, 宋氏, 元氏, 全氏, 崔氏, 黃氏 각 1명 순이다.
한편 본 청금록에서 削籍 흔적은 총 열여덟 군데이며, 첫 명부와 매 加錄 명부마다 확인된다. 削籍의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문경현 내에서 가문·당색·신분 간의 갈등이 특정 시기에 표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입록자가 청금록 등재 이후 改名했을 경우 이름 아래에 개명된 이름을 부기하였으며, 등재 이후 生進試에 합격했을 경우에는 ‘司馬’라고 부기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인적구성과 문경현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청금록은 향교의 유생 명부로 일반 校生과 구분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지역 마다 그리고 시기마다 동일하지는 않지만, 각 향교는 16~17세기부터 上額·中額·下額, 東齋儒生·西齋儒生, 額內·額外와 같은 구분을 짓기 시작하였다. 해당 고을을 대표하는 사족 이외에도 향교에는 庶孼, 平民, 그리고 避役을 위해 입록한 자들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신분적 구분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성장한 세력, 즉 鄕族 또는 新鄕이라 불리는 세력들은 기존 사족들과 함께 교생안에 입록하려 했고, 사족들은 보다 확고한 신분 구별을 위해 청금록이라는 별도의 명부를 작성해 나갔다. 문경현 지역에 언제부터 청금록이 작성 된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늦어도 18세기 중엽 무렵에는 신분적 배타성을 강화하기 위한 청금록 작성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문에서는 청금록에 입록된 유생이 향임으로 照薦되는 것을 저지하려는 구절이 있는데, 이 또한 조선후기 향임직을 신향들이 장악해 나가는 반면 舊鄕들은 향임직을 기피하는 상황에서, 청금록 작성을 통해 이들과 청금유생의 신분적 混淆를 막으려는 의도가 확인되는 부분이다.
한편 청금록에는 모두 20개 성씨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 성씨 가운데 申氏, 李氏, 金氏, 南氏, 權氏, 閔氏, 蔡氏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특히 신씨는 16세기 이래 문경현 지역의 대표적인 재지사족 가문으로 자리매김한 平山申氏 가문이다. 문경향교에는 17세기 전후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舊鄕案’이 전하는데, 여기에도 평산신씨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 가문이 향교와 유향소 운영의 주축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聞慶郡誌增補版』, 任炳燮, 新興出版社, 1982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靑襟錄
靑襟錄序
錄以靑襟蓋儒案也之士重之花山尙州固大矣小而若
亦有之時額儒生不以鄕任擬望而至於吾邑則多有年未滿通用
者甚慨也我
城主洪侯?有年學校大興乃辛未季春之月長老齊臨少年咸集先
正鄕案次修校錄一鄕之內負望宿士有才少年指名而畢書總四十
餘人錄旣成相與爲約入此錄者鄕堂不得以切曹照薦參此錄者當身
不能以貧窮出品蓋重
聖廟崇儒敎之道也後來僉君子勉勉傳守勿替吾輩立規之意則
聖世文化蓋有光於我侯培養之治矣東陽申光岳參在齋長之任是爲記
申弼楚
蔡球
申弼日
朴道涉
申弼迪
申徵岳

申舜岳
柳{雨/渾}
申致岳【改名象岳乙酉司馬】
李後綱
申弼敎
申禹岳
金光錫
申弘岳
鄭光鉉
金德麒
朴道汲
申履岳
李榮國
金重鉉
南宗敬

金實
李重爀
李重春
申重岳
高日柱
金澤龍丙子司馬】
閔思洙
■■■
申思九
申休德【改名百純】
金泰鉉
金應鉉
申?
申世岳
閔思汶

申百壽
金九鉉
李東爀
李得春

辛未三月三十日都有司申[署押]
會員蔡[署押]
申[署押]
金[署押]
加錄
申華岳
李拯國
申丙岳
李裕新
蔡琦

蔡德運
■■■
申思再
申思義
金良鉉
李重英
李泰來
鄭光輔
蔡德遠
李重夏
金應洙
申日復【改名百綏】
金象鉉
金禹鉉

金應洛
李光春

辛未八月初四日堂中
加錄
宋翼九
申?【改値】
李彦國
趙?
鄭光厚
閔思淵
高厚【改厚健】
申垈岳
申萬增

金龍鉉
李東魯
李東萬
李郁春
申思齊
■■■
金至鉉
金以鉉
申百增
權廷彦
李東著
■■■
蔡德進
崔粹珖
■■■

南必麟

乙亥二月初三日堂中
加錄
朴有慶
■■■
權杓
朴應慶
李濟仁
申蕣
金睦【改植範】
黃俟漢
申致百【改百益】
申百揆
申百敍

申百熙
申百泰
申百祿

丁丑八月初七日堂中
加錄
申炅
南鼎燁
申思友
李慶祿【改師百】
申百能
申致鳳
■■■
■■■

金履慶【改仁慶】
李慶會【改師寬】
金澤潤
金東範
金益範
南必周【改?逸】
金宗範
申致龍
權應相【改應東】
■■■
金應沂
蔡蓍元
李宜泰
李聖泰


癸未八月初四日堂中
加錄
南鼎肇
金壁采
■■■
申?
高泰健
李宅燮【改有燮】
申錫一
李師萬
金國鉉
蔡德述
金澤鱗

金德慶
金澤民
金龍浩【改龍海】
申思萬
申箕岳
李濟道【改濟邦】
申光憲【改思範】
李師龍
李師周【改師朱】
鄭塾
李元陽
申百福
申百謙
李重素

戊子八月初一日堂中
加錄
李廷祿【改廷祐】
柳惠源
閔雨龍
權樞
李聖權
金益鉉
金定鉉
金澤東
申思甲
申思修
張璞
申尙履
李濟聖

姜晉憲
李宜輔
■■■
■■■
李克泰
閔思夏
李重新
洪致鮮
南必裕

己丑二月初四日堂中
加錄
權樗【改梓】
金徵鉉
金致鉉

申光宇
李垓
閔禎龍
金文鉉
■■■
申{火+?}
李景徽
閔思憲
李濟弘
申思僖
金澤麗
金九範
■■■
金碩鉉
柳泳

南慶得【改必曄】
權應德【改應呂】
李師中
李師德

庚寅八月初四日堂中
加錄
權道性
申邦佐
南泰三
申邁
申邦翰
申?
申邦老

李根厚
■■■
申錫光
李根址
安聖紹
申復明
柳世忠
元得鼎
申邦樹
申溶
柳章春
申偉
洪啓輔
趙輔仁

■■■
張漢維
申錫圭

甲午三月初十日堂中
加錄
申百祜
鄭相諶
金敬祖
申挺東
申光德
金光昊
■■■

南道大
權聖導
李道運
■■■
申齊岳
洪聖九
南必說
張頊
金安世

乙未八月初二日堂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