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48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748.4725-20150630.Y153220101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748
형태사항 크기: 28 X 22.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8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1748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1748년 작성된 경상도 함창현 향안으로 기존 향안을 재정리한 것으로 1598년부터 1748년까지 총20회에 걸쳐 加錄·追錄한 1,199명의 향원을 수록하고 있으며 표제는 鄕案正錄이다. 본 향안은 조선후기 함창지역 사족들의 인적구성과 성씨분포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함창향교 소장 6건의 향안 가운데 가장 광범위한 시기의 향안이다. 조선후기 재지사족들은 향안에 입록함으로써 향론을 주도해 나갔기 때문에 입록자의 현황을 통해 당시 지역 여론을 주도했던 세력을 파악 할 수 있다. 본 향안에는 25개 성씨가 확인되며 仁川蔡氏, 完山李氏, 平山申氏, 安東權氏, 缶林洪氏, 宜寧南氏, 晋州柳氏, 東萊鄭氏, 咸陽朴氏 순이다. 향안 내 절대적 비중을 지닌 이들 가문들은 모두 來性들로 17세기초부터 18세기 중엽까지 향론을 주도한 가문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관직이나 관품 보유자가 17세기 전반기에는 그 비율이 44% 이상이지만 17세기 중반 이후 10%로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이 목격되는데 이러한 추세는 다른 향안에도 보여 지는 전형적인 모습이다. 본 향안은 150년의 기간에 걸친 것으로 함창지역의 재지사족의 동향과 향안 작성의 양상을 뚜렷이 보여줄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조선후기 향촌사회 권력구조 변동에 대한 시론』, 김인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48년에 작성된 경상도 함창현(咸昌縣) 향안(鄕案)
자료의 내용
1748년 작성된 경상도 함창현 향안으로 제목은 鄕錄正案이다. 함창향교에는 모두 7종의 향안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 향안들은 다소 중복되거나 연대가 비슷한 것이 있으나 舊案·加錄·座目·繼錄 등의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은데 본 자료는 正案으로 표기되어 있다. 글자 그대로 이전에 작성했던 향안을 재정리한 것으로 현전하는 자료 중 복구되는 1607년 이후 1691년에 이어 세 번째 작성된 것으로 1598년부터 1748년까지 150년간 총20회에 걸쳐 加錄·追錄한 1,199명의 향원을 수록하고 있다. 함창향교 소장 향안 가운데 가장 광범위한 시기의 향안으로 16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함창지역 재지사족의 동향과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향안의 좌목은 본관, 字號, 생년간지 등에 관한 사항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단 성명과 관직 또는 관품 및 改名만을 기재해 두고 있다.
첫 번째 좌목은 萬曆 26년(1598) 6월 24일의 것으로 19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곽·이·채씨 각3명, 柳·洪氏 각2명, 강·권·김·박·윤·曹氏 각1명 순이다. 이중 7명이 郡守·司果·察訪·縣監·訓導·贈參議·贈判決事 각1명씩 관직이 기재되어 있다. 두 번째 좌목은 萬曆 39년(1611)의 것으로 11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강씨 8명, 권·신·채씨 각 1명 순이다. 이중 우의정 姜士尙의 아들로 내외 고위직을 역임하며 공신에 책봉 된 姜紳姜絪을 비롯한 강씨 가문 7명에만 晋興君·晋昌君·承旨·參議·護饋使·僉知·庶尹 각1명씩 관직 및 職役이 기재되어 있다. 세 번째 좌목은 萬曆 43년(1615)의 것으로 46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권·申·이씨 6명, 鄭·曹씨 4명, 곽·柳·채씨 3명, 박·趙氏 각2명, 강·김·남·윤·秦·최·홍씨 각1명 순이다. 이중 20명이 察訪·縣監·參奉·僉知 각 2명, 承旨·正言·判官·郡守·判敎·訓導·奉事·成權·直長·僉正·進士·生員이 각1명씩 관직 및 職役이 기재되어 있다. 네 번째 좌목은 泰昌 원년(1620) 3월 15일 것으로 20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채씨 7명, 신씨 3명, 권·홍씨 각2명, 곽·박·이·曹·趙·최씨 각1명 순이다. 이중 9명이 大司諫 1명, 僉知 4명, 司藝·司果·生員·贈承旨가 각 1명씩 관직 및 職役이 기재되어 있는데 대사간은 정경세 문인으로 이괄의 난 진압에 공헌한 洪鎬가 그 주인공이다. 다섯 번째 좌목은 天啓 6년(1626) 정월 초3일 것으로 11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申氏 4명, 권·柳씨 각2명, 남·趙·채씨 각1명 순이다. 이중 7명이 參判·禁府都事·府使·同知·參奉·贈監察이 각1명씩 관직과 증직이 기재되어 있다. 여섯 번째 좌목은 天啓 7년(1627) 정월 초3일 것으로 12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신씨 3명, 권·박씨 2명, 柳·이·鄭·채·홍씨 1명 순이다. 이중 4명이 縣令·司正·司果·進士가 각1명씩 관직 및 職役이 기재되어 있다. 일곱 번째 좌목은 崇禎 2년(1629) 정월 3일 것으로 僉知 權淨 1명이 유일하게 가록되어 있다. 여덟 번째 좌목은 崇禎 9년(1636) 정월 초3일 것으로 11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趙 2명, 권·남·박·신·정·최·홍씨 각1명씩 순이다. 이중 縣令·監察·宣略이 각1명씩 관직이 기재되어 있다. 아홉·열 번째 좌목은 崇禎 14년(1641) 정월 초3일 것으로 두 차례 향안 작성이 있었다. 처음 24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6명, 申·채씨 3명, 남·柳씨 각2명, 강·곽·권·윤·鄭·홍씨 각1명 순이며, 이중 職役이 기재된 자는 1명뿐이다. 다음 加錄된 27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5명, 申氏 4명, 남씨 3명, 곽·권·柳·채·홍씨 각2명, 박·趙·曹·許·황씨 각1명 순이다. 이중 5명이 禁府都事·監察·司諫·直講·平市令의 관직과 職役이 기재되어 있다. 열한 번째 좌목은 崇禎 17년(1644) 4월 초13일 것으로 60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10명, 채씨 9명, 권·申氏 8명, 曹氏 7명, 柳·박·鄭·홍씨 3명, 남씨 2명, 김·안·全·趙氏 1명 순이다. 이중 6명이 生員 2명, 都事·副司果·進士·壽職護軍이 각1명씩 관직과 職役이 기재되어 있다. 열두 번째 좌목은 1700년 9월 초3일 追錄으로 29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申씨 9명, 채씨 6명, 남씨 4명, 柳·최씨 3명, 강씨 2명, 손·정씨 각1명 순이다. 이중 4명이 承旨·掌令·主簿·贈承旨 관직과 贈職이 기재되어 있다. 열세 번째 좌목은 1691년 6월 9일 것으로 40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채씨 10명, 이씨 9명, 권씨 5명, 신씨 4명, 남씨 3명, 홍씨 2명, 김·안·全·鄭·趙·曹·최씨 각1명 순이다. 이중 10명이 관직과 職役이 기재되어 있는데 生員·進士 3명, 武科 2명, 禁府都事 1명, 參奉 1명으로 전체 25%이다. 열네 번째 좌목은 1700년 5월 17일 것으로 139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27명, 채씨 21명, 申씨 20명, 남씨 11명, 권·홍씨 각10명, 柳·鄭氏 각6명, 안씨 5명, 김·趙·최씨 각4명, 강씨 3명, 박·全씨 각2명, 곽·윤·曹·황씨 각1명 순이다. 이중 21명이 관직과 職役이 기재되어 있는데 生員 9명, 進士 5명, 同樞 2 兵佐·縣監·護軍·參奉·禮正 각1명이다. 동년 9월 18일 가록된 열다섯 번째 좌목 15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권·申씨 각4명, 柳·박씨 각2명, 최씨 2명, 채씨 1명 순이며 관직 및 직역이 기재되어 있는 인물은 없다. 열여섯 번째 좌목도 이때 加錄이 되는데 72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채씨 12명, 이씨 11명, 권·申氏 각10명, 鄭氏 6명, 남·柳·박씨 4명, 김·안·최·홍씨 각2명, 곽·윤·趙氏 1명 순이다. 이중 6명이 縣監 2명, 佐郞·郡守·城主·奉事·五衛將 각1명이 관직과 職役이 기재되어 있다. 열일곱 번째 좌목은 1709년 4월 17일 것으로 133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채씨 22명, 홍씨 19명, 이씨 18명, 申氏 12명, 권·柳氏 9명, 남씨 7명, 趙氏 6명, 曹氏 5명, 김·윤씨 각4명, 강·곽·박·안·鄭氏 각3명, 손·송·최씨 각1명 순이다. 이중 6명만이 進士 2명, 生員 2명, 別檢·承旨正字 각1명의 직역과 관직이 기재되어 있다. 열여덟 번째 좌목은 1715년 5월 것으로 89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채씨 18명, 홍씨 13명, 이씨 10명, 申氏 9명, 남씨 8명, 권·김·柳氏 각5명, 박씨 4명, 鄭·趙氏 각3명, 강·최씨 각2명, 손·全氏 각1명 순이다. 이중 5명만이 生員 3명, 문과급제 1명, 참봉 1명의 직역과 관직이 기재되어 있다. 열아홉 번째 좌목은 1737년 9월 20일 것으로 177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34명, 남·申氏 각28명, 채씨 27명, 권씨 17명, 홍씨 12명, 柳氏 9명, 김·박씨 각4명, 최씨 3명, 강·곽·안씨 2명, 성·여·鄭·曹·趙氏 각1명 순이다. 이중 17명이 진사 4명, 참봉·生員 3명, 城主·현감·都事·正言·正字·別檢·生進 각1명 직역과 관직이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 스무 번째 좌목은 1748년 7월 21일 것으로 264명의 입록자 성씨를 살펴보면 이씨 47명, 채씨 44명, 홍씨 29명, 申씨 28명, 남씨 24명, 권씨 20명, 柳氏 19명, 정씨 10명, 강씨 8명, 김·박·안씨 7명, 곽씨 4명, 曹·최씨 3명, 손씨 2명, 성·趙氏 1명 순이다. 이중 6명만이 老同樞 2명, 城主·參奉·進士·生員 각1명의 직역과 관직이 기재되어 있다.
이상 鄕案正錄에 수록된 1,199명을 성씨 별로 나열하면 채씨 191명, 이씨 190명, 申氏 157명, 권씨 107명, 홍씨 100명, 남씨 99명, 柳씨 72명, 鄭씨 41명, 박씨 38명, 강씨 31명, 김씨 30명, 曹·趙씨 각25명, 최씨 24명, 곽·안씨 각21명, 윤씨 9명, 손·全씨 각5명, 성·황씨 2명, 송·여·秦·허씨 각1명 순이며 총25개의 성씨가 나타난다. 채씨가 가장 많으며 이씨, 申씨, 권씨, 홍씨, 남씨, 柳씨, 鄭씨, 박씨 9개 성씨가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 성씨가 조선중기 이래 유향소를 중심으로 함창의 향촌사회를 주도하던 대체적인 성씨들로 볼 수 있다. 이들의 성관은 仁川蔡氏, 完山李氏, 平山申氏, 安東權氏, 缶林洪氏, 宜寧南氏, 晋州柳氏, 東萊鄭氏, 咸陽朴氏 등으로 모두 邑誌類에 기재되어 있는 함창의 土姓이 아닌 來性들이다. 입록자 중 관직과 職役을 가진 자는 149명으로 전체 12%의 비중이며 시기적으로 약간씩 차이가 난다. 입록 시기별로 그 비중을 살펴보면 1598년 37%, 1611년 64%, 1615년 43%, 1620년 45%, 1626년 64%, 1627년 33%, 1636년 27%, 1641년 4%, 1644년 10%, 1700년 追錄 14%, 1691년 25%, 1700년 12%, 1709년 5%, 1715년 6%, 1737년 10%, 1748년 2%이다. 1636년까지는 관직 및 관품보유자가 평균 44%이지만 1641년부터 평균 10%로 급감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공신 2명, 당상관 이상 고위직 자는 大司諫·參判·參議 1명, 承旨 4명이 나타나며, 가장 많은 수의 職役은 生員 26명, 進士 19명이다.
자료적 가치
본 鄕案正案은 1598년부터 1748년까지 함창지역 사족들의 인적구성과 성씨분포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함창향교 소장 6건의 향안 가운데 가장 광범위한 시기의 향안이다. 150년의 기간에 걸친 것으로 함창지역의 재지사족의 동향변화와 향안 작성의 양상변화를 뚜렷이 보여줄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 향안 내 절대적 비중을 지닌 가문들은 모두 來性들로 17세기 이전 혼인과 卜居 등을 통해 이주한 가문들의 族勢가 강했음을 알려준다. 아울러 관직이나 관품 보유자가 17세기 전반기에는 그 비율이 44% 이상이지만 17세기 중반 이후 10%로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이 목격되는데 이러한 추세는 다른 향안에도 보여지는 전형적인 모습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韓國의 鄕校硏究 』,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鄕錄正案

洪德祿【司果】
郭守仁【縣監】
郭守義
柳 蘩
曹夢尹【判決事】
權景虎【郡守】

李汝佶
柳 薰
郭守智【察訪】
李 源
姜汝舟
洪禮約
蔡天啓

蔡有終【直長】
蔡天瑞【參議】
朴榮先【訓導】
李 趌
尹 漪
金復興
萬曆二十六年六月二十四日
加錄戊戌

加錄
蔡 涵
權 凓
姜顯先
申震英
姜 紳文科晋興君
姜 絪晋昌君

姜 紞【僉知】
姜 綎【承旨】
姜 績【護饋使】
姜弘重文科【參議】
姜弘勣【庶尹】
萬曆三十九年辛亥
加錄

郭守禮
南 嶸【僉知行郡守】
秦 裕後
鄭允諧【參奉】
李弘道【察訪】
權 澍【判官】
申 謹

申 謳
申應允【僉正】
曹友仁文科【承旨】
申 諶【參奉】
朴纘先
李亨道
趙 竤【察訪】

趙顯男武科【縣監】
權 平
權 淳【縣監】
郭龍屹
柳 芳
鄭彦寯
郭龍成【訓導】

柳應期【僉知】
鄭彦宏文科【判敎】
尹 潝
鄭成龍
蔡得海
申 詗
金俊翼

李 﨣
權 宏
曹克新【直長】
崔挺豪文科【正言】
申 詢
李裕基【僉知】
洪好約

朴 渾
李 蘤 進士
李覺民生員
蔡以坤
曹宅仁
姜荗先
蔡得淵

柳應亨
權以稷
權雄一【奉事】
曹又新文科【成權】
萬曆四十三年乙卯
加錄
蔡得姜【僉知】

蔡得湖【僉知】
曹希仁文科【僉知】
申碩茂
申碩輔生員
蔡夢井【司果】
蔡以晉
蔡以巽

蔡得濂【僉知】
李 超
洪 鎬文科【大司諫】
朴成豪
郭龍伯文科【司藝】
趙承遠
崔明豪

權以益
蔡夢璧承旨】
洪 鏶
權仁復
申碩弼

泰昌元年庚申三月十五日
加錄

趙 濈文科【參判】
申 楫文科【府使】
蔡以乾
權克敏
申震逸【同知】
申 桂【監察】
柳應泰【參奉】

南昌胤【改尹】
權以說【禁府都事】
柳時立
申碩佐

天啓六年丙寅正月初三日加錄
申震豪

洪汝量
權 俌【司正】【改僴】
朴成美
柳毅立
權以亮【縣令】
蔡克協【司果】
李後甲

申震望進士
鄭時亮
朴成彦
申 煥

天啓七年丁卯正月初三日
權淨【僉知】


崇禎二年己巳正月十三日
加錄
鄭濬慶
崔忠望
權克中
趙汝相
朴成敏

趙 偁【宣略】
洪以海
申 煜
李克馨【改得馨】
李 苾【監察】
南昌祚改曹【縣令】

崇禎九年丙子正月初三日加錄
南昌佑改宇【進士】
南昌緖
蔡之溟
蔡 箕
柳再興
郭以屛

李 駱
李益馨
柳元立
鄭基武
申 燁
朴挺世
尹陽衡

蔡克敬
李 菖
姜 晪
申震昌
柳再昌
李長馨
李元甲

洪克已
李 葂
權{火+節}【改燾】

崇禎十四年辛未正月初三日加錄
黃 緖
蔡以恒【平市令】

權克巽
李 駜
申 詹
郭以翰
許 苾文科【直講】
李義甲
權克休文科【監察】

南昌遠【改夏】
申尙點
趙 偀
李亨甲
申尙黯
蔡克哲
柳仲良【改東洛】

曹 佾
柳廷耈
申 爀【改頴】【禁府都事】
郭以完【改楨】
李 藎
朴挺碩
洪汝河文科【司諫】【副提學】

南極丙
南極老
李 杙【改獈】
洪 贇

加錄
蔡尙周【部將】

曹挺融文科【僉知】
申以遠
全 僑
曹挺華
曹時望
曹明遠
申 煜進士

蔡翊周
蔡之沇文科【副護軍】
曹時重
權克允
安道徵
柳東潤
蔡之潭

李震甲生員
蔡之雄
李鳳紀
權 勳
權 愉【改憕副司果】
李英甲文科【都事】
朴挺杞

朴挺龍
申元錫【改命元】
權 愰
蔡之俊
洪是九
李世元【壽職護軍】
趙 彪

鄭自固
蔡元徵
申震賢
蔡蓍長【改經疇】
曹宗漢【改漢耈】
南極望【改樞】
權 偉

金 㙐
鄭自謙
李 樞【改漢冑】
權{忄+亮}
柳蓍耈
申 烇
李 橚

南極壽
申命錫
申 熻
鄭自信【改新】
洪 賀
曹光漢【改漢輔】
李世稷

柳震耈
蔡之九【改耈】
權 烋
申 默
李世亨
朴挺榟【改材】
李葆光

權 熙【改照】
李世貞生員
洪 賜【改賚】

崇禎甲申後正九年壬辰四月初十三日
追錄
申碩蕃【掌令】

孫喜祖
申碩昌
鄭雲䎘
蔡楨周
蔡河徵【主簿】
蔡之洙【承旨】
南極星

蔡亨徵
柳碩耈
申{火+肅}
姜漢龍
崔德基
姜漢鳳
柳天耈

柳台耈
蔡之夏
申命載
蔡碩夏
申世基
申世封
崔泰基

南 垕文科【承旨】
申命基
申命夔
申命益
崔夏珪
南翊壽
南 至


崇禎甲申後五十七年庚辰九月初三日

加錄
蔡之淸

全爾隆
權 惺
鄭自昌
申震傑
金 涖
蔡經夏武科
蔡錫徵

趙漢弼
李世綱進士
南極杓生員【禁府都事】
南極柱生員
李興佐
李世維
安機石

權守經
申命亮
李世徹進士
洪 贄
李葆英進士
李世興
曹聲漢

李世春
蔡耈徵生員
南 圭
李賢冑
權用經
權 份
崔夏瓀

洪相文【參奉】
申世城
蔡錫九
蔡之洪武科
蔡休吉
蔡禎夏
申震明

權重經
李世緯生員
蔡之疇
蔡光徵

崇禎甲申後五十七年庚辰九月初三日
加錄

李 梲
李繼冑
柳世耈
郭泰齊
李 櫶進士
黃 瓘
鄭 轋

李 梓
蔡應夏【改瑞夏】
申 薰
蔡櫶徵【文科】
李 檉
蔡禎徵
全爾運

申命呂
蔡榮徵
鄭自和
朴命恒
柳盛兩【參奉】
李世榮
李葆瓊

安后尹
申大臨
鄭蘭成
申世埰
權 綸
申命卨
李 枰

權靈一
申命休生員
蔡觀徵
蔡錫圭生員
申斗壽
洪範世
權允經生員

李葆禎
李 椧【改晳】
權 緝文科【縣監】
蔡肅徵
蔡奎徵
蔡善徵
洪相民生員壯元

蔡敍徵
鄭韶成
鄭九成
朴道亨
權必經
南 坵【改堬】
南 塤

南 㙉【改埨】
南 垓生員
南圖翼文科
南 躔生進文科【兵佐】
南 塾生員
南 坽進士
南圖翰

南圖萬進士
南圖翮【改圖宣+羽】進士
李寅興
李時興
姜碩經
姜文載
申 瑗

姜文遇
李益謙
李惟謙
趙 愈
蔡箕徵
蔡夢徵
李聖徵

蔡靈徵【改潤徵】
李彦謙
李敏謙
李處謙【同樞】
金百岭
李守謙
李好謙生員

李德謙生員
李尙謙
洪道大【改涵】進士
金泰岭
權重時
權 鉉
權 銑

金允輝
申鼎壽【改鎭嵩】
蔡 逈
洪道九
柳萬岭
金一輝
洪道任

尹 炫
蔡 遵
李 珏
崔 崙
洪道三
柳千岭
申鼎鉉

李{木+成}生員
洪相熏
安履順
申亨壽【改鎭衡】
申必壽【改鎭泰】
申華壽【改鎭華】
申夏鉉

趙始大
洪相鎭
蔡 逵
蔡精一
蔡時減【護軍】
蔡 遴
趙{欽+心}

趙 恕
洪道達文科【禮正】
洪道興
全萬理
申得壽【改鎭郁】
申大壽【改鎭】大老【同樞】
安履恒

蔡時錫
曹始成
李敏道
鄭守成
崔夏鎭
權 璲
權㺳【改琛】

申 銳
李敏遂
柳秀漢
安履中
柳起漢
申喜壽【改鎭岳】
蔡時欽

申周鉉
崔 崇
申泰來
李玄運
安后說
崔夏鍾

甲戌六月十七日

崇禎甲申後五十七年庚辰九月初三日
追錄
權 佑
權 備
申 烒
柳東潚
申 熙

崔遠基
崔萬基
朴挺夔
申命龜
柳顯耈
蔡之演
權五最

朴道元
權{玉+忽}
申世堡

庚辰九月十六日
加錄
李時鼎【城主】

朴守恒
柳彭耈
申命一【奉事】
權應時
南 量
申大有
蔡相徵

朴乃恒
洪道寬
蔡範徵
鄭{亶+羽}文科【縣監】
崔夏瑜
南{土+留}
尹大益

權 䌖
蔡禧徵
權 緻
安后夔
李道興
鄭夏成
洪大龜

蔡命範
趙 懿
蔡昌徵
申翊鉉
權 憲
蔡一徵
鄭惟成

申鎭普
郭喜晩
鄭之錄生員
蔡奎一
李 璿
柳昭漢
權 績

權 寬
鄭大成
申碩鉉
安履準
李斗興
李遂興
權 樞

蔡命吉【改命迪】
權 瑺【改珝改銃】生員【縣監】
朴瑞應
金 琇
朴瑞獜
申鎭世
李宜謙

鄭天成
李弘謙
蔡吉徵
李夏謙
權 鐸
蔡亨吉
柳玄齡

申光夏
李處源
蔡命喆【改命】運文科【佐郞】
金 瑀
李獜興文科【郡守】
蔡命亨【五衛將】
申鎭崙

崔 嶔
李震開【改桁】
申 珩
南{沃+土}
南圖䎘
申德鉉
權昌大

柳德岭

庚辰九月十八日
加錄
蔡時徵
申弼成生員【別檢】
姜 珪

洪道載
洪道源
柳逸耈
趙胤漢
趙楨漢
洪道昌
洪遇平

權任時
曹夏龜
曹夏英
曹夏維
金懐萬
孫汝最
李榮開

朴文煥
柳翼漢
李敏興
洪冑世
柳明漢
柳雄漢
宋治文

鄭碩賓
申大來
朴重益
郭麟世
權重泰
李挺萬
姜文輔

洪用錫
柳祥翼文科官【僉樞】
朴瑞麒
蔡命福
鄭 峻
申弼鉉
洪命龜

洪守龜
洪益龜
洪圭錫
申玉鉉
申鎭紀生員
申以悌
申鎭垕

申鎭宇
趙守球
申鎭垈
申光澤
李胤開【改{禾+后】
趙國泰
申重泰進士

蔡徵休
蔡徵來
蔡命弼
蔡命寶文科生員【承旨正字】
蔡 遇
蔡晩成
蔡命蓍

蔡命老
蔡集成
蔡鳳徵
蔡命說
蔡亨復
蔡亨謙【改亨益】
蔡時鎭

郭鳳世
郭龜世
李俊謙
權重道
權任大
權 鎬
權 鋑

李光謙
李鼎謙
李泰謙
李雲秀
申大佰
蔡命乾
蔡時鏡

蔡時鉉
金弘道
李華謙【改克謙】
姜{木+賢}
蔡命相
李麟錫
李鳳錫

南汝銑【改名鼎夏】
安 佰【改重佰進士】
安 晶
安 曄
南圖振【改{晋+羽}】
南圖運
南圖遠

南圖雄【改{亨+羽}】
南圖海
南汝鎭
柳祥來
柳祥晋
洪道謙
洪道準

洪聖緖
洪聖衍
洪聖績
洪聖潤
洪聖揆
柳龜齡
洪祥休

柳祥天
李文興
李雲興
李箕興
鄭碩臣
李德馥
洪瑞龜生員

崔柱天【改柱國】
權{宀+延}
李雲曄
李雲瑞
尹德衡
尹德純
尹〔炾〕

尹 煓
金 璞
金 玕
權 欽
權 鎭
蔡三徵
蔡命晋

趙 恁
趙 愿
曹景汶
曹景汎

崇禎後六年己丑四月十七日
加錄

權震憲
蔡會徵
蔡慶徵
蔡大徵
南 埜
柳祥泰
南夢麟

柳祥履
洪聖澤
洪聖緯
趙陽復
趙陽晋
南道軾
南道載

南圖暹
南鼎三
南鼎吉
南鼎國
姜震泰
蔡{沃+玉}
朴瑞奎

朴瑞馹
朴瑞駿
朴尙采
全天界
申 鐓
鄭學成
鄭 岐

鄭泰登
趙守瓛
申重鉉
申以度
申光弼生員
申鎭九生員【參奉】
申光寅

申光翼
申光殷
申光周
李之莢
李 稢
姜鎭益
蔡命益

蔡命稷
蔡亨泰
蔡亨洛
李雲萬
李雲縉
蔡命協
蔡命顯

蔡時鍵
蔡 瑩
蔡 璺
金萬福
蔡{玉+明}
孫景光
李成謙

權 鍊
蔡 建
蔡德成
蔡斗徵
李希天生員
柳祥發
李增馥

李運興
柳文漢
柳祥龍
洪文錫
洪玄錫
洪世錫
洪祚錫

洪夏錫
洪範龜
洪冑信
洪冑寬
洪冑元
洪冑千
崔 徽

崔柱郁
金式萬生員
洪喜濟
李雲昇
李雲標
金{玉+式}
金 玾

金 璘【文科】
蔡 靈
權 鏽
權 鈺
權以時

崇禎甲申後七十二年乙未五月日

加錄
李䌖【城主】
申鎭維
申鎭周
申鎭元進士
申鎭經進士

申鎭運生員
申光魯
申光斗
申光朝
申光憲
申光遠【縣監】
申光協

申光奎
申光顯
申光晦
申光緝
申 保
申 偕
申{亻+集}

申 傈【文正字】
申 俶
申 倸
申 浹生進
曹 汲
朴尙德
朴尙華

朴尙友
朴尙淳
鄭泰增
蔡 珹
蔡 璋
申 鏄
申熙泰

申以泰
申以孝
李之馨
申弼翰
李必祥
李賓興
李達天

李翼天
呂匡周
姜鎭運
李{玉+票}
李?
蔡命千【別檢】
蔡命蓍

蔡命洪
蔡命五
蔡應祚
蔡應禧
蔡應禎
蔡應祥
蔡命明

蔡命疇
蔡景汎
蔡景淵
蔡範成
蔡箕成
蔡亨寶
蔡命鼎

蔡命和
蔡{玉+沆}
蔡 玉
蔡 寶
蔡德紹
權聖河進士【參奉】
權聖洛

權聖洪
權 楷
李允桄
李允彬
郭師勛
郭師德
洪潤洙

權處綱
權處維
申安世
成漢柱
蔡應估
蔡應佑
蔡 懿

李允權【參奉】
李允文
李允埰
李允杰
李允楧
李允檀
李允相

李齊聃
李齊老
李齊杜
李允馣
李濟綱
李濟滂
李濟沆

李允執【參奉】進士
李允?【文正言】
李允{香+冏}生員
李齊白
權 譓
金 瑎
金 琦

蔡命敍
權處一
權處三
權處五
權處貞
權處宜
權 鐔

權{金+憲}
權{金+習}
權 鈒
權 鐃
南道轍進士
南道輔
南道輪

南道軒
南道輓
南道{金+黃}
南道輿
南宗憲
南宗敬
南圖{必+羽}

南鼎九
南鼎玉
南鼎實
南必容
南鼎象
南鼎黃
南鼎命

南鼎凝
南鼎燮
南鼎焃
南鼎燁
南鼎寶
南鼎梅
南鼎新

南鼎愛
南必恒
南必升
南必明
安重呂
安重台
趙陽恒

姜世鼎
洪聖運
洪聖紀
洪日溥
柳鵬齡
柳鳳齡生員
柳以炳

柳宜煥【改光源】
柳宜燦【改學源】
柳宜炫【改得源】
金極齡【都事】
李達興
李章漢
柳祥龜

柳延齡
李萬年
李泰馥
李 璵
李 沆
李 泓
洪希泰【改喜泰】

柳宜洛
金光胤
洪禹龜進士
洪有龜
洪必龜
洪虎吉
洪龍吉

崔 岱
崔龍進
崔龍運
洪冑世
洪冑溫

崇禎紀元後九十四二年再丁巳閏九月
二十日

加錄
朴鳳漢【城主】
南聚星
郭聖世
南圖千【同樞】
柳祥復

權 秤
權 蕃
申 鎰
申 隱
李光發
李柱天
李挺完

姜 慊
姜 浹
李允垕
李允協
李允達
李允柱
李允模

李允迪
李允玉【改允奭】
李齊郁
李齊克
李齊愿
李允栴
李宅仁

李齊晟
李齊嶠
李齊膺
李齊邴
李齊麒
李齊鵬
權 鑑

權聖用
權聖汶
權聖稱
權聖潤
權時中
權 楅
金師錫

金光玉
金光纘
金光緖
金光運
申德粹
權 㝡
權 護

權 誼
權 佶
蔡命聖
蔡命岳【改命達】
蔡德龜
蔡友鳳
蔡友龍

孫景徽
孫運馹
權聖海
南圖䎙【同樞】
南必毅
南鼎呂
南鼎來

南鼎采
南鼎{火+寬}
南鼎宅
南鼎五
南道輐
南宗運
南宗郁

南宗弼
南宗赫
南鼎福
南必耈
南必時
南必昌
南必亨

南楚鳴
南復鳴
南德星
李寅基
姜 愼
安昌兆
安昌旭

安昌德
安昌紀
安昌運
安昌順
姜 根
姜必曄
姜必爀

姜必炯
姜必載
李 汲
李 涉
蔡 璉
蔡{玉+頁}
柳祥臨

柳祥井
柳祥恒
柳章源
柳春源
柳惠源
柳處源
柳必源

洪 休
洪聖龜
洪日澣
洪日澮
洪尙溥
洪必溥
趙 畹

鄭汝慶
權德載
李光宇
李成儉
李而儉
李泰運
李祥奎

李祥斗
李祥參
李祥彬
柳以炫
柳以炡
蔡恒一
蔡亨運

蔡命德
蔡命珩
蔡景晦
蔡景發
蔡光轍
蔡應天
蔡性天

蔡景元
蔡景文
蔡景禹
蔡應裕
蔡 應{礻+寔}
申重世
成志一

權 柄
權 模
權時哲
李齊龍
蔡 瑬
蔡{玉+沅}
蔡 瑾

蔡 瑜
蔡亨元
蔡德汎
蔡德洪
蔡德符
蔡德川
蔡德一

郭師道
郭師彪
郭師欽
柳文顯
權 䤴
申 鍫
李秀完

李鳴朝
安貞世
南以奭
蔡 泂
蔡 浩
蔡 淶
蔡 㵓進士

蔡 瀗生員
蔡允元
蔡允文
蔡允一
蔡 珩
蔡 黃
申光岳

申克恒
曹應泰
曹景稷
曹亨稷
鄭之巘
鄭之峋
鄭之圾

鄭泰膺生員
鄭泰能
鄭泰恒
朴尙默
朴尙彬
朴尙郁
蔡 珍

申以復
申宅南
申錫南
申翰周
申光胤
申光厚
申光愿

申光迪
申 棨
申 儼
申惠然
申聖時
申聖臣【改俰】
申光哲

申光翕
申 倲
申 倜
申 蕙
申 薈
申卓然
洪冑五

洪冑範
洪冑海
洪冑九
洪潤沂
洪禹績
洪熙績
洪文績

洪應績
洪茂績
洪光績
洪羽吉
洪夏吉
洪麟吉
洪胤匡

洪潤德
洪潤申
洪昌績
洪世績
洪華績
洪休績
朴信儉

朴尙網
朴尙榮
鄭繼冑
崔龍遂
崔龍迪
崔龍道
李達中生員【參奉】

李學中
柳祥星
柳福源
柳宜河
柳祥百
柳必慶
柳趾慶

柳承慶
金重璿
金重瓚
洪宇亨
洪龜洛
李悌興
李德華

李德新
李 現
李 潤
李 瀁
李 潝
李應天
鄭游益

李光胤
權相說
李東英
申 彙
蔡景淳
蔡景河
鄭游漸


崇禎紀元後三戊辰七月二十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