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17년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안(校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717.4725-20150630.Y15322010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717
형태사항 크기: 25 X 27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20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1717년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안(校案)
1717년 작성된 함창향교(禮安鄕校)에 출입하였던 학생 명부인 교안(校案)이다. 본 자료는 함창항교 교안 중 일곱 번째 작성된 것으로 기존 교안을 1717년 개수한 자료로 액내와 액외교생 구분 없이 작성된 것으로 입록자는 총 108명이다. 조선시대 현(縣) 소재 향교의 법적 정원 30명보다 그 숫자가 상회하는 것은 개수 교안이자 입록 기준이 크게 완화 된 것이 주된 이유이다. 즉 교생에 대한 특권을 획득하기 위한 평민과 서얼층의 무분별한 향교입교가 양반사족들의 명부였던 액내교생에도 평민·서얼층이 점차 채워지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기존 양반들은 액내교생으로의 입교를 회피하였을 뿐 향교에 출입과 관여를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양반들은 자신들만의 명부를 따로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향교에 출입하고 향교 운영에 관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입록자 상당수가 향안에 중복적으로 입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양반의 권위를 더욱 확고히 하는 동시에 향교가 일정하게 양반들의 향촌기구 기능을 하였음을 알려주는 바이다. 본 교안에 수록된 교생의 본관은 完山李氏, 平山申氏, 仁川蔡氏, 宜寧南氏, 南陽洪氏, 晋州柳氏, 安東權氏 등으로 앞선 교안들과 그 배출 본관이 비슷하며 조선중기 이래 유향소를 중심으로 함창의 향촌사회를 주도하던 유력한 가문들 볼 수 있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韓國의 鄕校硏究 』,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17년 10월 27일경상도 함창현 함창향교의 교생 명단인 교안
자료의 내용
본 자료는 1717년 10월 27일 경상도 咸昌縣 함창향교의 교생 명부인 교안이다. 조선시대 향교가 위치했던 함창현은 현재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으로 편입되어 있다. 함창향교에 현전하는 교안은 17세기 중반 이후부터 18세기 초반까지 총 8책으로 교생의 신분에 따라 액내교생과 액외교생으로 구분하여 작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자료는 액내·액외 구분 없이 작성된 것으로 함창에서 현전하는 교안 중 1676년, 1680년, 1684년, 1689년, 1698년 이어 일곱 번째 교안이자 東齋 유생만을 별도로 수록한 靑衿錄과 병행해서 작성 되든 시기의 자료이다. 자료의 표제에 ‘校案’ 및 ‘時用改修正’ 라고 명기 되어 있어 기존 교안을 후대에 개수한 것임을 알 수 있고, 좌목은 이름·출생연도·移居 사실을 수록하고 있다.
조선시대 향교 교생은 군역면제를 비롯한 각종 특권이 주어졌기 때문에 경국대전에 향교의 정원이 규정되어 있는데, 縣 소재 향교 정원은 30명이다. 그러나 본 교안 수록자는 총 108명으로 그 법적 정원을 크게 상회하는데 이는 후대 개수한 교안이자 크게 완화 된 입록 기준 때문이다. 입록자들의 출생연도는 대체로 1678년~1692년대 출생한 인물들이며, 이거한 사람은 9명으로 확인된다. 교안 입록자를 성씨별로 분류하면 이씨 23명, 申氏 13명, 채씨 12명, 남·홍씨 각 10명, 류씨 8명, 권씨 7명, 김·박·趙·최씨 각 4명, 윤·全씨 각 2명, 강·손·안·庾·鄭氏 1명 순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들의 본관은 廣州·慶州李氏, 平山申氏, 仁川蔡氏, 宜寧南氏, 南陽洪氏, 晋州柳氏, 安東權氏 등으로 다른 교안과 그 배출 본관이 비슷하며 조선중기 이래 유향소를 중심으로 함창의 향촌사회를 주도하던 대체적인 가문들로 볼 수 있다. 또한 최씨와 전씨를 제외하면 함창현 읍지류 성씨조에 수록된 來性들이다. 이 교안이 재지사족들로 구성되어 있음은 조선시대 고을의 유력한 양반들의 자치기구인 유향소의 구성원 명부인 향안 비교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하다. 본 교안 입록자 절반이 넘는 63명이 함창향안에 중복 입록 되어 있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명부 말미에는 ‘丁酉十月二十七日’ 간지와 당시 향임인 都有司 蔡, 掌議 李, 有司 南이 적혀있다.
자료적 가치
본 자료는 18세기 초반 함창향교의 인적구성과 함창지역 사족 세력 분포의 사정을 일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인조 대 이후 교생고강이 실시된 이후에도 함창지역 일부 양반사족들은 교안과 청금록을 병행해서 작성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교안에서 청금록으로 이행되던 과도기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함창향교의 교안 액내교생 대부분이 향안에 동시에 등재 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향안과 교안의 운영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운영되었음을 의미하며 교안이 향안과 같이 양반사족의 명부임을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韓國의 鄕校硏究 』,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時用改修正
校案
李獜興戊午
鄭碩臣戊午
李光謙戊午】【移】
李處源戊午初】
崔嶔戊午
金瑅戊午
全萬福戊午
李{禾+行}己巳
申鎭宇己巳
洪命龜己巳
南圖䎘庚申
李鼎謙庚申
柳章漢庚申
全璞庚申
朴瑞猉庚申
庾以復辛酉】【移】
安晶辛酉
李濬謙辛酉
申玉鉉辛酉
蔡時鎭壬戌】【移】
申鎭紀壬戌
李文興壬戌
李基完壬戌
洪聖益癸亥
權鎨癸亥
李獜錫癸亥
蔡逢吉癸亥
尹德衡癸亥
李泰謙癸亥
洪守龜癸亥
權重道癸亥
權{禾+口}癸亥
權?癸亥】【移】
蔡徵休甲子
李雲培甲子
南圖海甲子
李雲瑞甲子
申鎭維甲子
權處恒甲子
尹?甲子】【移】
李克謙甲子
洪冑信甲子
洪聖績甲子
申鎭岱甲子
李之莢甲子
蔡命說甲子
柳祥天甲子
洪喜濟甲子
柳龜齡甲子
姜鎭泰乙丑
南鼎夏乙丑
蔡亨復丙寅
柳祥晉丙寅
朴瑞奎丙寅
朴文逵丙寅
柳龜齡甲子
孫景光甲子
申光澤乙丑】【移】
權鑊乙丑
趙守球乙丑
洪聖潤乙丑
申以悌己巳
申鎭九己巳
申弼鉉己巳
柳祥發己巳
趙陽泰己巳
李鳳錫庚午
南圖{亨+羽}戊辰
權鋉戊辰
李運興戊辰
李{禾+后}戊辰
崔徽戊辰
崔柱國戊辰
朴文逵丙寅
蔡亨益丙寅
蔡命弼丁卯
蔡遇丁卯
申重泰丁卯
蔡命相丁卯
李德馥辛未
金{王+式}辛未
申光周辛未】【移】
南野辛未
趙陽復辛未
李彧辛未
柳祥休庚午
蔡命協庚午
申光殷庚午
李雲秀庚午】【除隨】
南圖運辛未
南鼎元辛未
南圖遠癸酉
柳祥采癸酉
李增馥癸酉
洪冑寬癸酉
南鼎三甲戌
李雲萬甲戌
金瑎丙子】【移】
洪範龜丙子
南鼎國丙子
蔡靈丙子
金璘丙子

壬申
申光翼壬申】【移】
趙守琦壬申
崔柱邦壬申
李雲縉壬申
蔡命顯壬申
丁酉十月二十七日都有司蔡
掌議李
有司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