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상주향교(商州鄕校) 분향록(焚香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697.4725-20150630.Y1532104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상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작성시기 1697
형태사항 크기: 30 X 24
수량: 5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안내정보

상주향교(商州鄕校) 분향록(焚香錄)
이 자료는 1697년부터 1698년까지 작성된 상주향교(尙州鄕校)의 분향록(焚香錄)이다. 분향록은 매월 초하루(朔)와 보름(望) 향교에서 거행된 제례인 삭망제(朔望祭)를 주관했던 인사를 기록한 것으로 총 47명의 이름이 확인된다.
삭망제의 주관은 대체로 장의(掌議)와 재임(齋任)이 주관하고 있으며, 때로는 관료인 목사(牧使)가 참여하기도 하였다. 장의와 재임은 향교의 교임(校任)으로 향교운영의 실질적 책임자라 할 수 있다. 분향록 외에도 현재 상주향교에 남아있는 임원록(任員錄)이나 완의(完議)를 검토해 보면 당시 교임은 총책임자인 도유사(都有司), 장의, 재임 등으로 구성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분향록에 기록된 교임들의 성씨를 분석해 보면 김·조·홍·이씨 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교임 가운데 상당수는 상주의 향안(鄕案)인 상산향언록(商山鄕彦錄) 및 청금록(靑衿錄)에도 동시에 입록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향안은 양반 사족(士族)의 명부로 향안으로의 입록(入錄)은 곧, 향촌사회내 지배층의 일원임을 인정받는 것이었다. 청금록 또한 향안과 마찬가지로 향교를 출입하던 양반사족의 명부이다. 조선후기 중서층의 향교진출이 점차 광범위하게 발생됨에 따라 양반사족들은 그들만의 명부인 청금록을 작성, 스스로 청금유생이라 칭하며 사족과 비사족의 구분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즉 청금록 또한 향교에 출입하던 양반사족의 명부인 것이다. 교임의 상당수가 향안 입록 및 청금유생 출신으로 구성되고 있다는 것은 상주향교의 교임이 사족으로 구성되고 있었으며 이들에 의해 향교가 운영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들 교임은 분향록에서와 같이 향교의 각종 제례를 주도하고 있었다. 향교는 공자(孔子)의 위패를 모신 유학의 상징이자 교화(敎化)의 중심지였다. 또한 향중범사와 향교운영을 결정하는 회의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양반사족들은 교임 또는 유생으로 제례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교의 운영 및 鄕論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분향록』은 이와같은 당시의 향교의 제례모습을 비롯하여 상주의 사족과 향교와의 관계 등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유기선

상세정보

1697년부터 1698년까지 상주향교의 삭망제를 주관한 교임 명부
내용 및 특징
『焚香錄』은 丁丑年(1697) 正月부터 庚辰年(1698) 正月까지 작성된 것으로 상주향교에서 거행된 朔望祭를 주관한 인사를 기재하고 있다. 제례날짜별로 주관한 자의 官職名이나 향교에서의 직책을 상단에, 하단에는 성명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분향록』에 기록된 삭망제 주관 인사는 牧使 2명, 유생 5명, 교임 40명, 총 47명이 확인된다. 목사 李恒, 李萬元을 제외한 교임 및 유생 45명의 성씨를 살펴보면, 金氏 10명, 趙氏 7명, 洪氏 5명, 李氏 4명, 韓氏 4명, 宋氏 3명, 柳氏 2명, 姜氏 1명, 高氏 1명, 權氏 1명, 孫氏 1명, 呂氏 1명, 鄭氏 1명, 曺氏 1명, 蔡氏 1명, 河氏 1명, 黃氏 1명이다.
삭망제는 牧使가 주관할 때도 있지만 대체로 掌議와 齋任이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외에도 上齋(都有司), 執事, 儒生 등이 제례를 주관하였다. 상재, 장의, 재임 등은 향교의 校任으로 향교 운영의 실질적 책임자라 할 수 있다. 이들 교임에 대한 기록은 본 자료 외에도 任員錄(1785~1800), 甲辰完議(1664)·辛亥完議(1671)에 나타나고 있다.
위의 완의에 나타난 교임관련 기록을 검토해 보면, 당시 상주향교의 교임은 上齋 都有司, 掌議, 有司, 錢穀有司, 饌酒有司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로 도유사 1人, 장의 2人, 재임 3人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도유사는 향교를 대표하는 책임자로서 매년 봄 釋奠 때에 선출하였으며 임기는 1년이었다. 校生의 立番과 勤慢 및 향교의 典穀出納을 감독하였으며 도유사를 보좌하는 장의와 유사 및 전량유사를 定出하는 등 향교운영의 전반적인 사무를 총괄하는 위치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교임에 대한 자격규정이나 구체적인 선출방법 등은 확인할 수 없으나 이들은 향중의 유력인사들로 구성되고 있었다. 이는 당시 상주의 鄕案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현전하는 상주의 향안인 『商山鄕彦錄』과 『분향록』을 비교해 보면, 『분향록』에 기록된 교임 및 유생 45명 가운데 25명은 향안에도 입록되어 있다. 또한 45명 가운데 17명은 상주향교의 사족유생인 靑衿儒生 출신으로 구성되고 있다. 교임의 다수인 김·조·홍·이씨 등은 향안 및 청금록의 입록에서도 높은 입록비율을 보이는 성씨들이다. 이러한 수치는 당시 교임이 사족으로 구성되고 있었으며 이들이 향교의 제례를 주도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위와 같이 사족으로 구성된 상주향교의 교임은 향교의 각종 제례를 주도하고 있었다. 이는 향교가 제례의 장소였다는 사실과 깊은 관련이 있다. 주지하듯 향교는 교육과 제례의 기능을 동시에 가진 곳이었으나 조선후기 서원의 건립과 발달에 따라 향교의 교육적 기능은 점차 쇠퇴하게 된다. 그러나 향교는 孔子의 위패를 모신 유학의 상징처이자 敎化의 중심지였다. 또한 제례 후 향중범사 및 향교운영을 결정하는 회의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향중의 양반사족들은 교임 또는 유생으로 제례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교의 운영 및 鄕論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분향록』은 이와같은 당시의 향교의 제례모습을 비롯하여 상주 사족과 향교와의 관계 등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자료적 가치
『분향록』은 1697년에서 1698년까지 상주향교에서 거행된 삭망례에 참여한 인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 자료를 통해 당시 향교에서 거행된 제례의 모습 뿐만 아니라 제례를 주도하고 있었던 교임의 구성, 그리고 향교와 상주 사족과의 관계 또한 확인할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유기선

이미지

원문 텍스트

丁丑正月朔
行牧使李恒
十五日
掌議鄭道休
二月朔
齋任李星緯
十五日
洪后復
三月朔
金是濬
十五日
洪后復
閏三月朔
掌議韓翼舜
十五日
掌議韓翼舜
四月朔
掌議洪道涵
十五日
掌議韓翼舜
五月朔
掌議韓翼舜
十五日
齋任趙世雄
六月初一日
趙世基
十五日
韓翼震
七月朔
掌議韓翼舜
七月十五日
齋任宋之馥
八月朔
趙瀣
八月十五日
金光烈
九月朔
掌議河應圖
齋任金光烈
九月十五日
齋任宋聖甲
十月朔
掌議河應圖
十月十五日
上齋孫景郁
掌議李善至
河應圖
齋任宋聖甲
十一月朔
齋任李星緯
十一月十五日
齋任李星緯
十二月朔
齋任李星緯
十二月十五日
齋任宋星甲
戊寅正月朔
行牧使延陵君李萬元
掌議河應圖
齋任李星緯
宋聖甲
正月十五日
行牧使延陵君李萬元
上齋洪道達
掌議金栢
河應圖
齋任李星緯
二月朔
行牧使延陵君李萬元
上齋洪道達
掌議金栢
河應圖
齋任李星緯
宋聖甲
諸執事李碩至
金塤
洪處漢
柳儀
韓翼明
姜碩宗
洪道任
李祖甲
黃允河
權渭
蔡夢徵
高雲馹
金龍紀
趙世興
趙世籍
趙世基
柳侃
趙世雄
韓始泰
二月望
掌議河應圖
齋任李星緯
儒生金世剛
三月朔
齋任李星緯
儒生金南甲
三月望
掌議河應圖
四月朔
行牧使延陵君李萬元
上齋洪道達
掌議金栢
四月望
齋任李星緯
五月朔
齋任李星緯
五月望
上齋洪道達
齋任李星緯
六月朔
行牧使延陵君李萬元
上齋洪道達
掌議金塤
蔡夢徵
齋任李星緯
六月望
掌議蔡夢徵
齋任李星緯
七月朔
行牧使延陵君李萬元
掌議蔡夢徵
七月望
掌議趙世(王+頁)
齋任李星緯
八月朔
掌議蔡夢徵
齋任李星緯
八月望
掌議蔡夢徵
九月朔
齋任趙世籍
九月望
掌議蔡夢徵
齋任金萬績
十月朔
儒生趙世雄
十月望
掌議蔡夢徵
十一月朔
掌議蔡夢徵
十一月望
掌議蔡夢徵
十二月朔
掌議蔡夢徵
十二月望
掌議蔡夢徵
正月朔
掌議蔡夢徵
正月望
掌議蔡夢徵
二月朔
掌議蔡夢徵
二月望
齋任金始大
五月朔
齋任金始大
五月望闕焚香
六月朔闕焚香
六月望闕焚香
七月朔
齋任金始大
七月望闕焚香
閏七月朔
掌議李星緯
齋任金始大
閏七月望
掌議趙瀣
齋任金始大
八月朔望闕焚香
九月朔
上齋呂以臨
九月望
掌議宋
十月朔
齋任曺景沉
十月望
齋任金琛
十一月朔
齋任金琛
十一月望
掌議宋之升
十二月朔
儒生趙世安
十二月望
齋任金琛
庚辰正月朔
儒生趙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