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80년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안(校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680.4725-20150630.Y1532201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680
형태사항 크기: 22.5 X 22.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9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1680년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안(校案)
1680년 작성된 함창향교(禮安鄕校)에 출입하였던 학생 명부인 교안(校案)이다. 본 자료는 함창 교안 중 가장 이른 시기 액내와 액외를 구분하여 작성된 교안으로 입록자는 총 39명이다. 이들은 다시 양반인 액내교생 28명과 비양반인 액외교생 11명으로 각기 신분이 구분되어져 있는데 조선시대 현(縣) 소재 향교의 정원 30명 보다 2명이 부족하다. 조선후기 향교는 피역자(避役者)들의 무분별한 입교로 기존 양반들은 비 양반과 이름을 함께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유안(儒案)이나 청금록(靑衿錄)이라는 별도의 명부를 만들었다. 그래서 함창향교에서도 청금록이 작성되지만 본 자료가 작성되던 1680년에는 교안과 병행해서 만들어 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교안의 입록자 상당수가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청금록과 향안에 중복적으로 입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양반의 권위를 더욱 확고히 하는 동시에 향교가 또 하나의 양반들의 향촌기구 기능을 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한편 본 교안에 수록된 교생의 본관은 完山李氏, 仁川蔡氏, 平山申氏, 安東權氏, 南陽洪氏 등으로 조선중기 이래 유향소를 중심으로 함창의 향촌사회를 주도하던 유력한 가문들 볼 수 있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韓國의 鄕校硏究 』,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680년 12월 경상도 함창현 함창향교의 교생 명단인 교안
자료의 내용
본 자료는 1680년 12월 경상도 함창현 함창향교의 교생 명부인 교안이다. 조선시대 향교가 위치했던 함창현은 현재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으로 편입되어 있다. 함창향교에 현전하는 교안은 17세기 중반 이후부터 18세기 초반까지 총 8책으로 교생의 신분에 따라 액내교생과 액외교생으로 구분하여 작성되어 있다. 본 자료는 함창에서 현전하는 교안 중 1676년 이어 두 번째 시기의 것으로 액내와 액외 구분하여 작성된 교안이며, 東齋 유생만을 별도로 수록한 靑衿錄과 병행해서 작성 되든 시기의 교안이다. 자료의 표제에 ‘校案’ 및 ‘庚申’이 명기 되어 있고 좌목 구성은 이름 외 다른 기록은 전무하다.
교안 수록자는 총39명이며, 액내교생 28명과 액외교생 11명이 각기 신분을 구분하여 수록하고 있다. 조선시대 향교 교생은 군역면제를 비롯한 각종 특권이 주어졌기 때문에 경국대전에 향교의 정원이 규정되어 있는데, 縣 소재 향교 정원은 30명이다. 그러나 함창향교 액내교생은 28명으로 법적정원보다 2명이 부족하지만 편차가 그리 크다고는 할 수 없다. 교안 입록자를 성씨별로 분류하면 먼저 양반들로만 구성된 액내교생은 이씨 7명, 권·申氏 5명, 채씨 4명, 鄭씨 2명, 김·박·손·안·全氏 각1명 순으로 등재되어 있다. 액내교생이 재지사족들로 구성되고 있었음은 조선시대 고을의 유력한 양반들의 자치기구인 유향소의 구성원 명부인 鄕案과 청금록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함창향안에는 액내유생 절반이 훨씬 넘는 27명이 청금록에는 16명이 중복 입록 되어 있다. 이러한 수치는 당시 향안과 청금록이 양반사족의 명부로 기능하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수치라 할 수 있다. 다시 중복 입록자들을 성씨별로 정리하면 향안에는 이씨 8명, 채씨 5명, 신씨 4명, 박씨·권씨·홍씨 각2명, 남씨·전씨·정씨·최씨 각1명씩이며, 청금록에는 이들의 본관은 完山李氏, 仁川蔡氏, 平山申氏, 安東權氏, 南陽洪氏 등으로 조선중기 이래 유향소를 중심으로 함창의 향촌사회를 주도하던 대체적인 가문들 볼 수 있다. 또한 최씨와 전씨를 제외하면 함창현 읍지류 성씨조에 수록된 來性들이다. 다음 향교에 재물을 바치는 대가로 피역하는 부류인 비 양반층들 명단인 액외교생에는 권씨·申氏 가3명, 남·이·주·홍·황씨 각1명씩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 중 향안이나 청금록 중복 입록된 자는 없다. 향안 말미에는 ‘庚申十二月日’ 간지와 당시 향임인 都有司 蔡, 掌議蔡[署押], 有司南[署押], 行縣監吳[署押] 라는 기록으로 끝이 난다.
자료적 가치
본 자료는 17세기 후반 함창향교의 인적구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인조 대 이후 교생고강이 실시된 이후에도 함창지역 일부 양반사족들은 교안과 청금록을 병행해서 작성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교안에서 청금록으로 이행되던 과도기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함창향교의 교안에 액내교생 대부분이 향안이나 청금록에 동시에 등재 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향안과 교안의 운영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운영되었음을 의미하며 교안이 향안과 같이 양반사족의 명부임을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韓國의 鄕校硏究 』,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尙州誌』, 상주시, 198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庚申
校案
額內
權用慶
孫英最
李賢冑
權份
李梓
申世城
蔡之演
金廷
蔡光徵
李世緯
蔡之疇
李檉
申命呂
李世榮
全爾運
朴命恒
申命建
權伈
權頴
鄭自和
申大臨
鄭之連
蔡靈一
李㯳
李慶來
安後尙
申命逸
權允經
額外
申碩恒
申彭年
南極斗
申以哲
權慑
洪道光
李成晩
【名相榮】 權悔
權杰
奏從楨
黃萬英

庚申十二月日
都有司蔡
掌議蔡[署押]
有司南[署押]
行縣監吳[署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