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79년 선산향교(善山鄕校) 청금록(靑衿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679.4719-20150630.Y1532601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선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작성시기 1679
형태사항 크기: 31 X 30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구미 선산향교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구미 선산향교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리

안내정보

1679년에 작성된 선산향교 청금록으로 선산지역의 양반사족의 명부이다. 2월 18일에 처음 기록하여 ‘還錄’, ‘新錄’, ‘直書’로 추록하고 있다. 인명을 기재하고 이어 일부 개명만 부기하는 형식으로 간단하게 기입되어 있다. 당해연도의 문서 말미에는 상유사, 공사원, 장의 등의 성씨와 수결을 날인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尹熙勉,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姜大敏,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1679년에 작성된 선산향교 청금록으로 선산지역의 양반사족의 명부
자료의 내용
1679년에 작성된 선산향교 청금록으로 선산지역의 양반사족의 명부이다. 2월 18일에 처음 기록하여 ‘還錄’, ‘新錄’, ‘直書’로 추록하고 있다. 인명을 기재하고 이어 일부 개명만 부기하는 형식으로 간단하게 기입되어 있다. 당해연도의 문서 말미에는 상유사, 공사원, 장의 등의 성씨와 수결을 날인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했다.
조선시대 향교의 교생에게는 군역면제 등 각종 특권이 부여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특권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군현의 대소에 따라 교생의 수가 차등적으로 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이러한 규정은 향교 본연의 역할이 소임을 다하지 못하는 사정과 서얼 및 평민층의 입교가 점차 늘어나는 상황과 결부될 뿐만 아니라 향교가 더 이상 사족들만의 중심으로 작용하는 것이 않게 되고, 향교가 가진 교육적 기능이 상실되어 가면서 사족들의 이해를 대변하는데 한계를 가진 곳으로 변모해 가는 상황이었다. 이에 향교 교생의 본연의 임무인 교육과 지방민들의 교화라는 역할의 향교의 존재 이유는 거의 지켜지지 못하게 되어 군역 부족 등의 부작용을 낳게 되었다.
이에 중앙정부에서는 校生考講을 실시하는 등 교생으로의 역할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도하지만 이는 오히려 양반사족 자제들의 향교 교생으로의 입학을 회피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고, 또한 조선후기로 오면서 양반들의 군역면제가 점차 보편화되는 추세에 편승하여 부작용은 더욱 더 심화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양반사족들은 교생으로의 향교 입학을 회피하였을 뿐 향교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유효하였다. 문묘가 배치된 향교는 국가 이념인 유학이 지방에까지 널리 보급되어 갈수록 제향의 장소로서 오히려 지역문화의 중심지가 되어갔고, 어느 지역에서나 문묘배향행사는 유교행사이며 유림행사였으므로 지방의 지배층들로서는 이에 직, 간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을 수 없었다. 즉, 향교는 지방의 유일한 관학이자 공자의 위패를 모신 성리학 전파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양반사족들은 종래 교생으로의 입학과 향안의 입록을 피하는 대신 그들만의 명부인 청금록을 작성하고 스스로 청금유생이라 칭하면서 향교의 운영에 지속적으로 관여하였다. 그리고 당시 청금유생으로 입록된 인물들은 향안 및 서원안에도 동시에 입록된 지역의 유력집안 사람들이었으며 이는 당시 작성된 청금록과 향안, 서원안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청금록에 입록된 청금유생들은 평민, 서얼들로 이루어졌던 校生과 대비되는 존재들로 향교교임과 더불어 향교를 구성하는 중요한 인적 구성요소이자 향교 운영의 담당자였다. 본 문서는 이러한 교생과 청금유생의 분화, 즉 청금록이 작성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이는 교생고강의 실시와 과거응시 자격부여라는 2가지 요인이 작용한 이후에 작성되어진 것이다.
청금록의 작성시기는 대개 2월과 8월에 집중되었지만, 반드시 그러한 시기에 시행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입록되는 인원에 있어서도 정액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적게는 수명에서 많게는 수십명에 이르기까지여서 양반사족의 명부로서 정액의 개념이 없었거나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성씨의 분포는 다양하나 기록이 인명에 한정되어 있어 본관 등의 나머지 사항은 전혀 알 수 없다.
자료적 가치
17세기 후반에 작성된 선산향교 청금록으로 선산지역을 재지적 기반으로 한 청금유생들의 인적구성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선산향교 소장 향안 등과 비교하여 청금록에 입록된 자들의 일면을 살펴보고, 선산의 향촌사회를 주도적으로 운영하였던 이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尹熙勉,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姜大敏,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靑衿錄
己未二月十八日還錄
沈宜?
朴來觀
李學延
姜在修
李昱
沈能煥
金鼎壽
朴仁浩
李景暹
沈能敎
朴來陽
金益壽
李景沆
沈宜生
李永?
李天峻
沈宜?
金晉溫
洪始雨
沈宜淳
權星度
沈耆之
李明峻
趙尙淳
李德峻
沈宜澈
金學淵
崔鎭華
郭瀚
李鳳峻
金?
權義祐
金?

上有司 姜 [手決]
公事員 李 [手決]
郭 [手決]
掌議 沈 [手決]
金烏書院 掌議 朴 [手決]
有司 李 [手決]
會中 曹 [手決]
郭 [手決]
同日改薦還錄
郭濂
金■
曹精道
金樂淳 改名學淳
郭汶
金必鳴
曹昌道
金鱗一
盧光錫
李好儉 改 景宇
宋應命
曹以道
尹發
金晦根
李必用 出品
盧尙禎
金松久
申魯淵
朴萬興
權訥
朴光憲
曹漢宗
金禹圭
朴漢朝
李成翼
田性禹
金崑壽
金沂源
李鴻逵
李正彬
鄭文輝
李克元
金聲鐸
朴天箕
呂麒俊
柳成遇 改成渭
金益秋 改名 養
朴天鳳
田鍾石
李奎燦
黃爾瓊
洪萬休
李慶東
李斗彬
宋祥元
金必鳴

上有司 姜 [手決]
公事員 李 [手決]
郭 [手決]
掌議 沈 [手決]
金烏書院掌議 朴 [手決]
有司 李 [手決]
會中 曹 [手決]
郭 [手決]
同日新錄
朴光穆
李根普 改名燦普
呂龜俊
柳希玭
權明祐
趙雲鵬
康宅揆
金鯉淵
金照鎭
白圭豊
金瓚
李景福 改名景顔
崔雲範

郭 [手決]
會中 曹 [手決]
有司 李 [手決]
金烏書院掌議 朴 [手決]
掌議 沈 [手決]
郭 [手決]
公事員 李 [手決]
上有司 姜 [手決]
同日直書
李景宅
郭必周
金壎
權履祐
金善昊
張亨烈

上有司 姜 [手決]
公事員 李 [手決]
掌議 郭 [手決]
沈 [手決]
會中 曺 [手決]
癸亥更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