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37년부터 1651년까지의 선산향교(善山鄕校) 청금록(靑衿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1637.4719-20150630.Y15326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선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작성시기 1637
형태사항 크기: 37.5 X 24.5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구미 선산향교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구미 선산향교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리

안내정보

1637년부터 1651년까지의 선산향교(善山鄕校) 청금록(靑衿錄)
1637년부터 1651년까지 작성된 선산향교 청금록으로 선산지역의 양반사족의 명부라 할 수 있겠다. 癸丑 8월 19일을 시작으로 戊寅 2월, 己卯 8월, 庚辰 2월, 辛巳 2월, 同年 8월, 壬午 8월, 癸未 정월, 甲申 8월 2차례, 丙辰 2월, 丁亥 2월, 同年 8월, 戊子 2월, 同年 윤3월, 己丑 2월, 同年 8월, 庚寅 8월, 辛卯 정월, 同年 2월, 同年 3월 등 총 15년간 20차례에 걸쳐 추록하고 있다. 인명을 기재하고 이어 부기사항을 간략하게 기록하여 신상의 변동을 적시하는 형식으로 간단하게 기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당해연도의 문서 말미에는 掌議 및 上有司의 성씨와 手決을 날인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했음을 알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尹熙勉,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姜大敏,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1637년부터 1651년까지 작성된 선산향교 청금록으로 선산지역의 양반사족의 명부
자료의 내용
1637년부터 1651년까지 작성된 선산향교 청금록으로 선산지역의 양반사족의 명부라 할 수 있겠다. 癸丑 8월 19일을 시작으로 戊寅 2월, 己卯 8월, 庚辰 2월, 辛巳 2월, 同年 8월, 壬午 8월, 癸未 정월, 甲申 8월 2차례, 丙辰 2월, 丁亥 2월, 同年 8월, 戊子 2월, 同年 윤3월, 己丑 2월, 同年 8월, 庚寅 8월, 辛卯 정월, 同年 2월, 同年 3월 등 총 15년간 20차례에 걸쳐 추록하고 있다. 인명을 기재하고 이어 부기사항을 간략하게 기록하여 신상의 변동을 적시하는 형식으로 간단하게 기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당해연도의 문서 말미에는 掌議 및 上有司의 성씨와 手決을 날인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향교의 교생에게는 군역면제 등 각종 특권이 부여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특권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군현의 대소에 따라 교생의 수가 차등적으로 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이러한 규정은 향교 본연의 역할이 소임을 다하지 못하는 사정과 서얼 및 평민층의 입교가 점차 늘어나는 상황과 결부될 뿐만 아니라 향교가 더 이상 사족들만의 중심으로 작용하는 것이 않게 되고, 향교가 가진 교육적 기능이 상실되어 가면서 사족들의 이해를 대변하는데 한계를 가진 곳으로 변모해 가는 상황이었다. 이에 향교 교생의 본연의 임무인 교육과 지방민들의 교화라는 역할의 향교의 존재 이유는 거의 지켜지지 못하게 되어 군역 부족 등의 부작용을 낳게 되었다.
이에 중앙정부에서는 교생고강을 실시하는 등 교생으로의 역할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도하지만 이는 오히려 양반 자제들의 향교 교생으로의 입학을 회피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고, 또한 조선후기로 오면서 양반들의 군역면제가 점차 보편화되는 추세에 편승하여 부작용은 더욱 더 심화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양반들은 교생으로의 향교 입학을 회피하였을 뿐 향교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유효하였다. 문묘가 배치된 향교는 국가 이념인 유학이 지방에까지 널리 보급되어 갈수록 제향의 장소로서 오히려 지역문화의 중심지가 되어갔고, 어느 지역에서나 문묘배향행사는 유교행사이며 유림행사였으므로 지방의 지배층들로서는 이에 직, 간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을 수 없었다. 즉, 향교는 지방의 유일한 관학이자 공자의 위패를 모신 성리학 전파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양반들은 종래 교생으로의 입학과 향안의 입록을 피하는 대신 그들만의 명부인 청금록을 작성하고 스스로 靑衿儒生이라 칭하면서 향교의 운영에 지속적으로 관여하였다. 그리고 당시 청금유생으로 입록된 인물들은 향안 및 서원안에도 동시에 입록된 지역의 유력집안 사람들이었으며 이는 당시 작성된 청금록과 향안, 서원안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재지사족이란 ‘在地’와 ‘吏族’에 대칭되는 신분으로서의 ‘士族’을 지칭하는데 이들은 대체로 향촌사회에서 중소지주로서의 경제적 기반과 사족으로서의 신분적 배경을 가진다. 이들은 점차 향리로부터 향촌사회 운영권을 장악하여 16세기 중, 후반경부터 그들 중심의 지배체제를 구축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留鄕所, 鄕案, 鄕規 등이 조직되고 작성되었으며, 서원이 건립되기도 하였고, 향약, 동약, 동계가 실시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재지사족은 대체로 16, 17세기 향안에 입록될 수 있는 존재들로서 스스로를 門閥, 世族 등으로 표현하였으며, 유향소를 운영하고, 향교와 서원을 출입하며, 향약 또는 동계, 동약의 실시를 주도해가던 계층이었다. 이러한 사족들이 청금록이라는 별도의 유생명부를 만들고 향교에 출입하면서 향교 운영에 간여하였던 것이다.
청금록에 입록된 청금유생들은 평민, 서얼들로 이루어졌던 校生과 대비되는 존재들로 향교교임과 더불어 향교를 구성하는 중요한 인적 구성요소이자 향교 운영의 담당자였다. 본 문서는 이러한 교생과 청금유생의 분화, 즉 청금록이 작성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이는 교생고강의 실시와 과거응시 자격부여라는 2가지 요인이 작용한 이후에 작성되어진 것이다. 확실한 기록이 없지만 중간중간에 인위적으로 삭적한 흔적이나 ‘還錄’, ‘反武出’ 등의 기록으로 보아 청금록이 작성된 시점에서는 신분적 위계질서를 더 강화하였거나, 입록의 자격요건을 철저히 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 그러한 증거라 하겠다.
청금록의 작성시기는 대개 2월과 8월에 집중되었지만, 반드시 그러한 시기에 시행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입록되는 인원에 있어서도 정액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적게는 수명에서 많게는 수십명에 이르기까지여서 양반사족의 명부로서 정액의 개념이 없었거나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성씨의 분포는 다양하나 기록이 인명에 한정되어 있어 본관 등의 나머지 사항은 전혀 알 수 없다.
자료적 가치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 중반에 작성된 선산향교 청금록으로 선산지역을 재지적 기반으로 한 청금유생들의 인적구성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선산향교 소장 향안 등과 비교하여 청금록에 입록된 자들의 일면을 살펴보고, 선산의 향촌사회를 주도적으로 운영하였던 이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하겠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尹熙勉,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姜大敏,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靑衿錄
丁丑八月十九日
? 吉震龜 時任
? 崔斗極
? 金鼎燮
? 黃道弘
? 朴重煥
? 宋?
? 李友白
? 金之約
? 宋炯
? 金亨燮
? 金舜星
? 金俊燮
? 金士燮
? 黃道宗
? 田東稷
? 呂必聞
? 金賢燮
? 金徽燮
? 朴重圭
? 朴成遠
? 李挺宇
? 金顯基
? 金景星
? 朴成理 改名成權
? 金彦燮
? 李晉華
? 吉尙百
? 李日三
? 金顯宇
? 朴重采
? 金震燮
? 朴文世
? 金兌一
? 朴孝全
? 田世稷
? 金之纘
? 李秀林
? 李台三
? 朴重祉
? 朴聖錫
? 朴昌世
? 朴聖時
? 宋玄基
? 李廷賓
? 金宜鼎
? 李坰
? 金宜鏡
? 金致燮
? 崔斗南
? 黃道彬
? 康允濟
? 鄭麟瑞
? 趙泰邦
? 呂光澤 移居新昌
? 崔斗樞
? 金汝澤
? 權希道
? 朴重益
? 金夢星
? 尹就明
? 金命燮
? 盧命全
? 金善行
? 呂光澤 移居新昌
? 崔斗樞
? 金汝澤
? 權希道
? 朴重益
? 金夢星
? 尹就明
? 金命燮
? 盧命全
? 金善行
? 金宇寧
? 朴重郁
生員 鄭柱漢
? 李震英
? 鄭之鉉
? 朴聖任
? 朴鶴齡 時任縣監
? 吉尙億
? 柳世苾
? 申舜錫
李道興
? 李大觀
? 朴守章
? 朴重胤
? 金在範 移居尙州
? 韓機
? 朴宗煥
? 黃道祥 自出
? 金基祐
? 李震郁
? 金之綱
? 尹晉明 改德明
? 金克才
? 權時道
? 尹承明
? 高重華
? 黃道亨
? 文聖郁
? 金漢星
進士 洪命熙
? 朴成集
? 金漢明
? 田相基
? 尹相殷
? 崔愈
? 李志勉
? 李廣運 時任今牧使
生員 李志尹 時任今郡守
? 金泰璧
? 黃命?
? 李世珌
? 呂光錫
? 金在彬
? 金麗重
? 李廣濟
? 金宜鍵
? 李志郁
? 李泰華
? 柳世芸
? 朴欽
? 李尙文
? 崔東?
? 孔始大
? 金善初
? 申德洙

同日還錄
? 崔珀
? 李挺然
? 金世輝
? 李挺立
朴命世
? 李挺龍
? 李廷機

戊寅二月初一日新錄
? 李世彦
盧命羲 改聖臣
? 李培
? 李?
金振玉
? 朴重來
進士 李廣澤
? 金良鉉
? 金必重
? 李廣源
洪重熙

己卯二月七日新錄
盧夏鉉
盧夏經
? 金在白 改名希壽
? 金在鎔 改名基裕
? 金宜鑑

己卯八月二日新錄
? 盧聖一
? 金重三
鄭之銃
? 權聖道
? 柳經漢
金善亨
? 文聖彬
金鉉燮
? 盧啓東
? 朴聖采
? 朴震興
? 高重厚
? 崔憙
? 金宇望
? 金南粹
鄭安世 移居金山

庚辰二月三日
? 鄭演周
? 鄭羲瑞
? 閔聖瑞
進士 金德一
? 尹聖兪 還鄕
? 文尙儉 還鄕
李震芳 自出
崔東?
? 金萬重 改名南重
? 田載重
崔?
? 田載恒
? 盧夏亨
金汝洙 反武出
? 宋益基 自出
同日還錄
李光亨 自出
崔東{武/山}

辛巳二月九日
? 沈尙賢
崔懋
崔憲
生員
? 金汝濟
朴海齡
? 呂光晉
? 金在岳
? 金泰星 自出
康處福
金碩重 改處重
? 金泰柱
崔東?
崔東峻

辛巳八月一日
? 金夏燮
? 田永昌
? 金鉉重
? 盧聖翊
田益昌
? 申萬善
? 田德昌
? 金爾才
? 李龜徵
崔惠
? 崔憲
? 吉尙濟
? 李參孝
? 金錫重 自出
文聖翊
? 李挺直

壬午八月八日
? 李志學
? 李增郁
? 李世珩
? 郭大振
金在玉
? 黃道直
? 田壽昌
? 尹翊明 反武出
? 盧啓泰
? 柳緯漢 反武出

癸未丁月二十九日新錄
? 洪翼相
? 李應海
? 黃聖?
? 李世連
金基遠 改名溟壽
? 金基福 改名在秋
? 琴舜柱
金宇宗 自出
? 金在成
? 朴重孝
權師道 反武出
? 田載遠
? 呂夏賓
金善恒 移居仁同
? 朴震元
田載厚

甲申八月九日新錄
? 金雲萬 改名恒萬
? 黃莘?

同日還錄
? 黃道行

甲申八月二十日還錄
? 崔斗景
? 崔斗昻

丙戌二月八日新錄
? 朴訥
? 李漸翼
? 金弘重
? 朴聖和
? 金晩成
? 李挺春
? 盧夏紀
金宇樑
田載興 病廢
? 尹鼎邦 改雨龍
李廣基
崔?
? 朴鎬
金潤址 改壽房
? 尹殿邦
? 權宜道
? 金宜礪
? 黃泰?
? 金震萬
? 朴聃齡
? 盧相龜

丁亥二月二日新錄
? 金爾重
? 盧啓勛
金在萬
? 李景林
? 康處禎

盧 [手決]
掌議 尹 [手決]
上有司 朴 [手決]
丁亥八月七日還錄
? 尹遇明

金 [手決]
掌議 朴 [手決]
上齋 黃 [手決]
戊子二月九日新錄
? 黃元?
? 金遠重
? 鄭泰世
金在精 改景壽
? 金禹鼎
? 金仁徵
? 崔東?
? 金宜?

金 [手決]
掌議 朴 [手決]
上齋 黃 [手決]
戊子閏三月十一還錄
? 李廷奭
崔 [手決]
李 [手決]
宋 [手決]
堂中 尹 [手決]
己丑二月五日新錄
文聖華 自出
? 李春榮
朴泰齡
金石命
? 黃永?
進士 金鼎台
? 黃渭?

朴 [手決]
掌議 文 [手決]
上有司 崔 [手決]
己丑八月八日新錄
進士 金夏相
? 都萬恒
崔恁
? 崔?
鄭益瑞
宋昌殷
朴亨?
? 朴鏶 改名震甲
? 李世玹
? 黃亨?
李道升 改世璘
? 金在徽 恒壽改名
? 金鏞 改名鎔
? 崔壽泰

同日還錄
金?
金 [手決]
柳 [手決]
金 [手決]
鄭 [手決]
金 [手決]
金 [手決]
高 [手決]

金 [手決]
鄭 [手決]


李 [手決]
金 [手決]
金 [手決]


黃 [手決]


李 [手決]
黃 [手決]

金 [手決]
鄭 [手決]
黃 [手決]
黃 [手決]
堂中 朴 [手決]
盧 [手決]
掌議 朴 [手決]
月巖院長 金 [手決]
上有司 崔
庚寅八月四日新錄
丘泰昇 移居大邱
? 宋榮基
? 金周燮
? 吳胤基
? 崔東{山+票}
? 吉尙恒
? 鄭萬鎭
? 宋成基
? 宋壽基
? 金萬采
? 申萬周
? 金玧
? 金壽南
盧昌運
? 金在千
盧啓夏

朴 [手決]
尹 [手決]
金 [手決]
文 [手決]



金 [手決]
崔 [手決]
金 [手決]
盧 [手決]
黃 [手決]

尹 [手決]
黃 [手決]
金 [手決]
黃 [手決]
金 [手決]
金 [手決]
金 [手決]
堂中 朴 [手決]
金 [手決]
掌議 黃 [手決]
上有司 金 [手決]
辛卯正月初四日還錄
? 李泰華
? 郭喜慶

金 [手決]
金 [手決]
金 [手決]
堂中 金
金鳥院長 李 [手決]
上有司 金 [手決]
? 申萬啓 改名命天
? 生員 金?
? 鄭經濟
郭始振
金命世
? 趙時彬
金懋
? 金宇一
黃 [手決]
李 [手決]
朴 [手決]
黃 [手決]
金 [手決]
尹 [手決]
金 [手決]

李 [手決]
金 [手決]
堂中 黃 [手決]

掌議 李 [手決]
上有司 金
辛卯三月二十九日新錄
? 李道光 改世珖
? 李道興 改世■
? 金泰張
金昌重
? 李廣規
? 李世璣
? 李世? 改世■
? 朴元齡
? 宋錫範 反武

公事員 李
癸亥更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