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홀기(笏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0000.4725-20150630.Y1532117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홀기
작성주체 상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형태사항 크기: 28 X 14
수량: 1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안내정보

홀기(笏記)
이 자료는 상주향교(尙州鄕校)에서 작성한 『笏記(홀기)』이다. 홀기란 제례을 거행하는 순서를 기록한 것이다. 제례는 엄격한 질서가 필요로 하는 의식이기에 그만큼 제례거행 과정에서의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전준비와 과정을 기록할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발달한 것이 것이 홀기이다. 홀기는 절차를 미리 의정해 그대로 시행함으로써 절차의 오류를 막고 시비의 근원을 방지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홀기』는 당시 상주향교에서 거행된 석전(釋奠), 성묘이환안고유제(聖廟移還安告由祭), 심생례(審牲禮)의 절차 및 제관(祭官)의 역할을 기록하고 있다. 먼저 석전은 음력 2월과 8월의 첫 정일(丁日, 上丁日)에 문묘(文廟)에 모셔진 공자(孔子)를 비롯한 선현(先賢)에게 올리는 제사로 가장 큰 향교의 제례였다. 홀기에 나타난 석전의 순서는 크게 전폐례(奠幣禮), 초헌례(初獻禮), 아헌례(亞獻禮), 종헌례(終獻禮), 음복수조례(飮福受胙禮), 망요례(望瘞禮) 등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성균관에서 거행된 석전제와 대체로 유사하다. 성묘이환안고유제는 어떠한 사정으로 신위(神位)를 옮겨야 할 때에 그 연유를 고하는 것으로 크게 작헌례(爵獻禮)와 망예례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심생례는 제사에 쓰이는 제물(犧牲)을 검수하는 예이다. 상주향교의 홀기는 이와 같이 거행된 제례의 순서와 제관의 절차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례 과정에서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홀기』가 작성된 것은 향교의 의례기능과 관련이 깊다. 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성현의 위패를 모신 유학의 상징이었고 지방민들에게는 유교이념을 보급하는 교화(敎化)의 중심지였다. 따라서 향교에서의 제례는 대단히 엄정히 거행되었으며 『홀기』의 작성을 통해 제례 중의 실수를 방지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와같이 『홀기』는 당시 상주향교에서 거행된 제례의 구체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담긴 제례의 엄정함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유기선

상세정보

상주향교에서 거행된 제례의 진행순서를 기록한 홀기
내용 및 특징
본 자료는 尙州鄕校에 소장된 『笏記』이다. 각종 제례의 순서를 기록하고 있다. 작성연대나 작성자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홀기란 제례 등의 의식에서 그 진행 순서를 적어서 낭독하게 하는 기록이다. 제례와 같은 의식을 거행할 때에는 실수를 저지르지 않기 위해 사전 준비와 보고를 행하는 절차가 필요했으며, 그 필요에 따라 발달한 것이 홀기이다. 홀기는 크게는 국가의 朝參과 常參에서부터 종묘·사직·拜陵 등의 의식에 이용되었으며, 작게는 視學·入學·殿試를 비롯해 養老宴 등 다양하게 이용되었다. 민가에서는 書院의 儒會, 鄕會를 비롯해 鄕飮酒禮·講學禮 등에도 이용되었으며 婚禮·冠禮·祭禮 등 사가의 행사나 의식에까지도 이용되었다. 홀기는 절차를 미리 의정해 그대로 시행함으로써 절차의 오류를 막고 시비의 근원을 방지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현전하고 있는 상주향교의 홀기는 釋奠, 聖廟移還安告由祭, 審牲禮 등의 순서를 기록한 것이다. 釋奠은 음력 2월과 8월의 上丁日(첫 丁日)에 孔子를 비롯한 先賢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며 移還安祭告由祭는 어떠한 사정으로 신위를 옮겨야 할 때 지낸 제사이다. 심생례는 제사에 쓰이는 犧牲을 검수하는 예이다. 홀기는 이러한 제례에 관련한 준비사항을 비롯하여 진행순서 등을 기록하고 있다.
상주향교의 석전 차례는 크게 奠幣禮, 初獻禮, 亞獻禮, 終獻禮, 飮福受胙禮, 望瘞禮로 구분되어 있다. 먼저 大祝, 執事, 獻官 등이 예를 갖춘 후 정해진 자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사가 시작되며 전폐례를 행한다. 전폐례는 폐백을 올리는 예로 초헌관이 孔子·顔子·曾子·子思·孟子(五聖)의 神位에 차례로 분향하고 폐백을 드리는 것이다. 초헌례는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예로 초헌관이 孔子의 신위에 술잔을 올린 후 祝文을 읽고 이후 顔子·曾子·子思·孟子의 신위에 차례로 술잔을 올리는 것이다. 아헌례는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예로 아헌관이 五聖에게 술잔을 올리는 것이다. 종헌례는 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예로 앞의 순서대로 술잔을 올리는 것이다. 음복수조례는 제사에 쓴 술과 음식을 먹는 예이다. 초헌관이 謁者의 인도로 음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망예례는 제사가 끝난 후 축문을 땅에 묻는 것으로 알자가 초헌관을 인도하여 지정된 장소로 인도한 후 패백과 축문을 묻는다. 이후 제사 참여자가 사배한 후 물러감으로써 끝나게 된다.
聖廟移還安告由祭는 어떠한 사정으로 神主를 새로이 옮길 경우, 그 사정을 고하는 제사이다. 이환안고유제는 크게 爵獻禮와 望瘞禮로 구분된다. 작헌례는 五聖 신위에 차례로 술잔을 올리고 奉香하는 것이며 망예례는 석전의 예와 마찬가지이다.
심생례는 제사에 쓰일 제물을 검수하는 예로 검수과정과 執禮 大祝, 終獻官, 贊者, 謁者, 掌牲, 牽牲 등의 역할을 규정하고 있다. 끝으로는 축문작성의 예시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홀기』가 작성된 것은 향교의 의례기능과 관련이 깊다. 주지하듯 향교는 지방의 유일한 官學일 뿐만 아니라 孔子를 비롯한 聖賢의 위패를 모신 유학의 상징이었고 지방민들에게는 유교이념을 보급하는 敎化의 중심지였다. 따라서 향교에서의 제례는 대단히 엄정히 거행되었으며 『홀기』의 작성을 통해 제례 중의 실수를 방지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자료적 가치
『홀기』는 상주향교에서 거행되었던 석전, 고유제 등의 제례과정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 엄숙히 진행되었던 제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유기선

이미지

원문 텍스트

笏記
牲就位○贊引引終獻官就審牲位○掌牲少
前曰請審牲○退復位終獻官審牲○掌牲又
牲就位○贊引引終獻官就審牲位○掌牲少
前曰請審牲○退復位終獻官審牲○掌牲又
前擧手曰脂○復位○大祝巡牲一匝東向擧手曰
克○復位大祝與掌牲以次牽牲詣廚○謁者引
終獻官詣廚審鼎鑊申視滌漑■…■
釋奠日丑前五刻○掌饌者入實饌具畢○謁
者引初獻官升自東階點視陳設訖還出前
三刻獻官以下及學生各服其服○
贊者率執事及學生就門外位○贊者謁者
贊引入自東門先就階間拜位四拜訖各就位
○贊引引學生入就位○贊引引祝及諸執事入就
階間拜位北向西行祝以下皆四拜鞠躬○拜○興○拜
○興○拜○興○拜○興○平身○詣盥洗位訖各
就位○謁者引初獻官贊引各引分獻官俱就門外位
○執事者詣爵洗位○洗爵○拭爵○置於篚○捧詣
樽所○置於坫上○謁者引初獻官贊引各引分獻官
入就位○謁者進初獻官之左白有司謹具請行事○退
復位○獻官及學生皆四拜○鞠躬○拜○興○拜○
興○拜○興○拜○興○平身○行奠幣禮○謁者引初
獻官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手○帨手○執
笏○引詣
先聖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北向立○跪○搢笏○一
人奉香榼一人奉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
○祝以幣篚授初獻官○初獻官執幣○獻幣○以
幣授祝○奠于神位前○奉香授幣授爵皆在獻官之右 奠爐奠幣奠爵皆在獻官之左○執笏
○俯伏○興○平身○次詣復聖公神位前東向立○
跪○搢笏○一人奉香榼一人奉香爐跪進○三上香○
奠于神位前○祝以幣篚授初獻官○初獻官執幣○
獻幣○以幣授祝○奠于神位前○執笏○俯伏○
興○平身○次詣宗聖公神位前○西向立○跪○搢笏
○一人奉香榼一人奉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
祝以幣篚授初獻官○初獻官執幣○獻幣○以幣授祝
○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述聖
公神位前○東向立○跪○搢笏○一人奉香榼一人奉
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祝以幣篚授初獻官
○初獻官執幣
○獻幣○以幣授祝○奠于神位前○執笏
○俯伏○興○平身○次詣亞聖公神位前○西向立○跪○
搢笏○一人奉香榼一人奉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
○祝以幣篚授初獻官○初獻官執幣○獻幣○以幣授祝
○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引降復位○行
初獻禮○謁者引初獻官詣文宣王尊所○西向立○執樽者
擧冪酌醴齊○執事者以爵受醴齊○引詣神位前○北向
立○跪○搢笏○執事者以爵授初獻官○初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少退北向跪
○祝進神位之右東向跪○讀祝○訖○俯伏○興○平身○引詣配
位尊所○西向立○執樽者擧冪酌醴齊○執事者以爵受醴齊○
引詣復聖公神位前○東向立○跪○搢笏○執事者以爵授初獻官○
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
○興○平身○次詣宗聖公神位前○西向立○跪○搢笏○執事者以爵
授初獻官○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
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述聖公神位前○東向立○跪○
搢笏○執事者以爵授初獻官○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
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亞聖公神位前○
西向立○跪○搢笏○執事者以爵授初獻官○初獻官執爵○獻
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
引降復位○行亞獻禮○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北向立○搢笏○
盥手○帨手○執笏○引詣文宣王尊所○西向立○執樽者擧冪
酌盎齊○執事者以爵授盎齊○引詣神位前○北向立○跪○搢笏
○執事者以爵授亞獻官○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
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引詣配位尊所
○西向立○執尊者擧冪酌盎齊○執事者以爵授盎齊○引詣
復聖公神位前○東向立○跪○搢笏○執事者以爵授亞獻官○
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
俯伏○興○平身○次詣宗聖公神位前○西向立○跪○搢笏○執事者
以爵授亞獻官○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
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述聖公神位前○東向立○
跪○搢笏○執事者以爵授亞獻官○亞獻官執爵○獻爵○以
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亞聖
公神位前○西向立○跪○搢笏○執事者以爵授亞獻官○亞獻官
執爵○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
○平身○引降復位○行終獻禮○謁者引終獻官詣盥洗位○北向立
○搢笏○盥手○帨手○執笏○引詣文宣王尊所○西向立○執
樽者擧冪酌淸酒○執事者以爵授淸酒○贊引各人分獻官
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手○帨手○執笏○謁者引終獻官
詣神位前○北向立○跪○搢笏○執事者以爵授終獻官○終獻
盥執爵○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
興○平身○引詣配位尊所○西向立執尊者擧冪酌淸
酒○執事者以爵授淸酒○贊引各人分獻官詣東西從
享尊所○謁者引詣復聖公神位前○東向立○跪○搢
笏○執事者以爵授終獻官○終獻官執爵○獻爵○以爵
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宗聖
公神位前○西向立○跪○搢笏○執事者以爵授終獻官
○終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
○執笏○俯伏○興○平身○次述聖公神位前○東向立
○跪○搢笏○執事者以爵授終獻官○終獻官執爵○
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
○平身○次詣亞聖公神位前○西向立○跪○搢笏○執事
者以爵授終獻官○終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
事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引降復位○
飮福受胙○執事者一人詣文宣王尊所○以爵■…■
酒執事者一人持俎及刀○進減神位前俎肉○謁者引
初獻官○升詣飮福位○西向立○跪○搢笏○執事者
北向○以爵授初獻官○初獻官受爵○飮■…■
執事者受虛爵○復於坫○執事者北向○以俎授初獻
官○初獻官受俎○以俎授執事者○執事者受俎○降
自東階出門○執笏○俯伏○興○平身○引降復位○
待東西廡獻官俱出復位○獻官及學生皆四拜○鞠躬○拜
○興○拜○興○拜○興○拜○興○平身○撤籩豆○
祝入撤籩豆○獻官及學生皆四拜○鞠躬○拜○
興○拜○興○拜○興○拜○興○平身○行望瘞禮
○謁者引初獻官詣望瘞位○北向立○贊者詣
望瘞位○西向立○祝以篚取祝板及幣○降自西
階○置於坎○贊者曰可瘞○置土半坎○謁者進
初獻官之左○白禮畢○謁者贊引遂因初獻官
以下以次出○贊者還本位○祝及諸執事俱就階
間配位○四拜以次出
聖廟移還安告由祭笏記
享日丑前五刻掌饌入實饌具○前三刻獻官
及諸執事各服其服○贊者率執事及學生就
門外位○贊者謁者贊引入自東門先就階間
拜位四拜訖各就位○贊引引學生入就位○贊
引祝及諸執事入就階間配位北向西上祝以下皆四拜
鞠躬○拜○興○拜○興○拜○興○拜○興○平身
○詣盥洗位訖各就位○謁者引獻官贊引引
分獻官俱就門外位○執事者예盥洗位○洗
爵○拭爵○置於篚○奉詣尊所○置於坫土○謁
者引獻官贊引各引分獻官入就位○謁者進獻
官之左白有司謹具請行事○退復位○獻官及學生
皆四拜○鞠躬○拜○興○拜○興○拜○興○拜○興
○平身○行爵獻禮○謁者引獻官詣盥洗位北
向立○搢笏○獻官盥手○帨手○執笏○引詣
先聖大成至聖文宣王尊所○西向立○執尊
擧冪酌酒○執事者以爵授酒○贊引各引分獻
官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手○帨手○執
笏○謁者引獻官詣神位前○北向立○跪○搢
笏○執事者一人奉香榼一人奉香爐跪進○
三上香○執事者奠于神位前○執事者以爵
授獻官○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
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小退北向
跪○祝進神位之右○東向跪○讀祝訖○俯伏
○興○平身○引詣配位尊所西向立○執尊者擧
冪酌酒○執事者四人以爵授酒○贊引各引
分獻官詣東西從享尊所○執尊者擧冪
酌酒○執事者以爵授酒○謁者引獻官詣復
聖公神位前○東向立○跪○搢笏○執事一人奉
香榼一人奉香爐跪進○三上香○執事者奠于
神位前○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
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神位前○執笏○
俯伏○興○平身○次詣宗聖公神位前○西向立
○三上香○執事者奠于神位前○執事者以爵授
獻官○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者○奠于
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述聖公
神位前東向立○跪○搢笏○執事者一人奉香榼
一人奉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執事
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
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亞聖
公神位前○西向立○跪○搢笏○執事者一人奉香
榼一人奉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執事
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以爵授執事
者○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引
降復位○祝入撤籩豆○獻官皆四拜○鞠躬
○拜○興○拜○興○拜○興○拜○興○平身○
行望瘞禮○謁者引獻官詣望瘞位○北向立
贊者詣望瘞位西向立○祝以篚取祝板降自西
階置於坎○贊者曰可瘞○置土半坎謁者進獻官
之左白禮畢○引獻官出○贊引引祝及諸執事
俱復配位○祝以下皆四拜○鞠躬○拜○興○拜
○興○拜○興○拜○興○平身○贊引引出○贊
者謁者贊引就階間配位四拜而出○掌饌
者撤禮饌闔戶以降乃退
審牲禮
前一日未後三刻設掌牲位於近北
南向○大祝位於牲西○終獻官位於
牲前近南北向○執禮率贊者謁者
贊引先入壇下○掌牲牽牲就位○
贊引引終獻官就審牲位○掌牲
少前曰請審牲○退復位終獻官審
牲○掌牲又前擧手曰脂○復位○大祝
巡牲一匝東向擧手曰克○復位○大祝
與掌牲以次牽牲詣廚○謁者引終
獻官詣廚審鼎鑊申視滌漑
祝式
維 年 月 日
敢昭告于
至聖先師孔子伏以大成至聖萬世之師
時維春序(秋序)精禋是宜謹以牲幣
醴齊栥盛庶品式陳明薦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