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상주향교(尙州鄕校) 향교전답도조봉상성책(鄕校田畓賭租捧上成冊)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0000.4725-20150630.Y1532107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작성주체 상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형태사항 크기: 32 X 30
수량: 8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상주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안내정보

상주향교(尙州鄕校) 향교전답도조봉상성책(鄕校田畓賭租捧上成冊)
『향교전답도조봉상성책(鄕校田沓賭租捧上成冊)』은 상주향교가 소유한 토지의 도조(賭租) 납부와 관련된 기록으로 토지대장의 성격을 가진 문서이다. 자료의 훼손이 심해 연도추정 및 상세내용의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도조란 경작자가 토지의 주인에게 일정한 수량을 추수 후 납부하는 소작관행의 한 형태로 18세기 후반 일반화된 것이다. 따라서 본 자료의 작성 역시 18세기 이후 작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자료에는 당시 상주향교가 소유한 토지의 경작자와 납부액이 기록되어 있으며 경작자의 상당수는 노비이며 양인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작자 중 노비들은 향교에 소속된 노비들로 보이며 도조를 납부하지 못하는 경우도 다수가 발견된다. 이는 조선후기 노비들의 불안정한 경제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서에 나타난 경작자의 경작 규모는 대체로 밭(畓) 기준 3~5 두락지 정도이며 이에 해당하는 납부액(租)는 5두락지 당 3석 정도이다. 도지가는 대부분이 현물납부의 형식이며 금전의 납부도 일부 이루어지고 있다. 도지가의 총액은 대략 租 139石 10斗, 錢 15兩 4戔 4分 정도이며 보유 토지의 양은 일반적인 향교의 토지 보유양과 비슷한 수준으로 생각된다.
이 자료는 조선후기 상주향교가 보유한 토지에 관한 기록으로 토지보유 현황 및 운영방식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일부분이기는 하지만 당시 상주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확인할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유기선

상세정보

을묘년 상주향교 소유 토지의 도조 봉상 내역을 기록한 토지문서
내용 및 특징
『鄕校田沓賭租捧上成冊』은 乙卯年에 작성된 것으로 상주향교가 소유하고 있는 토지의 賭租 捧上을 기록한 것이다. 이 자료는 상단의 오른쪽이 훼손되어 있어 구체적인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작성연대에 있어서도 ‘乙卯’ 라는 기록만이 확인되기에 정확한 연대추정은 불가능하다. 다만 賭租가 일반화되는 18세기 이후에 작성된 것이라 생각된다. 작성방식은 田, 沓과 같은 토지의 종류와 규모, 賭租 額을 기록한 후 경작자의 이름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토지는 노비와 함께 향교의 주요한 경제적 기반 중에 하나였다. 조선은 유학을 통치이념으로 하는 국가였기에 유일한 지방의 관학인 향교에 토지와 노비를 加給하였다. 또한 향교는 자체적으로 토지를 마련, 이를 통해 향교 운영의 경비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각 향교는 토지 田畓案, 奴婢案 등의 작성을 통해 재정을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주향교 또한 토지 및 노비관련 문서를 작성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전하는 자료는 본 자료가 유일하다. 『傳掌記』가 현전하고 있지만 이는 상주향교가 소장하고 있었던 書冊과 文書만이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자료가 당시 상주향교의 경제 규모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鄕校田沓賭租捧上成冊』이라는 책명과 같이 본 자료는 상주향교가 소유한 토지에 대한 賭租를 기록하고 있다. 도조란 토지의 소유자와 경작자가 소작 계약을 할 때 미리 일정한 수량을 정하고 추수 후 분배하는 소작관행의 한 형태로 賭租·賭只·支定이라고도 한다.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8세기 후반에는 일반화된 소작관행이었다. 이러한 도조는 향교의 校田뿐만 아니라 宮庄土·驛屯土·墓位田·寺田·書院田의 경우에도 흔히 행해지고 있었다.
당시 상주향교의 도조 규모는 이 책 말미에 기재되어 있으며 총 田畓은 402斗 5刀落이며 전답의 분포지는 大坪面, 內北面 등과 같이 상주관내에 집중되고 있다. 토지 경작자의 경우 자료의 결락으로 인해 정확한 수치 파악은 힘들지만 대체로 奴婢가 주류였으며, 이외에 姓氏가 기재된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아 良人도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고 보인다. 여기서의 노비는 약 20여명이 확인되며 상주향교에 현전하는 奴婢案이 없어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지만 대부분이 향교에 소속된 노비였다고 생각된다. 노비들의 경우 賭租를 납부하지 못하는(未捧) 경우가 다수 발견되어 지는데 이는 조선후기 노비들의 불안정한 경제적 상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경작자의 일인당 경작 규모는 대체로, 畓 기준 3~5 斗落只 사이이며, 이에 해당하는 租는 5두락지 당 3石 정도이다. 1년 賭地價는 대부분이 현물납부의 형식이었으며 일부 金納도 행해지고 있다. 도지가의 총액은 대략 租 139石 10斗, 錢 15兩 4戔 4分 정도이다. 자료의 종류 및 보존의 문제로 구체적인 확인은 어렵지만 자료에 나타나는 토지의 규모를 보았을 때 일반적인 향교의 토지 보유양과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생각된다.
이와같이 『鄕校田沓賭租捧上成冊』은 조선후기 당시 상주향교가 보유한 토지에 관한 기록이다. 자료의 결락으로 인해 작성시기나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토지보유 현황과 운영방식의 일단면을 확인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의 주요 경제적 기반은 토지와 노비였다. 상주향교의 경우 田畓案 또는 奴婢案과 같은 경제관련 문서가 체계적으로 남아있지 않으며 『鄕校田沓賭租捧上成冊』이 유일하다. 비록 문서의 결락 등으로 인해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조선후기 상주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일부 유추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유기선

이미지

원문 텍스트

七. 鄕校田畓賭租捧上成冊
■…■鄕校田畓賭租捧上成冊
■…■
■…■二石六斗 時奴戒孫 未捧
■…■三石 時奴完卜 未捧
畓五斗落只租三石 時奴大孫 延從私■
畓五斗落只租三石 時奴昌玉
畓參斗落只租一石十二斗 時奴有卜
畓五斗落只租三石 時奴五昌 預賣
畓四斗落只租二石六斗 時奴云太 齋直
畓三斗落只租一石十二斗 時奴云太 張舊金 預賣
畓三斗落只租一石十二斗 時金東哲 殿直都中
畓三斗落只租一石十二斗 時金戒禮 移耕相搜 金正汝預賣
■…■一石十二斗 時金希哲 永石 捧上
■…■一石 時金云得 捧上
■…■二戔五分 時奴得命 未捧
■…■分 時金龍甲 未捧
■…■ 時朴宗大同哲 捧上
■…■ 時金希哲 捧上
■…■五分 時高聖云 殿直菜 価畓
■…■十一斗租二十九石十二斗
■…■斗錢五兩 田畓合柒拾壹斗落
東面■員
畓五斗落只三石五斗 時奴春伊 放賣■■
內北面挾員山
畓十四斗落只租六石八斗 時奴白山
畓六斗落只租二石 時奴老未
畓五斗落只租二石五斗 時千月卜
畓四斗落只租一石五斗 時奴江牙之 未捧
畓三斗落只租一石六斗 時下月 預賣
田六斗落只租一石三斗 連陳
■…■租十四石 時李板三 三斗落陳 二十七斗落捧
■…■租一石三斗 連陳
■…■十七斗租二十七石九斗
田畓合柒拾參斗落
■…■院員
■…■斗 時奴釜院 捧上
■…■
■…■石五斗 時奴卜丹 十六斗今捧上 在四斗落未捧
■…■一石十三斗 時奴大卜丹 捧上
■…■石五斗 時趙仁介卜丹 未捧
■…■十三斗 時趙仁丹 捧上
畓十斗落只租五石二斗 時 捧上
畓五斗落只租二石五斗 時李龍宮卜丹 未捧
伊川員 畓三斗落只租一石六斗 時奴壬石 預賣
中山員 畓三斗落只租一石六斗 時金牙之
蓮峰亭 畓七斗落只租三石四斗 時朴岳只
斗落 己上畓六十七斗落只租二十八石十四斗
大坪面二冷井員
畓五斗落只租一石五斗 時任夫億
■…■一斗 時奴長等
■…■元員
■…■石五斗 時車日成
■…■石員
■…■十斗 時張老未
■…■石 時權哲安 代奴順龍
■…■石五斗 時奴龍石
■…■三斗 時奴貴札 時奴順龍
■…■二斗 時洪連得
■…■落只租一石十三斗 時張興伊
畓四斗落只租一石十三斗 時張興伊
畓二斗五刀落只租一石八斗 時陸卜男
畓三斗五刀落只租二石二斗 時陸一心
畓二斗五刀落只租一石八斗 時奴重玉陸一每 預賣
畓三斗落只租一石六斗 時尹以五 時奴哲余 預賣
畓三斗落只租一石三斗 時金重石陸一可 預賣
■…■刀落只租一石八斗 時人金重石陸一每 預賣
■…■六分 連陳
■…■六分 時史加雪里
■…■分 時 奴長川 未捧
■…■戔一分 時 捧上
■…■分時 捧上
■…■戔五分 時史条辰 捧上
■…■五分 時朴岳只 未捧
■…■五分 時陸山伊
■…■三斗落只錢七戔五分 時陸一每
垈田三斗落只錢七戔五分 時陸分伊
垈田三斗落只錢七戔五分 時朴岳只
垈田二斗落只錢五戔 時張他官
垈田二斗落只錢五戔 時史条辰
垈田一斗落只錢二戔五分 時李驗伊
垈田三斗落只錢六戔三分 時崔洛東
垈田二斗落只錢五戔 時金北宲
■…■斗落錢十兩四戔四分
■…■五刀落租三十一石一斗
田畓合壹百參拾
■…■員
■…■斗 時孫萬千
■…■耕条給■…■
■…■ 時孫萬千
■…■五斗 時黃石 辛酉春推尋
■…■四石九斗 時孫萬千
■…■ 時金牙只
畓三斗落只租九斗 時朴比安
田十二斗落只租二石三斗 時孫萬千
己上田十二斗落只租二石六斗
肆拾壹斗落
畓三十九斗落只租九石四斗
田畓合伍拾參斗落
都己上 肆百貳斗伍刀落
田一百六斗落只內
六斗落內北田連陳
六斗落■■田連陳
■…■賭錢十五兩四戔四分
■…■只賭租一百三十九石十斗內
■…■六斗落只連陳滅
■…■石七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