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계묘년(癸卯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진상태수윤회정간(進上胎水輪回井間)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0000.4723-20150630.Y1510416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수세문서
내용분류: 경제-세금-진상단자
작성주체 영천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형태사항 크기: 40 X 23
수량: 4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계묘년(癸卯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진상태수윤회정간(進上胎水輪回井間)
조선후기 계묘년(癸卯年) 7월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에서 작성한 정간(井間)이다. 정간은 세금을 납부하거나 거두어들이는 일정한 양식이나 기준이 되는 장부를 뜻한다. 본 자료에서는 조선후기 영천군이 임금에게 태수(胎水)를 진상(進上)하기 위해 거두어들여야 하는 태수가(胎水價)의 기준이 기재되어 있다. 원래 진상품은 현물로 납부해야 하지만 고을의 사정에 따라 본 자료에서처럼 금납(金納)을 통해 마련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던 것이다. 정간에는 영천군 관내 17개 방리(坊里)가 납부해야 할 태수가(胎水價)가 기재되어 있는데, 배정된 태수가(胎水價)는 각 방리의 규모와 사정에 따라 일정 부분 차이가 난다.
『永川郡邑誌』, 1899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조선후기 癸卯年 慶尙道 永川郡이 胎水를 임금에게 進上할 때, 돌아가면서 관내 각 坊里로부터 거두어들이는 稅額을 기록한 井間
癸卯七月日改案
자료의 내용
조선후기 癸卯年 7월 慶尙道 永川郡에서 改案한 井間이다. 해당 井間에는 임금에게 胎水를 進上하기 위해 관내 각 坊里별로 돌아가면서 거두어들일 稅額을 기재해 놓았다. 표제는 「癸卯七月日改案 進上胎水輪回井間」인데, 자료 하단부의 결락이 심한 편이다. 가장 서두에는 胎水를 용량에 따라 1合에 3냥, 1夕에 3전으로 하는 折價式을 기재해 놓았다. 즉 영천군에서 胎水의 진상은 현물이 아니라 각 民戶의 金納으로 이루어졌던 것이다.
이어 관내 17개 坊里별로 배정된 胎水價를 기재해 놓았는데, 각 방리는 납부하는 세액에 따라 大里·中里·小里로 구분되어 있다. 방리의 규모와 사정을 감안하여 세액이 배정되었던 것이다. 이중 大里로 구분된 방리는 일곱 곳으로, 毛沙洞·蒼水는 1合 5夕으로 4냥 5전式, 還歸는 1合 4夕으로 4냥 2전式, 仇里內·古村·北習은 1合 1夕으로 3냥 3전式, 追谷은 1合으로 3냥式을 배정하였다. 中里도 일곱 방리가 해당되는데 七百이 9夕으로 2냥 7전式, 元堂·比召谷·原谷·乂谷·巨餘·山底가 8夕으로 2냥 4전式을 배정해 놓았다. 小里로 구분된 방리는 세 곳으로 古見·迲林이 6夕으로 1냥 8전式, 阿川이 5夕으로 1냥 5전式이다. 정리된 井間 아래에는 계묘년 이후 胎水를 진상해야 할 때마다 胎水價를 거두어들인 시기가 부기되어 있다. 이는 본 정간을 바탕으로 胎水價를 거둘 때마다 추가·부기한 것으로 생각된다. 표제에 ‘輪回’라고 명기되어 있듯이 胎水價는 일괄적으로 거둔 것이 아니라, 순차와 방리의 사정을 감안하여 수 개의 방리가 진상 시기의 胎水價를 납부했던 것이다. 그러나 자료 하단부의 훼손이 심해 胎水價 징수의 시기와 추이는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조세 운영의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大同法 실시 이후에도 각 고을마다 부담해야 할 현물 진상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胎水는 조선후기 영천군이 부담해야 할 진상 물목 중 하나였던 것이다. 본 자료를 통해 영천군에서의 胎水價 납부는 각 방리의 규모와 사정을 감안해 배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조선후기 면리제 정착 이후 나타난 일반적인 부세 방식이었다. 그런데 현재까지 전해지는 영천군의 각종 邑誌類에는 진상 또는 進貢 물목으로 胎水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이웃 고을인 新寧縣에 胎水가 배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와 연관하여 살펴볼 필요는 있다.
『永川郡邑誌』, 1899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癸卯七月日改案進上胎水輪回井間

價則壹合價錢文參兩式
壹夕價參?式
癸卯七月日進上胎水輪回井間
仇里內大里壹合壹石價參兩參?【戊午七月壹▣所】【乙巳七月▣抄▣▣】【戊申正月二十二日抄】
還歸大里壹合肆夕價肆兩貳?【乙卯二月抄所▣▣▣】【丁未▣日抄▣▣】【戊申八月抄八日內▣▣抄三人▣】
追谷大里壹合價參兩【戊午七月▣抄▣】【丙▣正月▣抄▣▣】
古村大里壹合壹夕價參兩參?【壹夕■■■】【▣▣夕】

元堂中里捌夕價貳兩肆?【丙辰四月二日▣▣】
比召谷中里捌夕價貳兩肆?【壬▣二月十一日抄】【丁未五月初六日內▣▣▣▣】【▣…▣】
阿川小里五夕價壹兩伍?【甲辰正月日抄】【■…■】
原谷中里捌夕價貳兩肆?【■…■】
乂谷中里捌夕價貳兩肆?
毛沙洞大里壹合伍夕價肆兩伍?內【▣…▣二夕在甲辰七月日抄】【丙午二月▣…▣】【己酉七月二日▣▣▣】
蒼水大里壹合壹夕價參兩參?內【▣▣位夕】【八夕在三夕】【癸丑二月十三日抄】【己酉七月卄一日▣▣抄】
七百中里玖夕價貳兩柒?【乙巳正月日別卜定抄】【庚戌正月三十日抄】【丁未八月抄三日抄】
巨餘中里捌夕價貳兩肆?【戊午七月日抄所】
北習大里壹合壹夕價參兩參?
山底中里捌夕價貳兩肆?【內三夕在】內【四夕在四夕】【乙巳七月日抄】
古見小里陸夕價壹兩捌?【▣…▣】【進上別卜定▣▣七月十四日抄】
迲林小里陸夕價壹兩捌?內【伍夕在壹夕】【進上別卜定庚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