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갑술(甲戌)년 선산향교(善山鄕校) 문과안(文科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G.0000.4719-20150630.Y1532605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선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형태사항 크기: 37 X 26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구미 선산향교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구미 선산향교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리

안내정보

갑술년에 〈사마록〉과 함께 성책된 선산향교 소장 〈문과안〉으로 고려 말엽 이래 문과 급제자를 수록한 문서이다. 고려조의 김주길재를 필두로 조선조의 하위지부터 19세기 초반 박철손까지 총 117명의 문과합격자를 기록한 것으로 이들의 자와 생년의 간지, 그리고 급제한 해의 간지, 문과 시험의 종류, 최종 벼슬과 본관 및 가족관계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19세기 文科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54, 박현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1.
「조선시대 문과 중시 급제자 연구」, 『역사와 실학』39, 원창애, 역사실학회, 2009.
「조선조 '주요성관' 문과급제자 성관분석-문과방목을 중심으로-」, 『사학연구』73, 이원명, 한국사학회, 2004.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갑술(甲戌)년 선산향교(善山鄕校) 문과안(文科案)
자료의 내용
갑술년에 〈司馬錄〉과 함께 성책된 선산향교 소장 〈文科案〉으로 고려 말엽 이래 문과 급제자를 수록한 문서이다. 前朝 金澍吉再를 필두로 本朝 河緯地부터 朴哲孫까지 총 117명의 문과합격자를 기록한 것으로 이들의 字와 생년의 干支, 그리고 급제한 해의 干支, 문과 시험의 종류, 최종 벼슬과 本貫 및 가족관계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조선은 유교 이념에 기초한 學行과 실무 능력을 갖춘 고급 관료를 선발할 목적으로 文科를 실시하였다. 문과는 개인의 능력을 기초로 중앙정치권력과 사회지배층을 확대, 재생산하는 시험제도였다. 경쟁을 표방한 문과는 공정하게 개인의 재능을 평가하여 인재를 선발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였다. 따라서 시험의 전 과정에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를 도입하였다. 채점 과정에서 인적 사항을 봉함하는 封彌法과 인적 사항과 답안을 분리하는 割封法, 필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답안을 朱草하는 易書法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외에도 응시자가 준비하는 試紙의 지질과 규격, 內打印을 통한 답안의 중간 점검 등 그 세부적인 제도는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엄밀하게 구비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제도적 장치들이 있었기 때문에 조선시대 내내 과거가 고급 관료를 충원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었을 것이다.
조선시대 문과는 3년에 한차례씩 시행되는 식년시와 국가의 경사를 기념하며 비정기적으로 시행되는 增廣試, 別試, 庭試 등의 慶科, 국왕의 문묘 전알을 기념하는 謁聖試, 문신 重試의 對擧로 시행된 重試對擧別試, 특정 지방을 대상으로 하는 外方別試 등 그 종류가 다양하였다. 하지만 이를 대별하면 정기시인 式年試와 국가의 경사를 기념하여 비정기적으로 시행하는 慶科, 특정인이나 특정 지방을 대상으로 하는 기타과로 나눌 수 있다.
조선 초기 문과는 식년시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經國大典』에도 식년시 규정만이 실려 있다. 그러나 세조대 이후 경과 시행이 늘어나 17세기부터는 식년시보다 경과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리하여 『續大典』에는 증과시, 별시, 정시, 알성시, 춘당대시 등 다양한 종류의 시험이 수록되어 있다. 식년시 문과는 경학과 제술을 겸비한 인재를 선발한다는 이상에 따라 고려시대에 비하여 경학의 비중을 높였다. 제도적으로는 회시에서 초장은 講經, 중장과 종장은 詞章을 시험하여 3場의 성적을 합산하는 채점방식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과목의 배치와 채점방식은 국가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제시하는 것으로 교육의 내용을 지배하였다. 그러나 식년시 이외에 증과시, 별시, 알성시, 정시 등 사장의 제술로만 치르는 시험이 늘어나면서 문과 시험에서 경학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기도 하였다.
경과는 국가의 경사를 백성들과 함께 누린다는 ‘同慶’을 명분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국왕이나 집권 세력의 인사 수요나 민심 수습의 필요성과 같은 정치적인 이유가 내재되어 있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정치적인 속성 때문에 政變, 戰亂, 換局 등 정치적인 변동이 있는 경우 경과가 더욱 자주 설행되었으며 선발 인원도 늘어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문서에는 총 117명의 문과급제자의 인명과 字號, 출생연도를 간지로 표기하였으며, 문과에 급제한 연도의 간지와 문서가 작성될 그들의 최종관직을 병기하고 있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특히 당대에 있어서도 金澍, 吉再, 河緯地 등 명망있던 인물에 관해서는 입향된 서원, 대표적인 사건 등 조금 더 구체적인 인적사항 들을 부기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과안에 등재되어 있는 그들의 후손들과의 혈연관계들도 병기하고 있다. 문과안 등재형식에 있어서 인물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본 문서에는 인물을 중심으로 한 인명부의 형식을 취하고 있어 부기사항이 생략되었거나 인명만을 기록한 경우 어떠한 사정이 반영되었는지를 명확하게 알 수 없다. 총원 중 문과에 합격한 연도와 과거의 종류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인원은 총 89명이고, 그렇지 않은 인원은 28명이다. 87명을 과시의 종류 별로 분류하면 식년시 46명, 증광시 17명, 별시 12명, 정시 6명, 알성시 2명, 중시 2명, 세종대 親試 3명, 무과에서 將薦된 1명 등이고, 과시의 시행연도별로 구별하면 고려조의 3명을 비롯하여 조선 초의 14세기 후반에 2명, 15세기 30명, 16세기와 17세기에 15명씩, 18세기 18명, 19세기 5명 등이다.
자료적 가치
작성연대가 명확하지 않지만 고려조 후반부터 조선조 19세기 초반까지 선산지역의 문과급제자 117명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문과안으로 선산지역의 과거를 통한 중앙정계로 진출하는 인물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19세기 文科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54, 박현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1.
「조선시대 문과 중시 급제자 연구」, 『역사와 실학』39, 원창애, 역사실학회, 2009.
「조선조 '주요성관' 문과급제자 성관분석-문과방목을 중심으로-」, 『사학연구』73, 이원명, 한국사학회, 2004.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前朝文科
金澍禮曹判書 號籠岩 臨江寄朝服 入享月岩書院
吉再注書 號冶隱 種竹 御賜田 謚忠節公 入享金烏書院
本朝文科
河緯地 壯元 官司諫 號丹溪 入享月岩書院 參死六臣
李孟專 丁未正言 號耕隱 入享月岩書院 參生六臣
金淑滋 己亥司藝 號江湖 入享洛峯書院
金宗直 己卯刑曹判書 號?畢齋 入享金烏書院
鄭鵬 壬子校理 號新堂 與畢齋同享
尹珍 官至大匡 號謚文平公
金洙 官至開城尹 號松亭
金漢忠
金孝貞 官至觀察使 宣弓之後
張贇
金峙 官至府使
田可植 己卯壯元 官至禮曹判書領議政
兪勉 乙酉壯元
鄭招 乙酉
朴瑞生 官至府使
鄭之澹 丁酉壯元
河澹 壬午
吳湜 官至判書
盧浩 己亥
金從理 官至提學
金克柔
金允德
河綱地 己酉 丹溪先生之兄
河紀地 戊午 丹溪先生弟
金壽貞監察
金堪
朴好問 將薦 官至北兵使 死於李澄玉之亂 謚貞武公
金宗碩 丙子
金地 官至左贊成
金之慶 官至大司憲 謚敬質公
金成慶 官至獻納
康?
崔水智 癸酉
李叔專 耕隱先生之厚弟
李季專 耕隱先生之厚弟 官至參判 謚恭禧公
朴斯悌
尹壕 成廟國舅 右議政
金漢生
金安生 丙午 判書孝貞子 官至修撰
金京生
朴孝元 大憲 瑞生之孫 官至司諫
金長訥
金甲訥
康伯珍 丁酉
康仲珍 乙卯 伯珍弟
金瑄 官至府院君
金應箕 成化丁酉 官至左議政 謚文戴公 之慶之子 籠岩玄孫
黃璘 成化丁酉 官至牧使
黃瑋 官至校理
黃? 官至東京尹
金振宗 戊子 官至應敎 號新齋
金振祖 庚午 官至司成
金珣 嘉靖丁酉 官至兵曹正郞
丁遍 正德庚午 官至大司諫
金就文 嘉靖丁酉別試 官至大司諫 號久庵 入享洛峯書院
裵淑綺 庚子別試 官至弘文著作以至孝旌閭 在冶隱旌閭側
朴大仁
崔應龍 丙午式年壯元 官至參判 號松亭
吉謙 戊申別試 官至縣監
宋鉉 丙午式年 官至正■
高應陟 嘉靖辛酉式年 官至司藝 號翠屛 入享洛峯書院
吉誨 萬曆丁丑謁聖 官至掌令
高翰雲 萬曆乙酉式年壯元 官至縣監 應陟子
崔山立 萬曆辛卯式年 官至縣監
盧景任 萬曆辛卯別試 官至校理 號敬庵
崔晛 萬曆丙午增廣 官至大司諫 號認齋
金天英 萬曆庚戌式年 官至學諭
金寧 萬曆壬子增廣 官至縣監司成 號遯峯
金揚善 萬曆丙辰增廣 官至都事
朴守弘 萬曆戊午增廣 官至慶州府尹 號蓬谷
李尙逸 崇禎庚午式年 官至監司 號蹄樂堂 平靖公李約東之後孫
金厦樑 崇禎癸酉式年 官至工曹參議
張汝衍 崇禎乙亥增廣 官至縣監
朴增輝 戊子式年 官至司諫 守弘孫
李東溟 壬辰增廣 官至承旨
李馥 甲午式年
金厦挺 庚子增廣 官至掌令
權震翰 癸卯式年壯元 官至正言
金元燮 癸丑別試 官至大司諫 厦樑子
金壽聃 丁卯式 官至縣監
朴準世 壬午式 官至■■
朴鳳齡 己卯 官至禮曹參判 曾輝孫
李壽海 乙巳增廣 官至吏曹佐郞 東溟曾孫
朴春普 丁巳菊製丙寅重試 官至大司諫 鳳齡■■
崔? 甲子式 官至典籍 晛後孫
鄭志復 甲子 官至■■■
李德海 乙丑 壽海弟
李鳳翼 庚午
金夢華 甲戌增廣 ■…■
崔光璧 己卯式 壽仁子
鄭宅東 辛卯式 官正言
嚴思憲 辛卯廷試
李益洙 癸巳 官至刑曹參議
朴天衡
朴天行司諫
金振久佐郞
姜?府使
金驥燦正言
沈能燮 庚戌謁聖 官至別僉同副承旨 父祐之
姜時煥 己酉式 父?
金尙元 庚申廷試 父應龍
沈能? 辛酉增廣 官兵曹參議
金聲振 辛酉廷試
李綱峻 廷試 官承旨
沈宜聞 己酉校理
金就精 司馬登第 官至正郞
文以仁
文以義
文以禮
文以智
文以信
朴信生 官至參判
宋希奎 重試 官至臺侍 號冶溪
河潤 官至正言
朴哲孫 好問之子 官至府使
癸亥更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