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기해년(己亥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풍헌소전장기(風憲所傳掌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XC.0000.4723-20150630.Y1510414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해유문서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해유문서
작성주체 영천군 풍헌소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형태사항 크기: 31 X 20.5
수량: 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기해년(己亥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풍헌소전장기(風憲所傳掌記)
조선후기 기해년(己亥年)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의 풍헌소(風憲所)에서 작성한 전장기(傳掌記)다. 풍헌소는 영천군에서 풍속의 교화를 담당하는 향촌자치기구로, 향약 시행을 주관하였다. 현재 영천향교(永川鄕校)에는 영천군에서 시행된 향약 관련 자료가 전해진다. 이에 따르면 늦어도 17세기 전반에는 영천군에서 고을 단위의 향약이 시행되고 있었음을 확인 확 수 있다. 전장기는 일종의 인수인계 문서인데, 본 자료는 풍헌소의 임원인 약임(約任) 교체 후, 풍헌소 소장 서책과 문서를 확인·점검한 후 작성한 것이다. 이때 확인한 풍헌소 소장 자료로는 「향약규(鄕約規)」, 「선적(善籍)」, 「악적(惡籍)」, 「향약안(鄕約案)」, 「향약홀례기(鄕約忽禮記)」, 「향약독법초(鄕約讀法草)」, 「향중완의(鄕中完議)」, 「향록(鄕錄)」이 있으며, 그 외 소송 및 죄목을 적발하면서 작성한 각종 서목(書目), 소지(所志), 하첩(下帖) 등이 있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朝鮮時代 鄕約硏究」, 申正熙,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조선후기 己亥年 1월 4일 慶尙道 永川郡의 風憲所 約任을 교체하면서 소장 서책과 문서를 확인한 후 작성한 인수인계서
자료의 내용
조선후기 己亥年 1월 4일 慶尙道 永川郡의 風憲所에서 작성한 傳掌記다. 풍헌소는 영천군에서 향약을 시행하며 향촌 교화를 담당하던 기구였다.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永川鄕校 소장 문서에 따르면 늦어도 17세기 전반에는 고을 단위의 향약기구가 운영되었음이 확인된다. 본 자료에는 풍헌소의 約任이 교체되면서 인수인계를 확인한 풍헌소 소장 서책과 문서 제목이 기재되어 있다.
먼저 자료 서두에는 전장기 작성의 의의와 당부를 간략히 언급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향약의 시행의 유래가 오래되었는데, 특히 善한 행적이 있는 자는 기록에 남겨 櫃 속에 보관하는 전통이 있으니, 이는 매우 중대한 일이라고 하였다. 이에 이번 약임이 교체 될 때 소장하고 있는 서책과 문서를 확인하고, 이것을 말미에 나열해 놓으니, 앞으로 인수인계를 확실히 하는 전통을 폐지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어서 전장기에 기록된 인수인계 자료로는 「鄕約規」, 「善籍」, 「惡籍」, 「鄕約案」, 「鄕約忽禮記」, 「鄕約讀法草」, 「鄕中完議」, 「鄕錄」이 있으며, 그 외 소송 및 죄목을 적발하면서 작성한 각종 書目, 所志, 下帖 등이 확인된다. 자료 말미에는 己亥年 정월 초4일 약임인 直月 徐가 전장기를 작성·확인한 후 기입한 署押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약 운영의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현재 영천향교에 전해지는 자료에 따르면 경상도 영천군에서는 늦어도 17세기 초반에 고을 단위의 향약이 시행되고, 약임으로 都約正·副約正·直月이 있으며, 각 면리에 임명되는 約正과 有司가 두어졌음이 확인된다. 특히 전장기의 확인자인 직월은 향약 운영의 실무를 담당하는 약임이었다. 본 자료를 통해 영천군에서는 향약을 풍헌소가 담당했음을 알 수 있는데, 비록 구체적인 운영 실태를 알 수 없지만 전장기에 수록된 문서의 명칭을 통해 고을에서의 역할을 추정할 수 있다. 「향록」은 풍헌소 구성원의 명부로 영천군의 유력한 재지사족이 입록되었을 것이다. 「향약규」는 풍헌소의 운영 규정일 것이며, 「선적」과 「악적」은 고을에서 풍헌소가 인물 褒貶의 기능이 있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서목, 소지, 하첩 등은 褒貶과 관련해 풍헌소가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문서로 추정된다. 즉 풍헌소는 향약을 명분으로 운영되는 영천군의 향촌자치기구로, 재지사족들은 이러한 풍헌소를 매개로 자신들 주도의 향촌지배질서를 강화해 나갔던 것이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朝鮮時代 鄕約硏究」, 申正熙,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亥正月四日造
風憲所傳掌記
▣▣▣之設厥惟久哉善者書之
▣▣書之冊藏之于櫃則其爲
▣▣▣重且大矣而只欠約任
▣▣▣文書傳授之規■以
▣今古事雖存不傳無徵玆
▣▣議▣于所藏序列如左後
▣▣今者勿以人廢之則千萬
幸甚
鄕約規一卷
善籍一卷
惡一卷
鄕約案一卷
鄕約禮笏記一卷
鄕約讀法草一卷

鄕中完議四張
鄕校通文一張
善籍立章三張
郭▣罪目書目一張
崔友爽成罪文報草一張
寺奴丘音介父子相訟所志帖連一張
官吏李震英罪目書目一張
人吏等狀一張
私?革罷官下帖一張
還悌應山罪伏本里約正文狀
鄕錄一卷
座首薦一張
筆墨各一
己亥正月初四日直月徐[署押]
鎖鐵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