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북도(慶尙北道) 신녕군(新寧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896년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1896.4723-20150630.Y151050207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896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북도(慶尙北道) 신녕군(新寧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896년 기록
경상북도(慶尙北道) 신녕군(新寧郡)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의 1896년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는 1895년의 을미왜변(乙未倭變)으로 의진(義陣)에서 신녕향교로 격문(檄文)을 보냈다는 사실과 명성황후(明成皇后)의 국상(國喪)으로 1896년 향례(享禮)가 거행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해에 관문(關文)의 지시에 따라 신녕향교에서 강학(講學)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北道 新寧郡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896년의 檄文 수급, 享禮 闕禮, 講學 실시 기록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北道 新寧郡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896년의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1895년 12월 安東義陣에서 激文이 수차례 來到하였고, 義城에서도 격문이 이어서 왔다. 병사들이 橫路에 있으면 騷擾가 심할 것 같아 머뭇거렸을 뿐이다. 1896년 春享은 中殿, 즉 明成皇后의 國喪 중이어서 闕禮하였다. 典祀廳의 窓戶 한 쌍과 西齋 한 쪽, 大成殿의 三門 한 片, 外三門의 기와, 대성전의 風遮를 보수하였다. 공사는 6월 20일 시작해서 7월 초3일까지 진행되었다. 그 사이 所費된 비용은 70여 냥에 이르렀다. 春享을 거행하지 않아, 향교에 남는 돈이 있어서 그것을 당겨 쓴 것이다. 秋享은 祭物과 준비할 각 항목이 마련되었고, 이미 執事分定을 끝내 제의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入齋하는 날 因山 전에는 제의를 거행하지 말라는 關文이 갑자기 내려와, 졸지에 秋享이 정지되고 말았다. 이렇게 되니 준비해 놓은 脯와 魚?은 비록 제의를 거행하지 않더라도, 부득이 나누어 쓸 수밖에 없었다. 6월, 各邑에 勸講하라는 關文이 내려왔다. 이에 8월 16~17일 양일에 걸쳐 新寧縣監 吳仁燮신녕향교에서 講會를 개최하였다. 1896년 12월 당시, 신녕향교 都有司는 金相瑩, 掌議는 權錫杓曹秉五가 맡고 있었다.
자료적 가치
乙未倭變과 의병전쟁 등 조선말기 어수선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향교가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乙未十二月日安東義陣激文數次來到枝中義城檄文亦爲繼
至而兵隊橫路似甚騷擾矣仍爲沁泄而已也丙申春享則以
中殿國哀未葬前闕禮焉
殿祀窓戶一雙與西齋一邊殿三門一片外三門?瓦聖殿風
遮之役始於六月二十日訖功於七月初三日其間所費至爲七十
餘兩也以春享之闕校宮臥錢▣條引用耳秋享則祭
物與各項措備已成爬任齋員亦爲團會而及其入齊之日又
以因山前未行祀關文猝地故停止事極良貝脯與魚?雖
未行祀事到此境不得已如例分用耳六月日自各邑勸講關
文?有調飭而八月十六七兩日主?吳仁燮始設講會于?
堂歡樂已極亦足爲玆鄕誌勝會矣

丙申十二月日都有司金相瑩
掌議權錫杓
曹秉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