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877년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1877.4723-20150630.Y151050206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877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877년 기록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의 1877년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1877년 기록에는 신홍래(申鴻來)의 기부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지난 1876년의 큰 흉년으로 전답 소출이 적어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는데, 마침 고을의 사인(士人) 신홍래가 200냥의 돈과 40두락(斗落)의 전답(田畓)을 신녕향교에 기부했다고 한다. 이에 향교 측에서는 공의(公議)를 거쳐 신홍래를 교임(校任)인 장의(掌議)에 임명하였다. 기부를 통한 교임 임명은 사회적 지위 상승을 도모하는 세력과 열악한 재정을 확충하려는 향교의 이해관계가 얽혀 나타난 현상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877년 士人 申鴻來의 기부 기록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877년의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慶尙北道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지난 1876년 큰 흉년으로 如干한 향교 전답의 所出 수입이 없었다. 가을에 校債 200餘金을 區劃해야 되나, 방법이 없어 여러 차례 鄕會에서 간절함을 밝혔다. 그런 가운데 本邑의 士人 申鴻來가 돈 200金을 기부하였다. 이에 公議에 따라 신홍래를 掌議에 特望했다. 그럼에도 향교의 형편이 좋아지지 않자, 이번에는 40斗落의 전답을 기부하였으니, 매우 특별이 일이다. 1877년 3월, 신녕향교 교장은 權大秉, 掌議는 曹錫龜·韓容祐, 그리고 기부자인 신홍래가 맡고 있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 운영의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일반적으로 校任 중 掌議는 지역에서 문벌이 좋고 학식이 뛰어난 인물이 임명되었었다. 그러나 본 사례처럼 기부를 통해 교임에 임명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고왕록』에는 신홍래 이외에도, 기부를 통해 교임을 맡는 사례가 확인되는데, 이는 교임을 맡음으로서 사회적 지위 상승을 도모하는 세력과 열악한 재정을 확충하려는 향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서 나타난 현상으로 생각된다. 신홍래의 사회적 지위를 정확히 확인 할 수 없지만, 본 『고왕록』에 수록된 재임 가운데 신홍래 이전 申氏가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보아, 사회적 지위 상승 도모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歲在丙子大凶如干校畓無一斗秋捧校債二百餘金區劃
無路累次鄕會徒切愁悶矣本邑士人申鴻來出義發力報償
二百金故鄕中別般公議望出掌議行任數月而悶其校勢
又納畓拾肆斗落特異事也
丁丑三月日校長權大秉
掌議曹錫龜
韓容祐
申鴻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