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865년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1865.4723-20150630.Y151050206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865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865년 기록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의 1865년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는 먼저 가뭄으로 인한 기우제(祈雨祭) 거행 사실과 향교 안산(案山)에 투장(偸葬)된 무덤을 적발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어 1865년에 시작된 경복궁(景福宮) 중건(重建)으로 각 고을에 원납전(願納錢)이 배당되었는데, 이때 신녕현에서 6,364냥을 거두었다는 사실과 비바람으로 퇴락한 향교 건물 보수 과정을 기록해 놓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865년의 祈雨祭 거행, 偸葬 적발, 願納錢 징수, 향교 건물 보수 기록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865년의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慶尙北道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1865년 4월 이후, 가랑비만 내리고 점점 가물기에, 閏5월 祈雨祭를 두 차례 올리니 가뭄이 그쳤다. 향교의 案山에 偸葬한 무덤이 있어서, 官家에 고한 후 移掘하였다. 4월, 景福宮 重建이 시작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수백 년간 미처 하지 못했던 일이다. 이에 전국 列邑에서 願納錢을 거두기 시작하였다. 本道에서도 截嚴한 營關이 내려왔으므로, 7월 鄕論이 峻發하여, ?堂에서 齊會를 가졌다. 이에 각 문중에 458냥, 饒戶에게 3,000여냥, 中村에 800여냥을 할당해, 都合 6,364냥을 거두었으며, 관에서는 色吏를 정해 輸上하였다. 7월 21일 밤, 비바람이 거세게 몰아쳐 나무를 부러뜨리고 집을 휘둘러 뽑았으며, 들녘의 벼도 모두 쓰러졌으나, 추수할 때 이르러서는 風損이 드물었다. 大成殿의 東?의 기와 7~8片이 飄落한 까닭에 보수하였다. 西齋廳이 頹落하였고, 外三門이 기운 까닭에, 鄕論을 모아 역시 보수하였다. 이때 別辦錢 10냥을 推尋하였으나 보수비용으로는 부족하였다. 그래서 官에 稟告하였고, 盧英漢이 낸 10냥으로 보수비용을 충당하였다. 당시 新寧縣監尹稷儀였으며, 都有司는 權致淵, 齋任은 金璡聲權鳳鉉이 맡고 있었다. 한편, 자료 말미에는 幼學 曹逵承·曹秉秀·李宗?·金錫運·張晋奎·曹逵承·金錫運·張晋奎·曹逵承·權驥鉉·李炳璉·李錫璉·李浩璉의 각종 과거 시험 응시 사실과 급제자의 관직 제수 이력이 기록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1865景福宮 중건이 시작되자, 부족한 비용을 원납전으로 충당하였는데, 신녕현의 경우 齊會를 향교에서 개최하여 징수 액수를 배정하였음이 주목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乙丑夏四月以後小雨漸旱至閏五月始行祈雨祭至再巡而止
校宮案山有偸?故告官掘移
四月日景福宮重建我國家數百年未遑之事也八域列邑各自願納而本
道在諸道之後營關截嚴泮通繼至故七月日鄕論峻發齊會?堂自
各門中分排排錢四百五十八兩饒戶錢三千餘兩中村錢八百餘兩都合錢六千
三百六十四兩自官定色吏輸上風化所學以示庶民子來之意也
七月二十一日夜風雨大作折木拔屋野禾盡偃而及其秋成少有風損云
聖殿東?邊瓦飄落七八片故仍卽補葺
西齋廳頹落外三門傾側故因鄕論重葺而以申別辦留置錢十兩推尋有
不足之憂故此意稟告于官以盧英漢錢十兩調用焉
主?尹稷儀
都有司權致淵
齋任金璡聲
權鳳鉉

幼學曹逵承庚申式科東堂
幼學曹秉秀癸亥覆試壯元
幼學李宗?甲子式科初場
幼學金錫運丙寅監試初場
幼學張晋奎參監試終場
幼學曹逵承參式科東堂
幼學金錫運丁卯進士
幼學張晋奎參同榜生員甲申文兼
幼學曹逵承參式科講經及第辛未省峴察訪丙子正言
幼學權驥鉉丁卯節製初試壬寅恩賜壽除吏曹參判
幼學李炳璉丙午式監試
幼學李錫璉
幼學李浩璉同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