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82년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1782.4723-20150630.Y151050204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782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82년 기록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의 1782년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는 1782년, 신녕현 유생(儒生)들의 청원으로 도회(都會) 장소가 안동(安東)에서 경주(慶州)로 이속(移屬)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외방(外方)의 향교에서는 매 철마다 생도(生徒)들을 모아 시문(詩文)과 제술(製述)을 시험 쳤으며, 합격자는 생원(生員)·진사시(進士試) 응시 자격을 부여하였었다. 이를 공도회(公都會)라 했으며, 그 장소가 도회소(都會所)였다. 종전까지 신녕현의 유생들은 200리 떨어진 안동 도회소에서 공도회를 응시하였었다. 이에 신녕현 유생들은 1782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에게, 100리 정도 가까운 경주로의 도회 이속을 청원하였고, 허락을 받았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782년 新寧縣 儒生의 都會 移屬 청원 기록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782년의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慶尙北道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는 1782년에 있었던 都會 移屬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1781년 가을, 신녕현의 鄕儒 曹憲稷·曹近稷·安敬一 등이 新寧縣監에게 慶州로의 都會 이속을 청원하였었다. 公都會 때 신녕현의 유생들은 200리나 떨어진 安東이 아니라, 100리 정도 가까운 경주에 赴擧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안동 보다 가까운 경주로 도회 장소를 바꾸어달라는 청원이었으나, 이때는 신녕현감의 題音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1782년 가을, 이번에는 조헌직·曹默敬 등이 慶尙道觀察使가 ?邑한 날에 맞추어, 이속을 재차 청원하였던 것이다. 이에 경상도관찰사경주로의 都會 이속을 허락하였다. 이때 경상도관찰사가 내린 題音에 따르면, 전례를 考據할 자료가 없어서 이속 결성이 지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전에 청원을 듣고 신녕현감이 이속의 虛實을 살필 전례를 찾아보았으나, 해당 사실을 입증할 文券을 확인하지 못했었다. 이때 인근 河陽縣에서 온 옛 通文에, 경주로 도회를 이속한 하양현의 사례가 언급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해당 문서는 하양현의 老儒들이 자신의 집에 소장하는 바람에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것이다. 정확한 문서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통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상도관찰사경주로의 도회 이속을 허락하게 되었으며, 1782년부터 적용할 것을 지시하였다. 당시 신녕현감趙器鎭, 신녕향교 都有司는 曹相玉, 掌議는 安國弼·楊大源이 맡고 있었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 유생의 과거 응시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本縣距安東將近二百里而距慶州不過百里故公都會赴擧儒生徒近觀光於慶州則?
貢輒至故願以移屬慶州之意鄕仗曹憲稷曹近稷安敬一辛丑秋呈訴本官而未
果得題矣壬寅曹憲稷曹?敬等又爲呈狀於巡使?邑之日則題音內自本官考
據論報云云故主?欲考據隣邑移屬虛實而無可考處自校中通文于河陽而隣
其邑移屬慶州之實迹文書則許?答通內事係遠允鄙鄕老儒間有知其事實▣按
中文券一一取考則無有記者此女其時鄕儒呈訴移屬之後文書留置其家而不使▣▣中
致也豈勝旣然哉云云故本官據此以報則營題內一依河陽例移屬慶州而自▣▣故
擧營題公文以送云云本官依營題施行而都目修送慶州者自壬寅始▣…
主?上同都有司上同掌儀安國弼楊大源齋有司▣…
本縣都會移屬慶州後鄕自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