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73년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1773.4723-20150630.Y151050203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773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73년 기록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의 1773년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는 1773년에 있었던 신녕향교의 거접(居接)과 건물 보수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먼저 1773년 정월, 관 주도로 시험을 치렀고, 성적이 우수한 자 14인을 뽑아 향교에서 거접(居接)했다고 한다. 거접은 향교나 서당에서 일정 기간 머물며 공부를 하는 것인데, 당시 거접 비용은 관에서 지원하였다. 이어 8월에는 퇴락한 신문(神門), 대성전(大成殿) 담장, 대문을 보수했다. 이때 관에서 보수에 쓰이는 기와를 지원해 주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773년의 居接과 건물 보수 기록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773년의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慶尙北道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1773년의 기록은 대략 다음과 같다. 1773년 정월, 官에서 旬題를 거행하였고, 우수한 자 14인을 뽑아 신녕향교에서 居接케 하였다. 需米·紙束·饌物 등 20일 동안의 居接 비용은 관에서 내려주었다. 관내 향교와 서원에서도 쌀 1石을 내었으며, 鄕廳 또한 쌀 1석을 보탰다. 당시 新寧縣監金恕行이었다. 8월에는 神門에 비가 새고, 大成殿의 담장이 파손된 까닭에, 관에 청해 기와를 지원받아 보수하였다. 이때 신녕현감김서행이었으며, 齋任은 楊慶培·權海運·鄭夢弼·曹翰國이 맡고 있었다. 또 大門이 기울어 재물을 모아 改修하였는데, 官에 청하여 기와를 지원받았다. 당시 신녕현감趙重瞻이었으며, 齋任은 위와 동일하다. 한편, 자료 서두에는 曹永海曹命海의 監試 응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가 지방 官學을 대표하는 만큼, ‘興學’이라는 명분하에 수령의 관심은 각별하였다. ‘興學’이 수령 考課 대상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이에 ‘興學’에 뜻있는 수령은 향교에서 旬製와 居接을 실시하기도 했던 것이다. 또한 향교에서 건물 보수 공사가 있으면, 官에서 재정 지원을 해주기도 하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幼學曹永海參監試終場癸巳春榜
曹命海參監試終場秋榜

癸巳正月日官出旬題十餘首抄其優等十四人居接于本校
卄餘日而需米一石紙束饌物自官上下校院各出米一石鄕廳
亦出米一石主?上同
八月日神門雨漏廟墻頹破故稟官請瓦百許以爲修葺
主?上同齋任楊慶培權海運鄭夢弼曺翰國【名甲敬】
大門?側迫在朝暮鳩財改修請瓦官家以蓋焉
主?趙重瞻齋任上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