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57년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1757.4723-20150630.Y151050203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757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57년 기록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의 1757년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는 먼저 1757년에 있었던 향교 건물 수리 내역이 기록되어 있다. 이때 전사청(典祀廳) 이건, 동·서재(東·西齋) 건물 수리, 명륜당(明倫堂) 기와 수리가 이루어졌다. 같은 해에는 영조(英祖) 왕비 정성왕후(貞聖王后)숙종(肅宗) 왕비 대왕대비(大王大妃) 인원왕후(仁元王后)의 승하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때 사신(使臣)과 수령 및 지역 유림이 참여하여 국상을 치렀다고 한다. 자료 말미에는 9월에 있었던 여단(?壇) 이건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757년 향교 건물 수리, 貞聖王后仁元王后 昇遐, 厲壇 이건 기록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757년의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慶尙北道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는 먼저 1757년에 있었던 신녕향교 건물 수리 이력이 기록되어 있다. 1월, 典祀廳을 殿庭 담장 안 서쪽 가로 이건하였다. 3월에는 頹廢되어 거처가 불가능한 東齋와 西齋를 수리하였는데, 공사는 12월 초6일에 끝났다. 큰 공사가 끝났기에 新寧縣監 李守鎭이 현판에다 사적을 기록하여 걸었으며, 동재와 서재의 扁額도 써서 門楣에다 걸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때가 國喪 중이었기에, 落成宴은 거행하지 못했고, 향교에서 개최한 白日場으로 대신하였다. 또한 훼손되어 비가 새는 명륜당의 기와 보수는 익년 봄에 완성했다고 한다. 당시 신녕향교 齋任은 曹龍天·曹聖稷·楊柱漢·權達祜가 맡고 있었다.
이어 英祖의 왕비인 貞聖王后肅宗의 왕비인 大王大妃 仁元王后의 昇遐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2월 15일 정성왕후가 승하하자, 使臣이 승하를 알리는 關門을 가져왔고, 이에 관원과 유생들은 素服을 착용하였으며, 使臣은 동쪽에, 신녕현감은 서쪽에 入庭해, 俯伏한 뒤 4拜 痛哭했다고 한다. 6일 뒤에 成服하였으며, 그날 새벽 正廳에 香卓을 설치한 후, 사신과 신녕현감 등이 俯伏한 뒤 4拜 痛哭하였다. 국상 중이기 때문에 사대부 등에게 方笠·草笠·平凉子 착용은 금지되었다. 이어 정성왕후에게 내려진 시호와 국왕 이하 문무관료 등의 성복이 끝난 날을 기재해 놓았다. 같은 해 3월 26에는 대왕대비였던 인원왕후가 승하였는데, 성복 절차는 정성왕후와 동일하다. 역시 말미에는 인원왕후에게 내려진 시호와 성복이 끝날 날을 기재하였다.
9월에는 신녕현의 ?壇이 鳴泉洞 大洑上으로 移建되었다. 여단의 이건은 1756년부터 준비하던 것으로, 새 터 占得과 관련해서는 『고왕록』의 1756년 기록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는 교육 기관임과 동시에 官學으로서 향촌 교화를 상징하는 기구였다. 따라서 國喪과 같은 국가적 의례, ?壇 공사 등에 향교의 역할이 적지 않았던 것이다. 또한 향교는 관학인 관계로 지방관의 관심이 각별하였다. 이에 신녕향교의 동재·서재 수리 이후, 직접 신녕현감이 記文과 編額을 작성하였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丁丑正月日移建典祀廳于殿庭墻內西邊
東西齋頹廢不能居處乃營改建募工伐木始役於歲丁丑
月訖功於臘月初六日莫不賀其輪奐之美主?李侯諱守
記其事題于壁且書東西夾齋六字各揭于楣以國恤
不能設落成宴乃設白場於校中以替之倫堂瓦毁雨漏傷損頗
多故又於明春設數反瓦以完之
丁丑二月日齋任曹龍天曹聖稷楊桂漢
齋有司權達祜

丁丑二月十五日
大行王妃徐氏昇遐使臣及外官關文到日以素服入庭【烏紗帽黑角帶】使臣在東外
官在西重行北向?執事者上香使臣外官俯?哭盡哀行四拜聞訃第六
日成服晨設香卓於正廳着齊衰入庭?執事者上香外官使臣俯?哭盡哀
行四拜
大殿王世子公除自二月二十成服計三月初五日滿十五日大王大妃殿及百官
公除自二十日計三月初三日滿十三日各祭自初六日爲始依例擧行
諡號貞聖陵弘陵殿徽寧?禁士夫喪人方笠而着平凉子年少
儒生草笠亦禁焉
三月二十六日
大王大妃殿昇遐哭拜禮節及丞訃後成服日字倂上同
諡號仁元徽號定懿章穆殿孝昭陵仍號明陵

大殿公除自四月初一日成服計同月二十七日滿二十七日王世子公除自初▣▣
十三日滿十三日
丁丑九月日移築?壇於鳴泉洞大洑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