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39년 정문초(呈文草)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1739.4723-20150630.Y151050202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739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39년 정문초(呈文草)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에 수록된 1739년 작성 정문(呈文) 초본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 수록된 정문 초본은 신녕향교 측이 신녕현에 향교 이건을 청원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정문에 따르면 현재의 향교 위치가 협소하여 많은 비가 내리거나 거센 바람이 불면 건물이 크게 훼손된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현재 향교 남쪽 수백 보 거리에 좋은 터가 있다며, 그곳으로의 향교 이건을 위해 신녕현영문(營門)에 재차 청원하여, 이 사안을 영문이 정부에 계문(啓聞)할 수 있도록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739년 呈文草로 신녕향교신녕현에 향교 移建을 청원하는 내용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呈文草로 1739년에 작성된 것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慶尙北道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본 呈文草는 1739신녕향교 측이 신녕현에 향교 移建을 청원하면서 작성한 것이다. 자료에는 작성 연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본 자료 앞에 1739년 한 해 동안 진행된, 향교 이건 논의 기록이 수록되어 있어, 1739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정문에 따르면 신녕향교의 현재 위치가 협소하며 둘러싼 형세가 궁핍하여, 장마를 당하면 진흙탕으로 변한다고 하였다. 또한 강한 바람이 불면 빈번히 주춧돌과 기둥이 흔들리고 한 곳으로 치우치며, 기와와 벽돌이 날리고, 門戶가 훼손되어 닫고 여는 것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大成殿 안의 位版이 희미해지지 않을까 매우 걱정하고 있음을 호소하고 있다. 그래서 생각하건대 현재 위치에 향교를 그대로 두고 보수만 한다면, 다음에 또 비바람이 불었을 때 보수해야 되기 때문에 궁극적인 대비가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에 지금 吉地를 택해 향교를 옮겨 오랜 우환거리를 없애자며, 향교 이건을 건의하고 있다. 여기다 근래 6~7년 사이에 靑松府·淸道郡·比安縣에서 향교를 이건한 사례가 있었다며, 이건의 당위성을 주장해 놓았다. 그러면서 현재의 향교 남쪽 수백 보 떨어진 곳이 지세가 좋아 이건하기 적당한 곳이라고 하였다. 이에 신녕현신녕향교 이건에 대해 營門에 정문하여, 영문이 啓聞을 올릴 수 있도록 청원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자료 말미에는 1740년 幼學 曹世聃의 監試 응시, 1741년 幼學 楊震後와 貢生 河龍彩의 감시 응시 사실을 기재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 官學을 대표하는 교육기관이었다. 비록 향교는 재지사족들 주도로 운영되었으나, 관학이었던 만큼 본 자료에서처럼 향교 운영에 있어 중대한 사안은 지방관의 협조 하에 진행되었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呈文草
伏以本縣校宮占地卑湫且乏拱抱之勢乍當雨?便致泥融
値風?輒被震撞礎柱?側瓦塼飛碎門戶妨於閉開▣▣
腐傷位版粉面常患熹微移還享儀殆無虛歲月▣▣
擧所宜少緩而第伏念仍舊修補則風雨所時至也修補修毁將無
了期今若改卜吉地一番移建則永絶後患學校▣▣▣▣▣

一次移建之未安孰若逐歲請香祝移還安之▣…
校移建自多舊例今考以來前輩文集中▣…
歷歷睹也且以近事言之靑鳧道州屛山等三邑校宮六七年間相
繼移建吾鄕何可獨自難?而不思所以妥安聖靈之道哉
謹就校南數百步之地卜得一區厥土燥剛其勢供楫正合學校
之基一鄕士論不謀而同欲以今年爲移建之計玆敢相率仰?
於崇道興學之下伏乞閤下奉審舊校臨相新址將此衆?丞
營門以爲啓聞之地幸甚
幼學曹世聃參監試終場庚申
幼學楊震後參監試初場辛酉榜【貢生河龍彩參監試初場一等一人辛酉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