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17년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1717.4723-20150630.Y151050201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717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2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1717년 기록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의 1717년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본 기록은 그 중에서도 1717년의 사적이다. 여기서는 1717년 문묘(文廟)에 배향된 김장생(金長生)신녕향교 종향(從享) 사실이 확인된다. 또한 신녕향교에 배향되어 있는 주돈이(周敦?)정호(程顥)의 위판(位版) 글자가 잘못되어 개정(改正)한 사실을 기록해 놓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의 『考往錄』에 수록된 1717년의 金長生 文廟 配享과 位版 改正 기록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1717년의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慶尙北道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에는 1717신녕향교金長生 從享과 位版 改正 사실을 기록해 놓았다. 여기서는 먼저 김장생이 성리학에 沈潛하고 禮學을 闡明한 吾道의 嫡傳임을 기리고 있다. 그래서 文廟에 配享되었고, 우리 향교에서도 길일을 택해 위패를 從享하였는데, 1717년 8월 5일 ‘沙溪金文元公從享時告由祝文’이 작성되었음을 밝혀 놓았다. 당시 新寧縣監姜啓溥, 신녕향교 齋任은 曹德封 외 2명이며, 題板은 曹益封이 담당하였다. 이어 11월 27일에는 周敦?程顥 兩賢의 위판 글자가 잘못되어 개정한 사실이 기재되어 있다. 당시 東?와 西?의 題板은 曹龍翰丁萬齊가 각각 맡은 것으로 나타난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에서 진행된 從享과 位版 개정 사례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曰惟文元吾道嫡傳姿稟純粹踐履篤專沈潛性理闡明禮學
一脈淵源萬代矜式切存斯文禮合祀章旣?聖?爰及外庠涓
玆吉辰將擧縟儀用伸虔告聊薦?危
沙溪金文元公從享時告由祝文【丁酉八月初五日】

儒賢旣配斯道增光禮旣利成薦此芬芳【同月初六日】
主?姜啓溥齋任曹德封曹聖徵丁濟龍
題板曹益封
諸賢位版字多訛誤今將釐改用伸虔告【丁酉十一月二十七日兩賢位版改題】
道國公諱敦字改以惇字預國公預字改以豫字
【東?題板曹龍翰西?題板丁萬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