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경상북도(慶尙北道) 신녕군(新寧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각종 제례 집사료(執事料) 기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7+KSM-WZ.0000.4723-20150630.Y151050207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형태사항 크기: 28 X 19
수량: 3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성리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경상북도(慶尙北道) 신녕군(新寧郡) 신녕향교(新寧鄕校) 『고왕록(考往錄)』 수록 각종 제례 집사료(執事料) 기록
경상북도(慶尙北道) 신녕군(新寧郡) 신녕향교(新寧鄕校)고왕록(考往錄)』에 수록된 각종 제례(祭禮) 때의 집사료(執事料)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 영천군(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기록된 것인데, 1744년 이전 기록은 흩어져 있는 유문(遺文)과 간략한 사적만 정리해서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는 『고왕록』의 가장 말미에 있다. 이전의 『고왕록』 이 신녕향교 사적인 것에 반해, 이 자료에는 성황제(城隍祭)의 발고제(發告祭), 여제(?祭), 석전대제(釋奠大祭) 때 집사들을 접대하기 위해 쓰이는 각종 음식의 수량인 집사료가 기재되어 있다. 즉 『고왕록』과 무관하게 조선후기 어느 시점에 부기된 기록으로 추정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慶尙北道 新寧郡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각종 제례 執事料 기록
考往錄
자료의 내용
慶尙北道 新寧郡 新寧鄕校考往錄』에 수록된 각종 祭禮 때의 執事料 기록이다. 신녕향교고왕록』은 1744년부터 1914년 고을이 경상북도 永川郡에 편입될 때까지 작성되었다. 다만 1744년 이전의 향교 이력은 종전의 『고왕록』이 유실된 까닭에, 당시까지 남겨져 있던 각종 遺文과 간략한 사적만을 수록해 놓았다.
본 자료는 『고왕록』 가장 말미에 있다. 이전까지는 신녕향교의 사적이 기록되어 있지만, 가장 말미에 있는 본 자료에는 執事料 등이 부기되어 있어, 원래 『고왕록』과는 무관하게 조선후기 어느 시점에 기재된 듯하다. 이 기록에는 城隍祭의 發告祭, ?祭, 釋奠大祭 때 집사들을 접대하기 위해 쓰이는 각종 음식의 수량을 기재해 놓았다. 그리고 가장 말미에는 執事料와 무관한 한 편의 詩句와 國忌日의 일부가 부기되어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發告祭執事料
甘醬一升
眞油一合
白米一斗
明太五尾
甘?五條
靑魚五尾
活鷄一首
祭酒米五升
?子二片
?祭料
白米一斗四升
甘醬一升四合
明太七尾
甘藿七條
靑魚七尾
活鷄二首二支
眞油一合四夕
釋奠大祭執事料
白米四斗二升
甘醬二斗二升
明太二十二尾
甘藿二丹二條
靑魚四十二尾
活鷄九秀一支
眞油四合二夕
鹽四升二合
乾三四十四尾

麴子一同六片

萬頃蒼波?▣何惜
靑山萬里孤?不憐
肅宗大王景宗六月初八日
金氏十月二十六日沈氏二月初七日
閔氏八月十四日魚氏六月二十九日
金氏三月十六日大王三月初六日
徐氏二月十五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