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23년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산군(慶山郡)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성묘중수시기략(河陽聖廟重修時記略)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923.4729-20140630.Y1410802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중수기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중수기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작성시기 1923
형태사항 크기: 30 X 21
수량: 25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산 하양향교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교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23년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산군(慶山郡)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성묘중수시기략(河陽聖廟重修時記略)
1920년과 1923년에 있었던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산군(慶山郡) 소재 하양향교(河陽鄕校)의 건물 중수 기록이다. 원래 하양향교는 조선시대 독립된 고을이었던 하양현(河陽縣)의 향교로서 독자적인 재정 기반과 관(官)으로부터의 지원을 받고 운영되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로 접어들면서 하양군(河陽郡)이 인근 경산군(慶山郡)과 통합되어 관으로부터의 지원이 어렵게 되었으며, 근대 교육 기관의 발달 및 사회질서의 변화로 재정적으로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로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이 향교 건물의 퇴락이었다. 이에 옛 하양현 지역의 유림들은 각 문중별로 향교 건물을 중수하기 위한 자금을 모금하였고, 1920년과 1923년에 향교 건물 중수가 이루어졌다.
본 자료에는 날짜별로 중수 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이 간략히 기록되어 있다. 먼저 1920년의 기록에서는 향교 재정의 위축으로 건물 중수를 오랫동안 하지 못해 유림들이 안타까워하고 있는 와중에 각 문중이 돈을 내어 중수 비용을 마련하게 되었다며, 중수 공사 경위를 언급해 놓았다. 1920년에는 선성(先聖)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대성전(大聖殿)을 비롯해, 서재(西齋), 신문(神門), 명륜당(明倫堂), 기로소(耆老所)의 중수가 있었다. 먼저 7월 4일 대성전 공사를 앞두고 위패를 명륜당으로 옮기는 이안제(移安祭)가 있었으며, 10월 1일에 공사를 마쳤다고 한다. 그리고 그해 12월 낙성식(落成式)과 더불어 강연(講筵)과 향음례(鄕飮禮)의 행사가 있었다. 1923년의 공사는 1920년 당시 자금의 부족으로 미처 준공하지 못한 건물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때에는 관으로부터 2,000금(金)의 자금을 지원 받아 공사 대금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고자실(庫子室)과 포사(庖舍) 등의 중수 공사가 있었으며, 2월 9일 공사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난다. 자료 말미에는 1920하양향교 중수 공사 당시의 각 문중별 기부 현황을 수록해 놓았다. 65개 문중에서 모두 9,750냥을 기부하였으며, 개인 자격으로도 3명이 60냥을 기부한 것으로 나타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20년과 1923년 진행된 慶尙北道 慶山郡 소재 河陽鄕校의 重修 관련 기록을 엮어 놓은 자료
자료의 내용
慶尙北道 慶山郡 소재 河陽鄕校1920년과 1923년 향교 重修 기록이다. 향교 건물의 공사 일지, 당시의 諸執事 명단, 祭禮 때 사용된 祭物, 공사 때의 扶助者 명단과 부조 금액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자료 가장 서두에는 1920년 향교 중수를 협의하게 된 경위, 그리고 중수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게 된 배경을 언급해 놓았다. 먼저 지난 1920년 2월 上丁日, 즉 上皇이었던 高宗의 大祥 전에 釋奠禮를 행한 뒤 聖殿, 神門, 明倫堂, 耆老所, 西齋를 奉審하였는데, 비가 새고 들보가 꺾여 있는 곳을 발견했다고 한다. 이에 重修를 논의하였으나 지난 1822년에 향교를 중수할 때에는 儒會에서 官에 稟處하였고, 官은 다시 營門에 보고하였으며, 營門은 조정에 啓聞하여 재가를 받아 중수를 하니 질서 정연한 법도가 있었으나, 지금은 이미 고을이 폐지되고 위로는 의지할 곳이 없으며 아래로는 措劃할 처지가 되지 못하는 사정임을 개탄하였다. 1822하양향교는 대규모 중수를 하였는데, 이때의 기록은 하양향교에 전하고 있는 1822년 「聖廟重修時記略」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1822하양향교河陽縣에 소재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慶山郡에 통합되어, 1822년 때처럼 지방관의 특별한 관심으로 정부에 지원을 요구하기 힘든 상황이었던 것이다. 그런 까닭에 지역 유림들이 자발적으로 기부금을 내었는데, 각 문중별로 거두어들여 若干의 자금을 모아 하양향교 중수를 결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이때에 京城에서는 大東斯文會가 各道 各郡에 위치한 향교의 재산 환원을 논의하니, 본 향교에서도 校首를 파견하여 회의에 참석했음을 밝혀 놓았다. 지역 유림들의 자금 모금과 대동사문회의 활동에 영향을 받아 향교 중수가 시도되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7월 초의 吉日을 택해 10월 말에 이르기까지 향교 중수가 이루어졌고, 지난 1822년에 만들어진 「聖廟重修時記略」의 예에 따라, 중수 과정을 기록하게 되었다며, 자료의 작성 경위도 함께 밝혀 놓았다. 이때의 典司는 金厚潤을 포함해 모두 9명이며, 都有司는 曺學璣, 掌議는 金后浩朴景春으로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는 1920년의 중수 과정을 날짜별로 간략히 정리해 놓았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본격적인 공사에 앞서 대성전에 모셔진 위패를 명륜당으로 옮기는 移安祭가 7월 4일 上丁日에 있었으며, 전날 저녁부터 이안제 준비 작업이 있었다. 校任이 祭物을 가지고 諸執事와 獻官이 神門에서 祗迎한 것을 시작으로 香祝, 陳設, 望燎 등의 제례 절차를 행하였다. 巳時에 告由를 하였으며, 幼學 曺學璣가 祝文을 올렸다. 조학기는 이전에 하양향교 도유사를 역임했던 인물로 당시 校長의 직분이었다. 축문에는 대성전을 비롯하여 각 향교 건물에 비가 새고 퇴락하여 孔子, 顔子, 曾子, 子思, 孟子 5聖의 위패를 옮기게 되었음을 밝혀 놓았다. 이어 제례에 참여한 獻官과 諸執事의 명단이 나열되어 있는데 獻官은 조학기를 비롯하여 許極, 崔鳳漢, 都瑀成, 全錫奎로 나타난다. 이때의 諸執事로는 執禮, 大祝, 奉香, 奉爐, 東廡奉香과 奉爐, 西廡奉香과 奉爐, 典祀官, 謁者, 贊人, 司尊, 判陳設이 있었으며, 당시 장의였던 金后浩朴景春은 각각 奉香과 奉爐를 맡았다. 헌관과 집사 명단 다음에는 移安祭에 올려진 祭物이 기록되어 있다. 예를 마친 후에는 헌관이었던 교장이 공자의 신위 앞에 나아가 鞠躬하고 噫歆한 뒤 신위와 器物을 명륜당으로 옮겨 北壁에 奉安하였다고 한다.
7월 5일 대성전의 벽을 부수었는데, 이때의 役丁은 하양향교가 위치한 校洞의 주민을 차례대로 調用한 것이다. 7월 6일 대성전의 기와를 철거하였고, 7월 8일 대성전의 기둥 修正은 인력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까닭에 형틀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지탱하였다. 7월 10일 大邱에 工人을 보내 대성전의 도리목으로 사용할 나무를 구매해 왔다. 7월 12일 올리는 일을 시작하였다. 7월 13일 서까래를 고쳤는데, 연목은 慶山 松下里 呂斯文의 집에서 가져왔다. 7월 14일 처마의 桴椽을 고쳤는데, 서까래로 쓰고 남은 것을 調用하였다. 7월 15일 동변의 耨椌을 고쳤는데, 대구에서 구입해온 나무를 사용한 것이다. 7월 16일 동변의 風板, 앞 처마의 正間 서까래와 뒤 처마의 東北間 서까래를 고쳤다. 7월 17일 기와로 지붕을 이었다. 기와의 堅實함은 새것이 옛 것 같지 못한 까닭에 神門을 덮고 있는 것을 철거하여 부족한 것을 보충하였다. 7월 18일 土工을 시작하였는데, 대성전 안의 도배와 裹簟은 미장이가 보수하였다. 7월 20일 대성전 안의 土廳을 보수하였다. 읍내의 役丁으로 하여금 錦江의 栗石을 가져오게 하였고, 역정 중 견실한 자를 뽑아 石灰를 계단과 伏壁에 발랐다. 7월 21일 白土를 발랐는데, 석회와 백토는 대구 西門의 가게에서 구입한 것이다. 그리고 대성전 내벽과 외벽의 虧欠한 곳에 仰土하였다. 7월 23일 옛 簟은 바람에 마모되어, 안에 비가 새는 까닭에 새로 裹簟하였다. 7월 24일 대성전에 丹靑을 하였고, 대성전 편액 세 글자를 改粉하였다. 7월 25일 대성전의 板門 세 쌍을 걸었고, 옛 문의 세 쌍은 東庫門에 걸었다. 7월 26일 三階를 改築하였는데, 동쪽과 서쪽의 계단은 옛 것을 그대로 정리하였다. 7월 27일 神門을 정비하였으며, 바로 앞의 뒷기둥의 도리목과 서까래를 고쳤다. 7월 28일 庫室에 덮어 놓은 것으로 기와를 이었다. 7월 29일 미장이가 仰土를 발랐고, 役丁이 앞 계단에 백토를 발랐다. 7월 30일 神門에 단청을 하였다. 8월 1일 役丁으로 하여금 琴樂洞 前川의 모래와 돌을 가져오게 해서, 대성전 앞뒤 마당을 메웠다. 8월 2일 席子를 고쳤다.
약 한 달에 걸친 공사 끝에 8월 3일 午時, 위패가 대성전으로 還安되었다. 전날 저녁 교임이 奠物을 처음과 같이 迎侯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還安祭도 移安祭와 같은 형식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告由는 未時에 행해졌다고 하며, 이때의 獻官과 諸執事의 명단, 祝文의 대략, 이때 올려진 祭物을 수록해 놓았다. 헌관은 조학기를 비롯하여 崔泳, 黃仁祚, 허갑, 朴寅羲 5명이며, 移安祭와 마찬가지로 祭執事는 執禮, 大祝, 奉香, 奉爐, 東廡奉香과 奉爐, 西廡奉香과 奉爐, 典祀, 謁者, 贊人, 司尊, 判陳設이 임명되었다.
대성전의 수리와 위패 還安이 끝난 후에는 나머지 건물들에 대한 중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8월 6일부터 耆老所 공사를 시작하였다. 처마와 서까래, 欂椌, 廳板을 수리하였다. 聽門도 새로 만들었으며, 미장이가 백토를 새로 발랐다. 瓦工은 빈 곳의 기와를 덮었다. 8월 10일 西齋 공사를 시작하였다. 북변 層間과 庫室을 고치고 後西門을 새로 만들었다. 백토를 바르고 기와를 덮었으며, 夾門도 새로 만들었다. 9월 2일 明倫堂 공사를 시작하였다. 西上房의 長門 한 쌍을 새로 만들었고, 미장이가 서남쪽 벽에다 백토를 발랐다. 앞 계단을 개축하였고, 虧缺된 곳에 기와를 새로 이었다. 명륜당의 편액 세 글자도 改粉하였다. 9월 3일 이미 무너진 庫室 세 칸을 헐고, 남은 기와는 神門에 사용하였으며, 남은 杇木은 外三門의 散子에 補用하였다. 9월 4일 脯舍의 앞문과 下堂의 대문을 새로 만들었다. 9월 7일 외삼문의 礎石을 새로 세웠다. 이때 體木은 汗沙洞 崔斯文의 집에서, 椽木은 琴樂洞李長榮의 집에서 가져왔다. 9월 14일 立柱 上樑하였다. 9월 18일 기와를 이었는데, 기와는 대구에서 구매한 것이다. 9월 25일 미장이로 하여금 仰土를 바르게 했다. 9월 28일 外大門 세 쌍을 새로 만들어 걸었다. 10월 1일 향교의 담장을 개축하였다. 담장 앞에는 향교 案山에서 가져온 소나무 가지를 골고루 덮었다. 삼문 앞의 香木은 뿌리가 노출되어 얼마 되지 않아 썩을 수 있는 까닭에, 南面의 役丁으로 하여금 돌을 옮겨오게 해서 덮었다. 1920년의 하양향교 중수 공사 기록 말미에는 총 공사기간이 6월 26일부터 10월 1일까지이고, 落成式 때 講筵과 鄕飮禮를 개최하였으며, 이때의 都有司는 조학기, 장의는 김후호박경춘, 別有司는 黃章遠이라고 기재해 놓았다.
이어 1923년의 중수 공사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먼저 1923년 공사가 시작되는 경위를 언급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지난 1920년 대성전 공사 때 미처 준공하지 못한 庫子室이 기울어져 무너지고, 庖舍는 헐어버려 一鄕의 사림들이 모두 안타깝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때에는 모금한 자금이 부족하여 重建하지 못하였는데, 이제 교임이 郡으로부터 2,000金에 달하는 자금을 얻어와 공사를 시작할 수 있었다며, 공사 경위의 대략을 언급해 놓았다. 1923년의 중수 공사 기록도 1920년의 기록과 같은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먼저 庫子室 공사 기록을 수록해 놓았다. 2월 9일 교동의 인부를 役丁으로 調用하여 庫子室을 무너뜨렸다. 2월 21일 西沙洞의 인부를 役丁으로 調用하여 列礎하였다. 2월 24일 立柱 上樑하였는데, 體木은 옛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3월 5일 기와를 이었다. 부족한 기와는 변소 기와에서 보충해서 썼다. 3월 7일 土工을 시작하였다. 흙은 瓦村面의 인부를 役丁으로 調用해서 가져온 것이다. 3월 25일 沙土를 발랐는데, 珍良面의 인부를 役丁으로 調用하였다. 이어 庖舍 공사 기록을 수록하였는데, 3월 8일 처음 시작한 것으로 나타난다. 3월 25일 列礎하였고, 3월 28일 立柱 上樑하였다. 體木은 교동 池內의 버드나무를 구입해서 사용한 것이다. 4월 1일 와촌면 江谷에서 사온 서까래를 걸었다. 4월 5일 藁草를 덮어 지붕을 엮었다. 4월 10일 土工을 시작하였으며, 房門 여섯 쌍과 명륜당 直員室門 두 쌍을 걸고, 변소를 신축한 사실을 끝으로 1923년의 중수 공사 기록을 마무리해 놓았다. 이때의 하양향교 교임은 直員 박경춘, 장의 曺鎭煥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役丁記’라 하여 진량면에서 150명, 하양면에서 150명, 와촌면에서의 150명 인부 동원 사실을 기재하였다.
본 자료의 말미에는 1920년 10월 27일 기록된 ‘校宮重修時各門中補助錄’을 수록해 놓았다. ‘校宮重修時各門中補助錄’은 해당 문중의 성씨, 보조한 사람의 성명, 보조한 금액, 거주지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모두 65개 문중에서 9,750냥을 보조하였는데, 62개 문중이 150냥, 2개 문중이 200냥, 1개 문중이 50냥을 보조하였다. ‘校宮重修時各門中補助錄’ 말미에는 ‘補助寄附記’라 하여 개인적으로 보조한 3명의 성명과 보조한 금액, 거주지를 기재해 놓았다. 이들이 보조한 액수는 모두 60냥이다.
자료적 가치
일제강점기 향교 운영의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시대 향교의 재정적 기반으로는 전답과 노비, 校村, 校保, 官의 지원, 유림의 기부 등이 있었다. 각 향교는 향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官과의 협조 또는 묵인 하에 향교 재정을 확충해 나갔었다. 그러나 韓末에 이르러 정부가 근대식 교육기관의 재정으로 향교 재정을 전용함으로써, 향교 운영은 크게 피폐해져 갔다. 아울러 사회질서의 변동에 따라 지역 사회에서 가지고 있던 향교의 기능과 권위도 크게 위축됨으로써, 유림들의 관심도 종전보다 약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가장 먼저 향교 건물의 퇴락으로 나타났다. 1920년 당시 하양향교 건물도 퇴락하였지만, 재정의 부족으로 오랫동안 건물 중수를 하지 못하였다. 자료 서두에는 고을의 통폐합으로 예전처럼 啓聞을 통해 官으로부터의 지원을 받을 수 없음을 호소하고 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향교 운영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와중에도 하양향교는 지역 유림들의 기부로 건물 중수를 완료할 수 있었다. 官으로부터의 지원이 사실상 끊긴 상황에서 유림들의 자체적인 노력으로 향교의 명맥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1920년은 친일 유림 단체였던 大東斯文會가 朝鮮總督府 總督에게 향교 재산의 환원을 요구했던 해로, 본문에는 대동사문회의 활동에 영향을 받아 하양향교의 건물 중수가 시도된 것으로 나타난다. 일제강점기 유림들에 대한 일제의 통제 정책과 연관지어 살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大東斯文會는 1920년 1월 도덕과 윤리 선양 등을 명분으로 결성된 친일 유림 단체다. 초대 임시 회장은 鄭萬朝이며 모두 24명의 명의로 발기되었다. 1920朝鮮總督府 總督에게 향교 재산 환원과 그 구체적인 방법의 委任을 요구하였다. 향교 재산 환원은 유림들의 일반적인 관심사였지만, 대동사문회의 요구는 표방하는 수준에 그쳤다. 대동사문회 회원들은 中樞院에서 조선총독부 자문 역할을 하였다. 중일전쟁 이후에는 일제의 전시체제 강화에 협조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친일 유림 단체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하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23년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산군(慶山郡) 하양향교(河陽鄕校) 하양성묘중수시기략(河陽聖廟重修時記略)

鄕校中
河陽聖廟重修時記略
河陽鄕校聖殿重修▣▣(記略)
上元庚申二月上丁日【時上皇國恤大祥前】行釋奠禮奉
審聖殿及神門明倫堂耆老所西齋雨漏
成紋樑摧桷歸相與爛議重修而仍爲之歎
曰昔在純廟壬午校宮重修之時則自儒會
中稟于官自官報營自營而啓聞于朝自
上特定禮官重修之彼井井有法度矣今則邑
而廢置上無所依恃下無所措劃爲之奈何何
自儒林各門隨力出辨得略干金而完定重修之
議時則京城大學館設立大東斯文會而各道各
郡校財還付各校云故起送校首而往參會議
以來仍爲設役自七月初吉至十月末日而功訖
故依壬午道光二年重修例記略爲
典司金厚潤
都瑀成
崔泳
曺學璣
李秉濟
黃履銓
朴東璿
許碏
全錫珽
都有司曺學璣

掌議金后浩
朴景春
庚申七月初四日丁未移安于倫堂廳事
前夕丙午校任陪祭物入獻官諸執事祗迎干
神門外典祀官奉進于神廳
奉香祝于倫堂正間北壁下坫上祝啓緘獻官
俯伏于倫堂東間西向諸執事序立于西間東
向塡祝仍安于坫上各還齋次沐浴更衣贊者
設獻官諸執事內外位設望燎位遂滌器
判陳設陳設祝貢祝于神位之右坫上獻官諸
執事各服整肅俟時【前後面暴簟銅障無新件帳幕故以簟代之】
塗排廳事
巳時告由
維歲次庚申七月甲辰朔初四日丁未幼學曺學璣
時校長敢昭告于
大成至聖文宣王伏以殿字有漏宜卽改修玆當
移奉先告事由謹以牲醴庶品式陳明薦以
先師兗國復聖公顔氏郕國宗聖公魯氏
國述聖公孔氏
鄒國亞聖公孟氏配尙
饗五聖位香封壹從享位香封壹
獻官曺學璣【時校長】
許極
崔鳳漢
都瑀成
全錫奎

執禮朴孟浩
大祝許稠
奉香金后浩【時校任】
奉爐朴景春【時校任】
東廡奉香林準範
奉爐曺預承
西廡奉香蔡炳晉
奉爐李錫洛
典祀官柳鎭達
謁者全錫珽
贊引金柄柱
司尊宋學在
判陳設都秉洪
祭物
上酒米參斗
稻米五斗五刀
黍米五斗五刀
生猪貳口
鹿脯九拾壹脡
鹿鹽參斗
黃燭貳拾五柄
黃筆壹柄
眞墨壹丁
祝文紙壹章
眞油壹刀
拭巾五尺

禮畢校長入文宣王神位前鞠躬噫歆奉位
板出一人奉交倚在前二人奉香卓次之二人奉香
盒香爐次之二人奉燭臺次之大祝奉香祝斷之
獻官聲折隨後由正門當中下中階出神門正間當
中至倫堂後折旋堂之東簷至前階升堂之正間
奉安于北壁下正南面設香卓如儀
奉配位出正門稱由門之東西邊中階東西邊神
門正間東西邊至倫堂後折旋堂之東簷至前
階由堂之正間東西邊奉安如儀設香卓
春從享位東從位出殿門東俠西從位出殿門西
夾東從位出下東階出神門東夾西從位下西階
出神門西夾東從位折旋堂之東簷至東階西從
位折旋堂之西簷至西階東從位升堂之東一間
西向西從位升堂之西一間東向奉安如儀校任
逐日昧爽瞻拜奉審下典輪直
七月初五日聖殿破壁
役丁校東一洞次弟調用爲
初六日撤殿瓦
初八日正殿前柱四繼殿後西柱一
修正時不能人力故以鉄緊械貰之使用
初十日上後東邊道理木四
命送木工一人取來於大邱買木邱
十二日升而始事
十三日改後東偏新椽木八
椽木取來慶山松下里呂斯文家

十四日改前簷正間桴椽四
以前椽木用之餘末調用
十五日改東邊耨椌一
大邱貿木所木
十六日改東邊風板及前簷正間椽合木二後簷東
北間椽合木三
十七日蓋瓦
瓦子之堅實新不如舊故神門所覆者撤之以補其
不足後簷舊無臺瓦求之不得故不用
十八日土工始役
去殿內塗排及三面裹簟以泥匠補前壁三幅後
西壁二幅虧內外虧欠處
二十日補殿內土廳
使邑內役丁取栗石於錦江之上使其役丁堅
實推中之以石灰塗之前階及後伏壁以餘灰塗之
二十一日塗白土【石灰與白土取來於大邱西門外貿店】
塗殿內四壁及殿外四壁仰土虧欠處
二十三日裹簟
舊簟風磨內漏不能久支故以新簟代裹
二十四日丹靑于聖殿改粉大成殿三字額
二十五日掛聖殿板門三雙
舊門三雙改備掛於東庫門
二十六日改築三階
東西仍舊整齊之
二十七日庚午修神門

正前後柱改道理木二椽木六椽合二
二十八日蓋瓦
瓦子以庫室所覆瓦代蓋
二十九日使泥匠塗仰土以役丁築前階以白土塗之
三十日丹靑于神門
八月初一日修塡殿內前後場
使役丁取來沙石於琴樂洞前川中流鋪之
初二日改陳進鋪陳席
細莞席以梁靑布飭之
初三日乙亥午時還安
前夕甲戌校任陪奠物入迎侯如初當日塡祝侯時
行事
未時告由
獻官曺學璣
崔泳
黃仁祚
許{石+甲}
朴寅羲
執禮崔鍾萬
大祝都柱周
奉香金后浩
奉炉朴景春
東廡奉香李鍾河
奉炉張斗海

西廡奉香金榮洙
奉炉曺曾煥
謁者宋秉禧
典祀禹準鉉
贊引趙璣元
司尊金鎭旭
判陳設金源玉
祝文【五聖位香封壹從享位香封壹】
年月日干支云云載葺載完工事告訖吉日還
妥禮歲【音奠備也】芬苾奉還節次一如移安時
故有文
祭物
上酒米參斗
稻米貳斗五刀
黍米貳斗五刀
生猪貳口
鹿脯九十壹脡
鹿醢參斗
黃燭貳十五柄
黃筆壹柄
眞墨壹丁
祝文紙壹丈
眞油壹刀
拭巾五尺
八月初六日改修耆老所
整前北柱改後簷椽木六南邊欂椌一補廳板

新造廳門一雙前南門一雙掛之塗北壁使泥匠
塗白土使瓦工翻缺瓦
初十日改修西齋
以北邊層間改造庫室新造後西門一塗白土補瓦
子虧缺處新立南偏一間夾門
九月初二日改修明倫堂
新造西上房長門一雙使泥匠新造西南壁塗白土
改築前階補瓦子虧缺處
改粉明倫堂三字額
初三日旣至顚伏庫室三間破毁瓦子蓋神門杇木
補用外三門散子
初四日新造脯舍前門一及下堂大門一雙
初七日新立外三門礎石
體木三十六取來於汗沙洞崔斯文家
椽木五十五取來於琴樂洞李長榮
十四日丙辰立柱上樑
十八日蓋瓦
瓦子取來於大邱棟瓦店
二十五日使泥匠塗仰土
二十八日新造外大門三雙掛之
十月初一日改築垣墻
覆墻前伐鄕校案山松枝調覆
三門前香木露根幾至枯損故以南面役丁負石以
培其根
始役自六月二十六日至十月初一日凡九十四日訖工

十二月十五日落成之時設講筵行鄕飮禮
都有司曺學璣
掌議金后浩
朴景春
別有司黃章遠
孔子誕降二千四百七十一年庚申十二月十五日
附庫子室及庖舍建築記略
孔子誕降二千四百七十一年庚申聖庙
重修時末得竣工而庫子室之傾圯庖舍之
毁破一鄕士林之所共嘆者也然鳩財蕩
殘末及重建之力矣越四年癸亥春校任
自郡得二千金完定重建之議故略記
事實附之卷末焉
二月初九日破屋【庫子室】
役丁以校洞人夫調用
二月二十一日列礎
役丁以西沙洞人夫調用
二月二十四日立柱上樑
體木仍舊用之
三月五日蓋瓦
瓦子之不足以便所瓦充用
三月七日土工始役
取土於鄕校案山役丁以瓦村面人夫調

三月二十五日塗沙土

役丁以珍良面人夫調用
三月八日庖舍工事始設
三月二十五日列礎
三月二十八日立柱上樑
體木買校洞池內出楊木用之
四月一日掛椽
椽木買來於瓦村面江谷
四月五日蓋屋
以藁草蓋之
四月十日土工始役
掛房門六雙【庫子室】
掛明倫堂直員室門二雙新築大
小便所
孔子誕降二千四百七十四年癸亥五月日
直員朴景春
掌議曺鎭煥
役丁記
珍良面役夫百五十名
河陽面役夫百五十名
瓦村面役夫百五十名
庚申十月二十七日
河陽鄕校

校宮重修時各門中補助錄
庚申十月二十七日
許氏門中許碏壹百五拾兩湖上
金氏門中金秉元壹百五拾兩南河
曺氏門中曺曾煥壹百五拾兩中林
許氏門中許榮遠壹百五拾兩釜上
朴氏門中朴元浩壹百五拾兩良基
黃氏門中黃履銓壹百五拾兩東谷
都氏門中都桂周壹百五拾兩校洞
崔氏門中崔秉瓚壹百五拾兩汗沙
李氏門中李秉濟壹百五拾兩隱湖
蔡氏門中蔡錫漢壹百五拾兩內谷樂山
金氏門中金性培五拾兩大谷瓦村
張氏門中張斗熙壹百五拾兩新西安心
曺氏門中曺煩承壹百五拾兩沙灘
柳氏門中柳鎭達壹百五拾兩新西安心
禹氏門中禹在浩壹百五拾兩德村
宋氏門中宋在桓壹百五拾兩末里
金氏門中金石浩壹百五拾兩苧洞
蔡氏門中蔡慶植壹百五拾兩舞鶴
金氏門中金炳柱壹百五拾兩內下洛山
林氏門中林準範壹百五拾兩南仁
李氏門中李權雨壹百五拾兩阿上
裵氏門中裵容秀壹百五拾兩內谷
金氏門中金榮洙壹百五拾兩匙川
朴氏門中朴基大壹百五拾兩中林

趙氏門中趙璣元壹百五拾兩富基
張氏門中張斗鉉壹百五拾兩新基樂山
金氏門中金源玉壹百五拾兩新基樂山
李氏門中李震基壹百五拾兩湖上
全氏門中全錫珽壹百五拾兩致岩
鄭氏門中鄭文範壹百五拾兩凡興
孫氏門中孫鍾洛壹百五拾兩南河
李氏門中李在珣壹百五拾兩阿下
申氏門中申泰魯壹百五拾兩中林
都氏門中都鎭運壹百五拾兩富基
朴氏門中朴景春壹百五拾兩梅洞
鄭氏門中鄭淇年壹百五拾兩仙巷
徐氏門中徐錫魯壹百五拾兩角山
蔡氏門中蔡鎭海壹百五拾兩角山
宋氏門中宋學在壹百五拾兩角山
金氏門中金昌源壹百五拾兩安洞
安氏門中安炳永壹百五拾兩鳳洞
崔氏門中崔長杓壹百五拾兩末里
申氏門中申泰沐壹百五拾兩末里
朴氏門中朴慶鎭壹百五拾兩末里
李氏門中李楨興貳百兩長川
朴氏門中朴瑞煥壹百五拾兩汗沙
李氏門中李達秀壹百五拾兩蘇月
李氏門中李東根壹百五拾兩德村
金氏門中金正憲貳百兩北洞
李氏門中李錫春壹百五拾兩校洞
金氏門中金用采壹百五拾兩致岩

許氏門中許錫一壹百五拾兩龍田
裵氏門中裵龍玉壹百五拾兩安內下
裵氏門中裵炳準壹百五拾兩安內下
崔氏門中崔佾進壹百五拾兩角山
金氏門中金琪昊壹百五拾兩東江
李氏門中李鍾煥壹百五拾兩中內里
吳氏門中吳柄瑢壹百五拾兩安洞
裵氏門中裵益珝壹百五拾兩東江
朴氏門中朴燦奎壹百五拾兩中內里
金氏門中金世佾壹百五拾兩凡陽地
金氏門中金洛鎭壹百五拾兩大谷
安氏門中安仁植壹百五拾兩匙川
金氏門中金秀國壹百五拾兩瓦島里
張氏門中張漢水壹百五拾兩樂新上

補助奇附記
李貞和拾五兩溪堂
趙鏞震貳拾兩安洞
鄭基淑貳拾五兩致岩

郡士林僉座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