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하양군(河陽郡) 하양향교(河陽鄕校) 사직(社稷)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905.4729-20140630.Y1410804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홀기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작성시기 1905
형태사항 크기: 29 X 11
수량: 12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산 하양향교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교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0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하양군(河陽郡) 하양향교(河陽鄕校) 사직(社稷)
1905경상북도(慶尙北道) 하양군(河陽郡)에서 만든 진설도(陳設圖)와 홀기(笏記)이다. 작성주체는 명확하지 않으며, 현재 하양향교(河陽鄕校)에 전해지고 있다. 진설도는 각종 의례에 필요한 기물과 음식, 위패를 늘여 놓은 그림이며, 홀기는 의식의 순서를 기록한 것이다. 본 자료에는 하양군에 소재한 하양향교의 석전제(釋奠祭), 국토의 주인인 사(社)와 오곡의 우두머리인 직(稷)의 신위를 모시는 사직단(社稷壇)의 사직제(社稷祭), 고을 성황신을 모시는 성황단(城隍壇)의 성황제(城隍祭), 여귀(厲鬼)에게 제사 지내는 여단(厲壇)의 여제(厲祭), 비를 기원하는 기우제(祈雨祭)의 진설도와 홀기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남호서원(南湖書院)금호서원(琴湖書院)의 진설도를 수록해 놓았는데, 전자는 각 고을마다 설립된 제향 기구로 지방관의 지휘를 받아 정기적으로 의례가 행해지던 곳이며, 후자는 지역의 개별 유림들이 건립한 것으로 지방관의 협조 하에 유림들이 독자적으로 의례를 행했던 곳이다. 이들은 조선시대 하양군의 대표적인 제향 기구로 중요시되었던 곳이었지만, 본 자료가 작성되던 1905년은 근대문물의 도입으로 향교의 기능이 쇠퇴하고 구래(舊來)의 각종 의례가 위축되던 시기였으며, 남호서원금호서원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상태였다. 시대적 변화 속에 하양군에 전해져 오던 전통 제향 의례를 계승하기 위해 본 자료가 작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書院誌』,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2007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05慶尙北道 河陽郡 소재 河陽鄕校, 琴湖書院, 南湖書院의 祭享과 厲祭, 城隍發告祭, 祈雨祭, 社稷祭 때의 陳設圖와 笏記를 엮어 놓은 자료
社稷 單
자료의 내용
1905慶尙北道 河陽郡에서 작성한 陳設圖와 笏記로 河陽鄕校에 전해지고 있는 자료다. 작성 주체는 뚜렷하지 않은데, 자료에는 河陽鄕校, 琴湖書院, 南湖書院에서 이루어지는 祭享, 그리고 城隍發告祭, 祈雨祭, 社稷祭 때의 陳設圖와 笏記, 祝文이 함께 엮여져 있다. 표제가 「社稷 單」이지만, 본문에는 하양군 내에 소재한 대표적인 제향 기구를 모두 망라해 놓았다. 자료 말미에 ‘乙巳 二月 日’이라 명기되어 있는데, 소개된 제향 기구 중 南湖書院의 서원 승격 연도가 1855년임을 감안할 때, 본 자료의 작성시기가 1905년 2월임을 알 수 있다.
자료 가장 서두에는 南湖書院 제향 떄의 陳設圖를 수록해 두었다. 이어 厲祭의 진설도, 城隍發告祭의 진설도, 琴湖書院 때의 진설도, 祈雨祭의 진설도, 社稷祭의 진설도, 마지막으로 하양향교 석전제의 진설도가 수록되어 있다. 笏記는 祝文과 나란히 수록되어 있는데, 社稷祭享 笏記와 祝文, 發告祭 笏記와 祝文, 厲祭 笏記와 祝文, 祈雨祭 笏記 순으로 수록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韓末 祭享儀禮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시대 각 고을에는 향교와 더불어 社稷壇과 城隍壇, 厲壇과 같은 제향 기구가 있었다. 또한 유림들이 개별적으로 건립한 서원과 祠宇가 있어 정기적으로 제향을 지냈는데, 이들 제향 기구는 향촌 교화의 매개체로 역할을 하였다. 당시 하양군에는 하양향교, 사직단, 성황단, 여단이 있어 기우제와 더불어 관권의 지휘 아래 제향이 이루어졌으며, 서원으로 금호서원남호서원이 있어 관권의 협조 하에 유림 주도의 제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자료가 작성되던 시기는 1905년 한말로 향교의 기능이 크게 쇠락한 시기였다. 또한 근대문물의 도입으로 구래의 제향 의례가 크게 위축되고 있었다. 더구나 금호서원남호서원興宣大院君의 書院撤廢令으로 毁撤되어 제향 기능이 단절된 상태였다. 그런 가운데 하양군 내 각 제향 기구의 진설도와 홀기, 축문을 엮어 성책한 것은 시대적 변화 속에서도 하양군의 전통적인 제향 의례를 유지시켜 나가겠다는 유림들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琴湖書院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에 위치한 서원이다. 世宗 연간 左議政을 역임한 許稠(1369~1439)를 배향하였다. 1653하양읍 금락리에 사당으로 건립되었다가 1684년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그 후 하양읍 서사리로 옮겨졌으며, 1790년 유림들의 노력으로 賜額을 받았다. 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고, 1901년 그 자리에 유허비각이 세워졌다. 1923년 지역 유림들에 의해 현 위치에 복원되었다. 南湖書院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남하리에 위치했었던 서원이다. 조선시대 무신으로 丙子胡亂 때 활약하였으며, 三道水軍統制使를 역임한 金是聲(1602~1676)을 배향하였다. 남호서원의 전신은 1786년 세워진 南湖祠로, 1855년에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28년 현재의 위치에 南湖書堂으로 복원되었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書院誌』,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편, 2007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05년 경상북도(慶尙北道) 하양군(河陽郡) 하양향교(河陽鄕校) 사직(社稷)
社稷單

南湖書院
稻米三刀祝文紙十張
黍米三刀燈油二合
生猪一口黃筆一柄
魚鱐三尾眞墨一丁
鹿脯三脡香一塊
鹿醢一刀爵洗巾二尺
魚醢一刀封皮紙十張
菁菹一刀常白紙五張
韭菹一刀形鹽一刀
黃栗一刀五合酒米五刀
大枣一刀五合際
幣帛白苧九尺
黃燭一雙
各祭陳設圖
左四籩鹿脯黃栗燭
形鹽大枣香盒
稻方粱方爵

黍圓稷圓牲【幣筐】爵
鹿醢芹菹香爐
右四豆魚醢菁菹燭
被人奪妻妾死鬼神位
刑禍死鬼神位
因天灾行疫死鬼神位

猛獸毒蟲死鬼神位
凍餒死鬼神位
戰鬪死鬼神位
自縊死鬼神位
墻屋死鬼神位
無後死鬼神位
形鹽一刀甘醬四刀
芹菹一刀甘藿十二條

菁菹一刀
生猪一口際
無祀鬼神位

兵刃死鬼神位
水火盜賊死鬼神位
被人奪財物死鬼神位
厲祭
稻米十五斗四刀五合生羔一口
黍米四刀五合祝文紙一張
粟米四刀五合黃筆一柄
稷米四刀五合眞墨一丁
黃栗一刀香一塊
大枣一刀黃燭一雙

鹿脯三脡晝燭十四柄
魚醢一刀燈油三合
鹿醢一刀祭酒二十一鐥米三斗六刀六合
城隍發告祭
祭酒三鐥香一塊
黃栗一刀黃燭一雙
鹿醢一刀晝燭五柄
祝文紙一張燈油二合
黃筆一柄際
眞墨一丁
鹿脯三脡黃燭一雙
魚鱐三尾晝燭二柄
魚醢一刀五合爵洗巾二尺
鹿醢二刀常白紙五張
形鹽一刀封皮紙十張

韭菹一刀五合燈油三合
菁菹一刀五合酒米五刀
生猪一口曲子一元半
幣帛十八尺際
形鹽一刀晝燭五柄
生羔一口燈油二合
白鷄一首酒米五刀
幣帛五尺曲子一元半
祝文紙一張際
琴湖書院
稻米三刀祝文紙一張
黍米三刀黃筆一柄
黃栗一刀五合眞墨一丁
大棗一刀五合香一塊
形鹽三刀燈油三合
芹菹三刀

菁菹三刀際
祈雨祭
稻米三刀黃筆一柄
黍米三刀眞墨一丁
鹿脯五脡香一塊
鹿醢三刀黃燭一雙
社稷祭
稻米九刀生猪一口
黍米九刀幣帛苧十八尺
粟米九刀祝文紙一張
稷米九刀黃筆一柄
黃栗三刀眞墨一丁
大棗三刀香一塊

鹿脯十脡黃燭一雙
魚醢三刀晝燭十三柄
鹿醢三刀祭酒二甁
鹿脯九十一脡【代黃肉乾脯】香一塊
魚鱐二十五尾【北魚】黃燭二十五柄
醓醢七刀五合【代吾正魚】晝燭三十柄
兄醢七刀五合燈油一刀
魚醢七刀五合【石魚】窓戶紙五張
鹿醢三斗四刀【代牛脥肉】酒米三斗五刀
形鹽七刀五合曲子一同半元
荀菹七刀五合【代薇】七刀五合際
釋奠祭
稻米七斗二刀五合韭菹七刀五合
黍米七斗二刀五合芹菹七刀五合
粟米二斗二刀五合菁菹二斗五刀

稷米二斗二刀五合生猪一口
黃栗二斗五刀生羔一口
大棗七刀五合幣苧布九十二尺
榛子七刀五合祝文紙一張
芡仁七刀五合黃筆一柄
茨仁七刀五合眞墨一丁
社稷祭享笏記 謁者引獻官諸執事俱就外位〇諸執事入就拜位 〇諸執事先四拜〇詣盥洗位〇盥手帨手〇各就 位〇謁者引獻官入就拜位〇謁者進獻官之左白 謹具請行事〇獻官四拜〇平身〇行奠幣禮〇
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〇南向立〇搢笏〇盥手
帨手〇執笏〇謁者引初獻官詣壇〇升自北陛〇
詣社神位前〇南向跪〇搢笏〇三上香〇奠幣〇
執笏〇俯㐲興〇平身〇詣稷神位前〇南向跪〇
搢笏〇三上香〇奠幣〇執笏〇俯㐲興〇平身〇

謁者引降復位〇行初獻禮〇謁者引初獻官詣尊
耶〇東向立〇司尊擧內幕酌酒〇謁者引詣社神位
前〇跪〇搢笏〇執爵〇獻奠〇執笏〇俯㐲興
〇平身〇詣稷神位前〇跪〇搢笏〇執爵〇獻奠
〇執笏〇俯㐲興〇平身〇小退南向跪〇祝跪獻之官
左〇讀祝〇獻官俯㐲興〇平身〇謁者引降復位〇
行亞獻禮〇贊引引亞獻官詣盥洗位〇南向立〇搢
笏〇盥手帨手〇執笏〇贊引引亞獻官詣尊耶〇東
向立〇司尊擧內幕酌酒〇贊引引詣社神位前〇跪〇
搢笏〇執爵〇獻尊〇執笏〇俯㐲興〇平身〇詣稷
神位前〇跪〇搢笏〇執爵〇獻奠〇執笏〇俯㐲興
〇平身〇贊引引降復位〇行終獻禮〇贊引引終獻
官詣盥洗位〇南向立〇搢笏〇盥手帨手〇執笏
〇贊引引終獻官詣尊耶〇東向立〇司尊擧內幕酌
酒〇贊引引詣社神位前〇跪〇搢笏〇執爵〇獻
奠〇執笏〇俯㐲興〇平身〇詣稷神位前〇跪

〇搢笏〇執爵〇獻奠〇執笏〇俯㐲興〇平身
〇贊引引降復位〇獻官四拜〇謁者引初獻官詣
飮福位〇南向跪〇搢笏〇執事以爵授獻官〇獻
官飮卒爵〇執事以俎授獻官〇獻官受俎以授執
事〇執事降自北陛〇獻官俯㐲興〇平身〇謁者
引降復位〇祝入撤籩豆〇獻官皆四拜〇行望瘞
禮〇謁者引初獻官詣望瘞位〇北向立〇祝取祝
版及幣降自西陛〇置于坎〇謁者進獻官之左白
禮畢〇謁者遂引獻官出〇祝及諸執事皆四拜以
次出
祝文
維歲次月日干支敢昭告于縣
社之神縣
稷之神立我烝民厚德載物求言祐祉用彰昭報尙

發告祭笏記
謁者引獻官諸執事俱就外位〇諸執事入就拜位

〇先四拜〇詣盥洗位〇盥手帨手〇各就位〇謁者
引獻官入就拜位〇獻官四拜〇平身〇謁者進獻官
之左白謹具請行事〇謁者引獻官詣盥洗位〇盥手
帨手〇引詣尊耶西向立〇引詣神位前〇跪〇搢笏〇
三上香〇執爵〇獻尊〇執笏〇俯㐲興〇平身〇小退
北向跪〇祝進神位之右〇東向跪〇讀祝〇獻官俯㐲
興〇平身〇引降復位〇獻官四拜〇平身〇祝入撤籩
豆〇祝取祝版降自西階〇置于坎〇復位四拜〇謁者進獻
官之左白禮畢〇謁者引獻官出〇諸執事皆四拜〇
以次出
祝文
維歲次月日干支敢昭告于
城隍三重大匡門下侍郞平章事修文殿太學
士上將軍食邑三萬戶食實封四百戶將以某月
某日設壇於縣北致傋牲醴羹飯合祭闔境無祀鬼
神等來享此祭陰加護祐深資神力庶務昭集至日赴壇

拜享明禋用彰昭報㐲惟尙饗
厲祭笏記
謁者引獻官諸執事俱就外位〇諸執事入就拜位〇
先四拜〇詣盥洗位〇盥手帨手〇各就位〇謁者引
獻官入就拜位〇獻官四拜〇平身〇謁者進獻官之
左白謹具請行事〇行初獻禮〇謁者引初獻官詣
盥洗位〇盥手帨手〇引詣尊耶西向立〇引詣城
隍神位前〇跪〇搢笏〇三上香〇執爵〇獻奠〇執
笏〇俯㐲興〇平身〇小退北向跪〇祝進神位〇之
右〇跪〇讀祝〇獻官俯㐲興〇平身〇引降復位〇
行亞獻禮〇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〇盥手帨手
〇引詣城隍神位前〇跪〇搢笏〇執爵〇獻奠〇執
笏〇俯㐲興〇平身〇引降復位〇行終獻禮〇謁者引終獻
官詣盥洗位〇盥手帨手〇引詣城隍神位前〇跪
〇搢笏〇執爵〇獻奠〇執笏〇俯㐲興〇平身〇
次詣無祀鬼神(?)位前〇小退壇中立〇連奠三盃

〇引降復位〇獻官四拜〇平身〇祝入撤籩豆〇
祝取祝版降自西堦〇置于坎〇復位四拜〇謁者
進獻官之左白禮畢〇引獻官出〇諸執事皆四
拜以次出
祝文
維歲次月日干支敢昭告于
城隍三重大匡門下侍郞平章事修文殿太學士上將軍
食邑三萬戶食實封四百戶敬奉
王旨致備牲醴羹飯合祭闔境遭兵刃而橫死遭刑杖
而屈死死於水火死於盜賊死於猛獸毒蟲被人逼
取財物而死被人强奪妻妾而死因天灾之行而疫死因
墻屋之頹而壓死戰鬪而死凍餒而死自縊而死産死
震死墜死無后而死精魄末散結爲陰靈無祀鬼神
等來享此祭陰加護祐用彰昭報㐲惟尙

祈雨祭笏記

謁者引獻官諸執事俱就外位〇諸執事入就拜位
〇先四拜〇詣盥洗位〇盥手帨手〇各就位〇謁者引
獻官入就拜位〇謁者進獻官之左白謹具請行事
獻官四拜〇行奠幣禮〇謁者引獻官詣盥洗
位〇搢笏〇盥手帨手〇引詣神位前〇北向跪〇搢
笏〇三上香〇執幣獻奠〇執笏〇俯㐲興〇外降
復位〇行獻酌禮〇謁者引獻官詣尊耶〇西向立
〇引詣神位前〇跪〇搢笏〇執爵〇獻奠〇執笏〇
俯㐲興〇小退北向跪〇祝進神位之右東向跪〇
讀祝〇獻官俯㐲興〇引降復位〇祝入撤籩豆〇獻
官四拜〇行望燎禮〇謁者引獻官詣望燎位〇西
向立〇祝取祝版及幣降自西階〇投積柴中〇謁
者進獻官之左白禮畢〇謁者引獻官出〇謁者
引祝及諸執事皆四拜以次出
乙巳二月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