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7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교위전답안(校位田畓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847.4776-20140630.Y141130600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작성주체 영양현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작성시기 1847
형태사항 크기: 22.5 X 19.5
수량: 4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847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교위전답안(校位田畓案)
1847년 10월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소재 영양향교(英陽鄕校)에서 작성한 교위전답안(校位田畓案)이다. 교위전답안은 향교가 보유하고 있던 전답의 장부를 뜻한다. 전답은 조선시대 향교의 대표적인 경제적 기반으로, 영양향교는 본 전답안에 수록된 전답의 소출을 각종 경비로 활용했던 것이다. 전답안에는 보유하고 있던 전답을 우선 각면(各面)별로 나누었고, 다시 전답이 소재한 곳을 원(員), 천자문으로 된 자호(字號), 지번, 그리고 전(田)과 답(畓)으로 구분해 놓았다. 또한 전답의 규모는 결부수(結負數)와 두락수(斗落數)를 모두 표기하였고, 해당 전답의 소작자 이름과 전 주인의 이름, 그리고 소작자로부터 거두어들이는 소작료를 돈과 곡식으로 부기하였다. 그러나 본 전답안은 후반부가 탈락되어 있어 전체 전답 보유 규모는 알 수 없다. 다만 확인되는 전답의 규모를 결부수로 환산할 경우, 1847영양향교는 2결(結) 67부(負) 9속(束) 이상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한편, 영양향교에는 본 전답안 이외에, 특정 시기 영양향교가 보유하였던 전체 전답 규모를 알 수 있는 네 편의 전답안이 전하고 있다. 가장 앞선 것은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의 것인 「향교전안(鄕校田案)」으로 여기에는 11결 41부 3속, 1720년의 것인 「전답양안(田畓量案)」에는 10결 17부 8속, 1865년의 것인 「을축8월일 교위전답사정안(乙丑八月日 校位田畓査正案)」에 6결 61부 1속, 그리고 1898년의 것인 「무술10월일 교위전답사정안(戊戌十月日 校位田畓査正案)」에 5결 71부 5속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전답의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데, 이러한 향교 전답의 감소 추세는 비단 영양향교뿐만 아니었다. 19세기로 접어들게 되면 향교의 교임(校任)들이 향교의 재정을 방만하게 운영하며, 개인적으로 착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향교 재정의 악화와 퇴락으로 이어졌는데, 1847년에 작성된 본 전답안도 그런 추세에서 작성된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47慶尙道 英陽縣 소재 英陽鄕校의 전답 보유 현황을 조사한 뒤 작성한 전답안
자료의 내용
1847년 5월 慶尙道 英陽縣 소재 英陽鄕校의 田畓 보유 현황을 기록한 장부로, ‘丁未五月日 校位田畓案’이라는 제목으로 엮여져 있다. 본 전답안에는 영양향교가 보유하기 이전의 전답 보유자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중 趙漢喆, 趙漢傑, 南世杰, 吳正燮영양향교에 전해지고 있는 1830년의 「副校案」에서, 趙漢喆趙居孝1850년의 「耆老會錄」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자료 작성 연도인 丁未年은 1847년이 된다. 전답안은 영양현 관내에 소재한 영양향교 보유 전답을 모두 망라한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 뒷부분은 결락되어 邑內面, 東面, 北初面 전체와 北二面의 일부 현황만 확인 할 수 있다.
전답안에 수록된 영양향교 보유 전답은 各面별로 분류한 뒤, 소재한 員의 명칭, 천자문으로 이루어진 字號, 地番, 田과 畓의 구분, 해당 전답의 結負數, 그리고 현재의 作者 순으로 기재해 놓았다. 그리고 結負數와 作者 사이에는 해당 전답을 斗落으로 환산한 것과 해당 토지에서 打租하여 거두어들이는 소작료 또는 이를 돈으로 환산한 액수를 세주로 부기하였으며, 作者 아래에는 이전에 보유한 자가 누구였는지를 세주로 부기하였다.
자료 후반부가 탈락되어 있어 영양향교의 전체 전답 보유 규모는 확인할 수 없다. 명기된 것만 확인하면 邑內面의 경우 畓이 16負 5束인데, 이를 두락으로 환산하면 5斗落只, 打租되는 곡식의 양은 4石이라 하였다. 東面은 田이 52부 9석에, 두락으로는 3석 3두락지, 打租는 11석 7두이다. 그리고 北初面은 田이 5부 1속에, 두락으로는 4석 5두락지, 打租는 13석 5두, 貰錢으로 받는 것은 2냥 5전이며, 畓은 50부 6속에, 두락으로는 1석 3두 5도락지, 打租는 15석 8두, 貰錢으로 받는 것은 4전으로 나타난다. 北二面은 후반부의 탈락으로 일부만 확인되는데, 結數만 확인하면 田이 96부 6속, 畓이 46부 2속이다. 전답안에서 확인되는 것만 結數로 종합하면 당시 영양향교는 田 1결 71부 1속, 畓 96부 8속으로 모두 2결 67부 9속 이상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현재 영양향교에는 특정시기의 보유 전답 전체 규모를 확인 할 수 있는 네 편의 전답안이 전하고 있다. 이중 가장 가까운 1865년의 전답안인 「乙丑八月日 校位田畓査正案」에 영양향교가 6결 61부 1속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전답안에서 확인되는 것은 전체 규모의 30~50%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847년 전답안을 작성하게 된 경위는 본 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영양향교에 전해지고 있는 각종 고문서를 살펴보면 대략적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본 전답안이 작성되기 전인 1847년 2월, 영양현의 유생들이 英陽縣監에게 올린 上書가 전하는데, 해당 상서에는 영양향교의 齋任과 鄕任들이 향교 소유 位土를 사사로이 착복하고 있음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5월에는 같은 내용으로 慶尙道觀察使에게 올려진 上書가 전하고 있다. 齋任, 즉 校任과 鄕任들이 여러 해 동안 향교 재정을 방만하게 운영하며, 位土를 착복한 관계로, 당시 영양현감이었던 徐有畬에 의해 대대적인 향교 보유 전답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재정적 기반과 그 운영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시대 향교는 소재한 고을의 규모에 따라 일정량의 면세전, 즉 學田을 지급받아 향교 운영에 필요한 각종 재정적 기반으로 충당하였다. 이에 縣 단위의 고을에 소재한 영양향교는 5結의 전답을 지급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향교는 조선후기 농업 기술력의 발달과 토지생산력의 증가와 맞물려 규정 보다 많은 전답을 보유하며, 재정적 기반을 확충해 나갔다. 현재 영양향교에는 특정 시기의 보유 전답 전체 규모를 알 수 있는 전답안 네 편이 전하고 있다. 이를 結數로 환산하여 나열하면 가장 선대, 즉 영양향교 건립 초기인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의 것으로 보이는 「鄕校田案」에 11결 41부 3속, 1720년의 것인 「田畓量案」에 10결 17부 8속, 1865년의 것인 「乙丑八月日 校位田畓査正案」에 6결 61부 1속, 그리고 1898년의 것인 「戊戌十月日 校位田畓査正案」에 5결 71부 5속으로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전답의 보유규모가 줄어들고 있음이 확인되는데, 비록 일부분이지만 1847년의 본 전답안도 18세기 초반까지 10결이 넘던 전답이 절반 가까이 감소하는 과정에서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답 규모의 감소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향교 운영의 방만함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1847년은 영양현의 유생들이 영양향교 校任들의 잦은 位土 착복으로 향교 운영이 퇴락해가고 있다며, 강렬하게 호소했던 해이다. 오랫동안 누적된 향교 교임들의 방만한 운영이 전답 감소의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는 사례가 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7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교위전답안(校位田畓案)

丁未五月日校位田畓案
邑內船頭員
菜十九畓一負八束【一斗落只打一石此畓戶斗干棫出打換加幷抄所買故▣▣▣▣給耳】作者南三順校位
尺大員
羽六十七畓四負六束校位【合三斗落只打一石十四斗】作者金又弘校位
坊築員
醎三十六畓二負六束
二十八畓三負四束
塔底員
乃十八畓四負一束【一斗落只打一石一斗】作者金占若校位
已上畓十六負五束五斗落只打四石
東面塔底員
衣十七畓二負九束【三斗落只打一石六斗】作者金哥校位
四十田一負二束【合八斗落只春秋各一石一斗】作者金彦心【舊良人曺卜孫今校位】
四十一田六負六束
四十二田二負九束
四十五畓一負九束【一斗落只打一石六斗】作者南眞寶【舊束伍金石順今校位】
四十六田二十二負三束【一石五斗落只春秋各二石十斗】作者鄭哲伊【舊良人鄭哲今校位】
裳十四田二負六束【三斗落只春秋各三斗】作者金夫億【舊幼學金炳箕允孫今校位】
縣洞員
讓二十田二負七束【五斗落只春秋各七斗】作者戶以三【舊金百▣今校位】
二十一田六負八束【四斗落只春秋各八斗】【舊▣▣南大用今校位】
章五十一田四負合【八斗落只春秋各十二斗】【舊幼學金炳理春每今校位】
五十二田三負八束
已上田五十二負九束三石三斗落只打十一石七斗

畓四負八束四斗落只打二石十二斗
北初唐上員
首十六田六負二束【七斗落只春秋各七斗】作者私得龍校位
植松員
臣四內田五負【九斗落只春秋各十二斗二斗川頉】作者姜長云【舊幼學趙文復以述今校位】
五畓二負一束【五刀落只打一石】作者戶金三【舊幼學趙居孝金三今校位】
九十畓一負八束【合一斗落只打一石十三斗】作者戶得龍【舊南命石今校位】
九十四田一負一束上同【舊南命石今校位】
茂屯谷員
㐲十四田三負四束【五斗落只春秋各三斗】作者學福校位
九十二田四束【五刀落只春秋各一斗】作者戶得三【舊幼學南世休得三今校位】
九十三田七負五束【合一石二斗落只春秋各一石五斗】作者三陟【舊幼學吳正燮允杰今校位】
九十四田五負五束
戎二田一負二束
一畓一負四束【三斗落只打二石】作者三陟
十六內田九束【一斗落只春秋各二斗川頉】作者戶得龍【舊幼學趙漢喆得用今校位】
二十五畓三負九束【舊南命石今校位】
二十六畓四負六束【舊幼學趙漢傑斗于今校位】
三十一畓二負六束
三十二畓四束【合五斗落只打五石五斗】作者學福【舊幼學趙漢傑斗干今校位】
三十三畓一負六束
三十四畓二負七束
三十五畓一負七束
三十六畓一負二束
三十二田四束【一斗落只春秋各一斗】作者學福
島村員

羌九十四田三束【合八斗落只春秋各一石九斗內置戊申藏在一石五斗】作者戶得龍【舊南命石今校位】
一百田五負九束上同
一百一田七負二束【八斗落只春秋各一石九斗】作者閔順才【舊閔順才今校位】
遐十五田四負四束【合八斗落只春秋各一石一斗】作者朴辰江【舊幼學琴必華卜卽今校位】
十六田一負三束
榛邱員
木六內田一負【一斗落只貰四戔】作者尾書柳戶校位
八田五束【五刀落只貰一戔】【舊禹丹陽今校位】
門巖員
方四十三畓七負四束【合四斗落只打三石】作者戶得龍校位
四十四畓一負八束上同
四十五畓四負
四十二畓六負【三束二斗落只打一石五斗】作者李江牙之
此二十二畓四負【九束二斗落只打一石】作者南哥校位
已上田五十負一束四石五斗落只打十三石五斗貰二兩五戔
畓五十負六束一石三斗五刀落只打十五石八斗貰四戔
北二下釜谷員
豈一百三十四田二負八束【一斗落只貰五戔】作者戶守文校位
靑二下馬碑員
孝四畓二負二束【川頉一斗落只打十斗】作者姜長云校位
五田二負九束
十田六束【合六斗落只春秋各六戔】作者徐層大校位
十三田一負三束
十四田二束
七十一田三十負六束【一石一斗落只春秋各二石二斗】作者戶順三【舊幼學趙舞復今校位】
七十二田一負三束【一斗五刀落只春秋各三戔】作者戶金學校位
忠七田二負一束【二斗落只春秋各一戔五立】作者元岩校位

八田四束【合二斗落只春秋各二戔五立】作者戶萬石校位
宮墻後田
十四田二負七束【三斗落只春秋各六斗】作者戶申福【舊幼學趙安復申復今校位】
四十四戔七負五束【合一石一斗落只內四斗落只春秋各十二斗四斗落只春秋各八斗在八斗落只貰六兩六戔內三兩五戔戶斗于二兩三戔戶德心八戔私雄漢】作者戶斗干【舊幼學趙漢傑今校位】
四十五田二負五束
四十六田二負二束
四十七田一負五束
四十八田六負三束
四十九田四負七束
五十田六負【八斗落只貰七戔】作者金貴百校位
五十一田十二負六束【合一石六斗落只內十二斗落只春秋各一石九斗七斗落只春秋各一石六斗在二斗落只貰一兩六戔內九戔私得龍七戔私哲孫】作者戶得龍【舊幼學趙漢喆得用今校位】
五十三田六負三束
五十四田二束
五十五田二負三束
五十六田五負七束
五十七田一負二束
五十八田六束
五十二田三負四束
八十七畓八負三束【二斗五刀落只打三石十一斗】作者戶八龍【舊幼學趙漢儒八用今校位】
則一畓十六負一束【五斗落只打五石十斗】作者學福校位
十田八負【六斗落只春秋各十一斗】作者戶金三【舊幼學趙齊復今校位】校位
五十二田三束【三刀落只貰一戔】作者姜長云
六十七田七負四束【七斗落只春秋各七斗內二戔戊申減額在五戔】作者戶巳明朴哲殷
校坪員
五十三畓二負一束【七衣味合三斗落只打四石十二斗】作者元岩校位
五十四畓三負
五十六畓五負四束
五十九畓一負【十二夜味合五斗落只打五石十四斗】作者金貴百校位
六十畓二負五束
六十一畓三負六束
六十二畓二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