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5년부터 1832년까지의 풍기향교(豊基鄕校) 경로안(敬老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795.4721-20140630.Y142190601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작성시기 1795
형태사항 크기: 36.5 X 28.5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현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안내정보

1795년부터 1832년까지의 풍기향교(豊基鄕校) 경로안(敬老案)
을묘년(1795) 4월 12일부터 기록되기 시작하여 임진년(1832) 4월 17일까지 총 9차례에 추록된 경로안이다. 입록된 인물들과 풍기향교에 소장된 여타의 향안 등을 통해서 명확한 연대를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촌사회에 꾸준히 남아있는 성관 및 인물들의 양상을 보여준다. 입록은 성명과 자호, 출생의 순서로 기록하였다. 총 135명이 기록되어 있으며 추록시마다 좌수 1인, 도감 1인, 별감 2인 등이 착명하였다.
『조선후기 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1795년부터 1832년까지의 추록된 문서로 좌수 1인, 도감 1인, 별감 2인이 착명한 풍기지역 경로안
자료의 내용
을묘년(1795) 4월 12일부터 기록되기 시작하여 임진년(1832) 4월 17일까지 총 9차례에 추록된 경로안이다. 입록된 인물들과 풍기향교에 소장된 여타의 향안 등을 통해서 명확한 연대를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촌사회에 꾸준히 남아있는 성관 및 인물들의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입록은 성명과 字號, 출생년의 순서로 기록하였다. 추록되는 과정에 있어 경로안의 인물들의 성명 윗부분에 ‘仚’자를 넣어 당시 생몰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본 문서에는 跋文이나 完議 등의 부기된 사항이 없어 어떠한 성격과 목적을 바탕으로 기록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구분은 어렵다. 다만 대부분의 인물들이 18세기 초반에 작성되어진 향안에 입록된 인물들이 대다수이고, 문서가 작성된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경로안이라는 이름으로 따로 작성된 것으로 보아 풍기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일종의 ‘耆老案’의 성격을 가진 문서로 보인다.
을묘년(1795)에 55명을 시작으로, 병진년(1796), 무오년(1798) 각각 3명, 경신년(1800), 임술년(1802) 각각 10명, 계해년(1803), 신미년(1811) 각각 5명, 기묘년(1819) 8명, 임진년(1832) 36명이 추록되어 총 9차례 135명이 기록되어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향안 등에 나타나는 인적구성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에 보이는 향안의 인적구성을 살펴보면 黃氏와 李氏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반면, 향안에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입록자를 보여왔던, 金, 權, 韓氏를 비롯하여 蔡, 朴, 南, 安씨 등이 일정 수 입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향안에 입록되는 일반적인 향원 입록 기준인 세습과 신분이라는 기준에 의거하였으므로 신분상 하자가 없고, 기존 입록자의 후손으로 자격을 제한하는 보통의 그것이 반영되었을 것인데 대표적 성씨인 황, 이씨의 혈연적 관계가 고령이라는 보편적인 상황에 있어 특수하게 반영되었던 것으로 보여질만한 것은 없으므로, 풍기지역에 평균연령이 보편적이라면 성씨에 상관없이 고령 분포와 성관의 분포는 차이가 없어야 하기 때문에 당시의 풍기지역의 경로안과 일반적 향안의 비교를 통해 재지사족의 또 다른 변화양상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즉, 황, 이씨의 가계가 특별히 평균연령이 현저히 낮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경로안에 있어 두 성관의 비중이 줄어드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추록을 하고나서는 座首 1명, 都監 1명, 別監 2명의 착명을 하여 경로안의 작성 및 관리에 대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료적 가치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의 풍기지역의 연로한 인물들에 대한 별도의 기록을 남긴 문서로서, 입록된 인물들이 기록된 향안과의 비교를 통해서 경로안으로 이어지는 구성원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족들의 풍기지역에서의 정확한 생몰이나 거주양상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조선후기 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5년부터 1832년까지의 풍기향교(豊基鄕校) 경로안(敬老案)
敬老案
丁處重 季叔 癸巳
李興祖 孝叔 丁酉
黃命一 顯(?) 辛丑
李應祉 慶徽 己酉
李輝英 (?)彦 辛丑
安夏範 汝(?) 癸卯
安夏弼 君翊 甲辰
李華英 華(?) 甲辰
琴銓 正則 乙巳
黃壽期 仁老 乙巳
李雲培 叔華 丙午
蔡應洛 道(?) 丙午
南昌夏 時彦 戊申
黃埰 亨汝 己酉
李時鐸 汝聖 庚戌
朴恒耈 老甫 壬子
李元培 子去 癸丑
黃命性 天之 癸丑
黃堡 甫㝎 癸丑
河聖圖 道(?) 甲寅
權大經 天(?) 甲寅
金冑嶷 (??) 乙卯
黃錫三 啓予 乙卯
金萬增 福五 丙辰
黃命正 守之 丁巳
李述祖 (??) 丁巳
韓景愈 退甫 戊午
權重標 天用 戊午
權震來 (??) 己未
黃褒 君最 己未
黃一寧 聖(?) 庚申
金冑弘 伯衍 辛酉
權鼎來 (?)三 辛酉
黃世矩 元(?) 辛酉
李國鉉 台叔 壬戌
李震耈 周老 壬戌
韓景休 直甫 壬戌
朴成咸 復初 壬戌
李孝福 (??) 癸亥
金冑昇 賓(?) 癸亥
南昌久 (??) 癸亥
安瑩 公時 癸亥
李演 士延 癸亥
李德鉉 台仲 癸亥
丁志學 (??) 甲子
黃㙉 子厚 甲子
李萬華 (?)輝 甲子
安灝 游伯 乙丑
蔡命甲 文顯 乙丑
李宗耈 元老 乙丑
李澣 士新 乙丑
安瑬 子執 乙丑
權大來 吉(?) 乙丑
黃裏 汝線 丙寅
黃載淸 (??) 丙寅

乙卯閏四月二十日
座首 南昌久
都監 李孝福
別監 李東億 蔡命赫
李秀芳 遇喜 丁卯
黃壽海 宗(?) 丁卯
金冑恒 汝久 丁卯

丙辰正月二十日
座首 黃壽海
都監 權大經
別監 李東億
蔡命赫
李敏規 叔範 丁卯
黃馨 德甫 己巳
黃世大 顯叔 己巳

戊午四月二十日
座首 朴成咸
都監 南昌久
別監 黃世重
蔡命基
蔡命新 時甫 庚午
張{糸+常}樞 (??) 庚午
金冑翼 (??) 辛未
丁志行 (??) 辛未
李仁英 (??) 辛未
黃世重 (??) 辛未
韓景伯 (??) 辛未
權義時 (??) 辛未
黃玉振 (??) 辛未
李東億 時伯 辛未

庚申五月十三日
座首 安瑩
都監 李演
別監 李仁英
丁志行
秦壽斗 南叟 癸丑
趙重鼎 九之 甲寅
朴泰祥 士吉 甲寅
權是經 正時 丙辰
郭爾訔 (??) 辛酉
李春英 元伯 辛酉
許遠 汝近 壬戌
朴文昌 (??) 乙丑
黃一亨 (??) 癸酉
朴燦五 星老 癸酉

壬戌四月二十四日
座首 安瑬
都監 李東億
別監 朴燦五
蔡命赫
金世燁 汝伯 丙辰
秦壽㝎 邦老 戊午
李潤 汝元 丁卯
金兌燁 汝會 壬申
南明益 士(?) 甲戌

癸亥閏四月二十一日
座首 安瑩
都監 丁志行
別監 李仁英
朴冑慶
李觀英 亨仲 戊寅
洪凞遠 進時 戊寅
李齊虎 (??) 辛巳
朴忻 (??) 辛巳
南昌萬 (??) 壬午

辛未二月初三日
座首 丁志行
都監 安灝
別監 安淑
李敏矩 士範 壬午
黃一振 玉汝 癸未
黃尙鈺 (??) 乙酉
李時馥 光仲 乙酉
郭濂 坐源 戊子
安定極 觀國 己丑
安淑 (??) 庚寅
琴敬心 (??) 庚寅

己卯五月二十日
座首 安淑
都監 李時馥
別監 安潝
黃一河
黃世大 顯時 己巳
秦命增 (??) 己卯
南昌萬 汝一 壬午
黃應緖 述夫 壬午
朴仁耈 義(?) 乙酉
黃尙鈺 子(?) 乙酉
金翼景 敬(?) 丙戌
李鳳翼 (??) 丙戌
權輝玉 (??) 己丑
李斗秀 (??) 庚寅
蔡珩 (??) 庚寅
韓有良 (??) 辛卯
蔡后沆 景黙 壬辰
黃睦 爾和 癸巳
李淶 (??) 癸巳
李泰韻 通甫 癸巳
安潝 亨(?) 癸巳
秦壽河 (??) 癸巳
權垺 由直 甲午
南泰重 子汝 乙未
金徽洛 述(?) 乙未
李時觀 (??) 丙申
李義植 華甫 丙申
黃潤漢 (??) 丁酉
韓得良 (??) 戊戌
朴必成 (??) 戊戌
黃濟漢 (??) 己亥
黃鎭大 (??) 庚子
金時景 大卿 庚子
李觀億 (??) 庚子
金得海 (??) 庚子
黃載大 (??) 辛卯
黃潤九 (??) 壬寅
李時權 汝秀 壬寅
李光朝 (??) 壬寅
李復馨 中甫 壬寅

壬辰四月十七日
座首 權輝玉
都監 李義植
別監 李時觀
李觀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