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2~1864년 경상도(慶尙道) 장기현(長鬐縣) 죽림서원(竹林書院) 심원록(尋院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792.4711-20140630.Y1410308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작성주체 죽림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작성시기 1792
형태사항 크기: 44 X 32
수량: 18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포항 장기향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792~1864년 경상도(慶尙道) 장기현(長鬐縣) 죽림서원(竹林書院) 심원록(尋院錄)
1792년부터 1864년까지 경상도(慶尙道) 장기현(長鬐縣)에 위치한 죽림서원(竹林書院) 방문자의 방명록이다. 현재 죽림서원은 훼철 이후 복구되지 못한 관계로, 본 심원록(尋院錄)은 장기향교(長鬐鄕校)에 소장되어 있다. 당시 죽림서원을 방문했던 인사들은 직접 자신의 성명과 방문 일자를 기재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본관(本貫), 거주지, 동행한 노비와 말, 숙박 여부, 방문 동기, 전직 관직 등을 기재해 놓았다. 모두 242회의 방문 기록이 있으며, 중복 방문을 제외하면 모두 209명의 인사가 방문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방문자 중 거주지가 확인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장기현이 아니라 다른 고을, 특히 한양(漢陽)기호(畿湖) 지방의 인사가 적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수령이었던 장기현감(長鬐縣監)의 방문 기록도 꾸준히 나타나는데, 이는 본 심원록이 고을 내 인사보다는 타 지역 출신 인사들 위주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한편, 죽림서원에 배향된 인사는 송시열(宋時烈)이다. 서인(西人)과 노론(老論)의 영수였던 송시열은 예송논쟁(禮訟論爭)의 패배로 장기현에 유배된 적이 있었다. 그 연고로 장기현죽림서원이 설립되었는데, 송시열을 배향한 관계로 죽림서원영남의 주류 당색인 남인(南人)들 보다는 노론계 인사들의 활동 장소였다. 따라서 심원록에도 적지 않은 노론계 인사가 확인된다. 이는 조선후기 당색(黨色)에 따른 서원의 사회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사례가 된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92년부터 1864년까지 慶尙道 長鬐縣에 위치했었던 竹林書院 방문 인사들의 방명록
竹林書院尋院錄
자료의 내용
1792년부터 1864년까지 慶尙道 長鬐縣에 위치했었던 竹林書院 방문 인사들의 방명록으로, 표제는 ‘竹林書院尋院錄’이다. 방문 인사들의 거주지가 전부 확인되지는 않지만, 장기현 내 인사들 보다는 다른 지역 출신 방문자 위주로 수록되어 있다. 죽림서원은 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에 건립되었으나, 1871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고, 이후 복구되지 못하였다. 본 자료는 長鬐鄕校에 소장되어 있는데, 훼철 이후 향교에 이관된 것으로 생각된다.
심원록은 ‘壬子 閏四月 日’부터 甲子年의 ‘三月 十七日’까지 기재되어 있다. 가장 앞에 수록된 인사가 ‘壬子 閏四月 初七日’에 瞻謁한 縣監 李天晟인데, 이천성장기현감 除授가 1792년 4월인 것으로 보아 최초 작성연대는 1792년이며, 1864년까지 작성된 심원록임을 알 수 있다. 기재 방식은 일정하지 않다. 주로 성명과 본관, 그리고 방문 날짜를 기록해 놓았는데, 자신의 字와 출생 干支, 거주지, 숙박 여부, 瞻謁의 시간, 인솔한 奴와 馬의 숫자, 瞻謁의 동기, 역임한 관직을 기재한 경우도 있다.
심원록에 수록된 인사의 명부 작성 회수는 자료에 결락이 있어 정확히 확인되지 않지만 246회로 추정된다. 이 중 세 군데는 자료의 결락으로 이름이 확인되지 않으며, 한 군데는 의도적으로 이름을 말소한 것이다. 확인되지 않는 네 군데를 제외하고 242회의 방문 기록을 살펴보면, 2회 이상 방문한 자도 다수 발견되는데, 이들의 중복 방문 기록을 제외하면 모두 209명이 방문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이들의 姓貫은 매우 다양하다. 확인되는 성관만 77개인데, 이중 安東權氏 10명, 慶州金氏 8명, 星州李氏 7명, 盆城金氏 6명, 義城金氏 6명, 安東金氏 6명, 仁同張氏 6명, 缶林洪氏 6명, 永川崔氏 5명으로 이들 성관의 방문 비중이 다소 높을 뿐이다. 이는 죽림서원에 타 지역 출신의 방문 인사가 많았음을 반증한다. 실재 심원록에 수록된 인사들 가운데 거주지를 기재한 인사를 살펴보면, 배향자 宋時烈의 고향인 懷德 출신의 인사를 비롯하여 漢陽, 忠州, 洪州, 廣州 등 他道 출신 인사가 확인되며, 道內 인사로는 安東, 義城, 高靈, 漆谷, 順興, 永川, 星州, 陜川, 義興, 寧海, 新寧, 慶州, 大邱, 興海, 淸河, 草溪, 迎日, 密陽 등의 인사가 방문하였다.
현감의 신분으로 방문한 인사는 모두 9명이다. 심원록 가장 앞에 수록된 이천성장기현감의 신분으로 방문하였는데, 노론의 영수였던 송시열을 배향한 관계로 수령들의 관심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심원록의 작성 기간은 일정하지 않다. 심원록 작성은 전반부, 특히 1830년대에 집중되어 있지만, 1840년대 이후 방명록을 기재한 인물은 단 5명만 확인될 뿐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黨色에 따른 서원의 사회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원래 서원은 교육과 교화의 목적으로 지방에 설립된 일종의 사립교육기관이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당쟁의 심화로 각 붕당은 여론의 결집과 지지 세력의 확보를 위해 경쟁적으로 서원을 건립하였고, 이것은 서원의 濫設로 이어지게 된다. 그런 가운데 노론 일파가 권력을 독점하였지만, 영남 1도 만큼은 南人係의 위세가 강하였다. 정권을 장악한 노론 세력은 영남에 노론 세력을 부식하고 남인의 분열을 조장하기 위한 방책으로, 비주류였던 영남의 노론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노론계 서원의 건립이었다. 주요 남인계 가문이 없었던 장기현은 조선시대 유명한 귀양지로 禮訟論爭의 패배로 송시열이 유배생활을 했던 곳이다. 그런 연고를 바탕으로 장기현죽림서원이 건립될 수 있었던 것이며, 죽림서원에 대한 노론계 인사들의 관심도 남달랐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심원록에는 적지 않은 수령의 방문, 한양을 비롯한 畿湖 지방 노론계 인사들의 방문 사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竹林書院1707년 시공되어 이듬해 완공된 서원으로, 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에 건립되었었다. 배향자 宋時烈1675長鬐縣으로 유배를 왔고, 그의 학통에 영향을 받은 지역 유림들이 鄕論을 모아 건립한 서원이다. 처음에는 송시열의 影幀을 봉안한 祠宇로 출발하였다. 경상도의 중요한 老論係 서원이었으나, 1871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된 후, 복구되지 않았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2~1864년 경상도(慶尙道) 장기현(長鬐縣) 죽림서원(竹林書院) 심원록(尋院錄)
竹林書院尋院錄

壬子閏四月日
全義後人縣監李天晟壬子閏四月初七日瞻謁】
恩津後人前佐郞宋徵一壬子二月來配于此邑同年六月蒙宥七月初七日瞻謁】
後學安東權漢玉甲午七月初吉焚▣瞻謁】
後學達成徐配修甲寅九月謫河東十月移配祇謁】
永陽崔達好【好鄕己卯乙巳四月初一日來謁】
縣監黃勉基昌原後人己未八月二十四日瞻謁】
缶林洪景洛
洪景洙
洪景河【居義興

洪漢樑
洪漢雲
洪鳳來庚申四月日來宿】
後學許綢辛酉十二月初十日以新榜司馬祗謁】
縣監迎日鄭禹濟癸亥二月初十日祗謁】
縣監朴宗㯙蔚山後人甲子七月二十八日瞻謁】
縣監權遂花山後人【丁卯正月二十七日瞻謁】
金海後人許繶丁卯七月二十六日來宿祗謁】
後學月城崔道彬【文▣庚辰戊辰十月十八日祗謁
甲子▣▣▣恩▣比▣宇凋殘不勝感▣分來】
【▣▣門楣之重修▣▣▣句】
【▣恩▣日謁廟▣▣宇凋殘淚▣▣何▣】
【▣分新改▣▣文▣▣▣▣▣】
金振玉【▣浦甲申金海後人【忠毅公白村金先生戊辰十月二十日祗謁】
後學海州吳振國己巳七月初三日焚香祗謁】
宋子五代孫欽{土+辰}【而震癸巳己巳七月二十日祗謁居【懷德
縣監具錫夏己巳七月二十六日祗謁】

金海後人許繶【聖典己未辛未正月初四日【來宿祗謁】
後學月城金鴻俊【逸元辛巳辛未八月初十日祗謁【慶州
縣監金應晦壬申正月初八日祗謁】
後學廣州李義輔【賢伯己巳】是年二月十二日祗

後學朴重烈壬申二月十八日祗謁居寧海
安東後人權宜臣【君道丙申】居新寧癸酉三月初一日臺恩謁】
修城後人崔義章
崔昌
崔益乙亥正月二十日來謁居慶州
月城朴性祿【士叔癸巳丙子四月二十七日來宿
典陽李瑞垕【應甫乙巳】居義興
後學安東權益暾【通謙己卯】居新寧五月初六日祗謁
月城李奎章【景五丁亥】居慶州
文化柳爾赫【子隱丁亥】十一月二十八日來宿居大丘
後學烏川鄭元忠【孝兼己酉丁丑五月初三日帶恩祗謁
縣監李漢井慶州後人丁丑五月十三日祗謁】

聞韶金鍊新【士新壬寅丁丑九初五日來宿
後學谷山韓文健【天若乙酉
瑞山柳相翼【公勵壬午戊寅十日月十六日祗謁
後學安東權宗湜【淸之庚辰
谷山韓文儼【聖若丙戌
鰲山白光表【昄遠丙申
利川徐德良【天賚庚辰己卯三月二十一日【因影幀還奉時陪來留宿】
後學固城南錫命【閏四月祗謁】
後學凝川朴乃郁【大汝甲午己卯八月十九日來朝祗謁】
安東金在淳【明汝庚戌庚辰元月二十八祗謁
盆城後人金振玉【鳴甫甲申】【閏三月初九日祗謁居忠州倉私】
仁川蔡德休【義兼己酉】【庚辰三月二十六日留宿過此居興海
聞韶金鳴海【萬輔戊寅庚辰四月二十六日過此祗謁居淸河
高敞吳學黙【希顔丁酉辛巳三月旬過此祗謁居慶州
豊壤趙鎭益【和玉癸巳】八月初二日來宿彦陽以祗謁
烏川鄭汝弼【舜鄕己丑
鄭良弼【殷鄕辛卯
瑞寧柳秉藝【彛順壬寅辛巳九月二十五日此過留宿

月城孫星章【如會甲午
月城崔東謙【君蓋甲午】【壬午三月十七日來宿居慶州祗】
慶州孫相夏
孫相玉
烏川鄭東文同月卄四日來宿
利川徐德良壬午四月十三日▣▣▣
縣監李敏德咸平後人壬午六月十七日祗謁
後學金海後人金振玉【鳴甫甲申癸未六月初七日祗謁
永陽崔東鳴【君翼丙戌】同月二十六日午過祗謁
後學沃川後人全邦命【秀夫癸酉甲申正月二十九日焚香祗謁過
後學沃川後人全翊善【備萬丙辰】同日焚香祗謁而過
達城後人徐有宅【處安甲午】【同日焚香祗謁而過居大丘
晉州河達浩【淸之戊申
永川皇甫業【榮元癸未】三月二十六日過
皇甫極【進賢癸卯
唐城洪錫圭【聖天癸卯
洪淳皓【四叟己丑】同月卄七日過居

晉州河達浩【淸之戊申
星州後人李廷煥【成仲壬午】四月二十二日過次居草溪
李廷恭【百占癸未
花山後人權聖元【君範乙酉
丁志喆
蔡必彦迎日甲申閏七月初四日留宿
金允亨
咸平後人李鎌運密陽甲申十一月二十二日祗謁
縣監安東後人金鎭喆乙酉正月二十七日祗謁
順天朴基直
朴基大【四月初三日留宿祗陽而爲而所滯至五日不▣】
朴基祜【六日發行率奴居大邱▣洞
李光會仁川
張泰敏仁同
崔仁伯永陽人【乙酉四月十九日】
後學軍威朴喆秀【堯叟甲辰】居義興
永陽崔仁峻【汝瞻辛亥乙酉五月
後學安東金養浩乙酉七月初八日祗謁居忠州
後學安東金養浩乙酉十月二十八日祗謁】
後學安東金性浩【同日祗謁居

後學牙城李鎭遠【同日祗謁居忠州
後學昌原▣▣▣【同日祗謁居忠州
晉州柳東運
柳龍漢丙戌四月二十日日留宿祇謁居陜川
安東權福應
星州李應曄
盆城金基柱同日留宿祗謁居星州
仁同張應培
金台應四月十四日午來祗謁
金紀漢
後學安璞文
金鍊玉【居新寧率奴馬八月二日午祗謁】
趙慶學
光山金載鉉【敬之己未】十二月初二日留宿人二馬一
仁同張敏學甲寅聖好】
月城金奎燦【一道癸丑壬辰正月初五日來宿居▣▣
永川辛命旭【▣▣戊午
辛命益【君測庚申】三月十五日來宿
後學延安李正愚【去元辛丑】【壬辰正月五日祗謁居▣▣▣金▣】

李滐春【鳴彦壬戌】居廣州率奴馬同月八日來宿
星州都昇洛
南平文鳳于義興同月十一日來宿
盆城金弼漢
金台應同月午時祗謁
金紀漢
後學安璞文
金鍊玉新寧率奴馬二月二日午祗謁
趙慶學
光山金載鉉【敬之己未】同月初五日留宿率二馬
仁同張敏學甲寅雲好】
月城金奎燦【一道癸丑】三月初十日來宿居興海
辛命旭【▣▣戊午
辛命益【君洌庚申】居永川同月十五日來宿
德山李廷彦
李必中同月二十七日留宿居漆谷
昌寧曺德振
淸州楊東軫
韶聞金以振四月初五日來宿居永川
烏川鄭漢新
昌寧曺一桀
安東金尙玹
漆谷裵琇四月二十日宿居
義城朴斗文
軍威都運恒五月初一日留宿
迎日都燮九

慶州金漢鼎
金漢琥
金時鳴
金應啇
義城金光潑新寧壬寅初吉來宿
鵝洲申顯奎
申冕魯同月初二日來宿居義城
慶州【崔生員南生員】十六日午過
烏川鄭春燮
鄭麟采
水原金績祖同月十七日滯雨留宿
淸州楊龜海
永川皇甫柱【汝固丁亥
皇甫烋【君善乙丑】同月十八日【居慶州午過】
月城金允亨【▣▣庚寅
仁川蔡希祥【德添己亥
錦城丁若昊【聖互壬戌】同月十二日留宿
李宅觀【園賓癸巳】同月二十二日午過居興海
安東權宅和新寧留宿壬寅念六日
箕城黃履五
烏川鄭重黙慶州六月初四日來宿

李聖道六月十三日來宿
英陽南泰坤
月城崔東謹十月二十日宿
義城金鼎魯
陽川崔思遠同月卄五日來宿
星州全光滃高靈
南平文周瀗陜川十月初三日帶路卜來宿
安東權相進安東十一月初六日來宿
礪山宋益來
宋凞秉仁同同月十八日午一率奴馬
月城崔宇門▣山
固城李周漢
達城徐璞淳癸巳正月初四日來宿居義城
仁同張鉉球
完山李憲民癸巳六月初六日居
礪山宋禮凞
聞韶金光鉉安東二月初十日來宿
全州李益三
光山金基潤洪川
盆城金聖行忠州三月初四日滯雨宿二日
李成載
元州金基弘癸巳三月初六日過宿
金澤龍

碧珍李會永
星州李大奎
李光林
李禹圭【同月初十日來宿祗謁下人一名】
文化柳深春
安東權最中
東萊鄭元和
鄭致文同月十八日來宿居
南陽洪運弼
蔚山李光發同月初八日來宿
後學安璞文
金鍊玉新寧率奴馬四月初九日來宿
金紀漢
趙慶學
光山金載鉉四月十二日來宿
後學李鎭遠
仁同張敏學
月城金奎燦四月十七日來宿
後學昌▣…
永川辛命旭
辛命益
星州李元喆同月二十三日有宿
盆城金基柱
安東權福應

竹溪安光宅
安壽慶同月晦日來宿祗謁
光州盧挺璨【繼買癸丑】五月初五日祇謁來宿
安東金烈淳五月二十四日來宿
永川辛命旭
辛命益五月二十五日來宿
星州李應曄
盆城金基柱同月二十七日來宿居星州
仁同張應培
晉州柳東運
柳龍漢六月初八日祗謁
安東權福應
李光會仁川
張忝敏仁同同月十二日祗謁
崔仁伯永陽
蔚山徐有玉七月三十日來宿
星▣金奎瑛同月來宿
月城李東彦九月十九日夕後過
順興金鼎大十月初五日來宿
順天朴基直
朴基大十月初十日來宿
朴基祐

平海丁志喆
蔡必彦十月十三日來宿
金允亨
仁同後學張允範【安▣壬子甲午三月二十日來宿祗謁
南陽洪正黙
迎日鄭基喆四月初六日來宿
漢陽趙紘漢
蔚山金致斗五月過▣
淸風金源善七月初九日來宿食▣▣▣▣▣
先生六代孫平圭乙未二月二十九日祗謁奉蕃
河東盧廷璘七月二十五日留宿【上客一員下人二名】
英陽南致久
烏川鄭增四四月三十日來宿祗謁
交▣▣師一▣…
星山李源▣
全州全宅守丙申三月十七日朝過
後學瑞山柳相翼丙申九月初七日一馬二童來宿祗謁】
後學瑞山柳在後
慶州金麟性戊戌七月二十八日來宿祗謁
懷德宋永秀【士彦戊申】九月十日日宿過下人一名
▣洞閔奎鏞【允秀甲寅

瑞州柳海重【聖▣甲子甲辰八月二十二日祗謁
後學全州人中庠李海禎忠州
■■■■■【■■■■】■■▣…
金海金在建【▣▣▣▣】甲子三月初五日午餐雨去■■
金仲鍊■■■■
東萊鄭彦聖▣▣三月十七日來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