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1년부터 1854년까지 작성된 풍기향교(豊基鄕校) 거재록(居齋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791.4721-20140630.Y142190601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작성시기 1791
형태사항 크기: 33 X 24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현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안내정보

1791년부터 1854년까지 작성된 풍기향교(豊基鄕校) 거재록(居齋錄)
신해년(1791) 11월 11일부터 갑인년(1854) 4월 30일까지 향교에 기거하며 공부한 인명들을 기록한 거재록이다. 문서의 초반부분에 해당되는 18세기 후반에는 보통 한 달마다 작성되어 있는데, 대략 14~17명씩 등재되어 있으나 중, 후반부분에 해당되는 19세기 이후부터는 ‘접록’이라 되어 있고, 보통 7일 전후의 기간 동안, 25명 내외의 인명이 등재되어 있으며 이어 도유사, 별감, 장의, 별유사 등이 기재되어 있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0
『大丘史學』第 26輯, 申正熙,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안동문화연구회, 1991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신해년(1791) 11월 11일부터 갑인년(1854) 4월 30일까지 풍기향교에 기거하며 공부한 인명들을 기록한 거재록
자료의 내용
辛亥년(1791) 11월 11일부터 甲寅년(1854) 4월 30일까지 향교에 기거하며 공부한 인명들을 기록한 居齋錄이다. 속 표지에는 ‘居齋月有司案’이라고 되어 있다. 문서의 초반부분에 해당되는 18세기 후반에는 보통 한 달마다 작성되어 있는데, 대략 14~17명씩 등재되어 있으나 중, 후반부분에 해당되는 19세기 이후부터는 ‘接錄’이라 되어 있고, 보통 7일 전후의 기간 동안, 25명 내외의 인명이 등재되어 있으며 이어 都有司, 別監, 掌議, 別有司 등이 기재되어 있는 형식이다.
신해년(1791) 11월 16명, 동년 12월 14명, 임자년(1792) 6월 17명이 기록되어 있고, 갑술년(1814) 7월 28일부터 8월 4일까지 38명, 기묘년(1819) 3월 30일부터 4월 9일까지 32명, 경진년(1820) 7월 9일부터 동년 동월 15일까지 45명, 신사년(1821) 7월 6일부터 동월 10일까지 30명, 갑신년(1824) 4월 11일부터 동월 15일까지 41명, 정해년(1827) 윤 7월 10일부터 동월 15일까지 24명, 경인년(1830) 7월 1일부터 동월 5일까지 44명, 무술년(1838) 7월 1일부터 동월 5일까지 67명, 계묘년(1843) 6월 7일부터 동월 12일까지 49명, 을사년(1845) 4월 7일부터 동월 12일까지 47명, 갑인년(1854) 4월 30일에 48명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거재에 대한 별도의 기록은 부기되어 있지 않다.
향교에 기거하며 공부했다는 사실만으로 향교의 재정적 상황을 살펴본다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나 거재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당시 향교 운영에 있어 교생들의 학습양식을 단면적으로나마 보여주는 자료로써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다만 향교에 기거한다는 사실을 기록한 문서는 향교운영에 있어 적어도 어느 정도의 재정적 마련이 뒷받침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는 사실을 반증할 수는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향교운영에 있어 재정적 부분을 나타내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는 토지와 노비관련 직접적 문서가 풍기향교에는 남아있지 않은 실정이다. 풍기향교의 운영에 있어서도 토지와 노비가 절대적이었음 당연하다. 그러나 토지와 노비의 획급에 관한 기록들은 향교마다 관리와 경영이 부실하여 견실된 경우가 많았고 풍기향교의 전답과 노비관련 문서도 누실되어 얼마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몇몇의 자료를 통하여 상당한 토지와 노비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토지 경영은 방만하게 운영되었고 결국에는 향교의 유지마저 어렵게 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을 것으로 보인다.
본 문서에 입록된 인물들의 면면을 살피기에는 부기된 사항이 없어 알 수 없으나 문서가 작성될 시점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이후 사회경제적인 변화와 관련하여 향교의 교임과 교생의 신분에 큰 변화가 수반되었고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향교의 財政的인 형편과 관련하여 향교의 補修와 각종 器物의 준비 등을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였는데, 이러한 재원을 확보할 수 없었던 향교에서는 재정확보의 차원에서 良民들로부터 많은 願納錢을 받음으로써 이러한 재정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고 이런 사정에 기인하여 평민층이 향교와의 관계를 맺을 수 있었으며 이것은 점차 이들의 신분상승과 또는 수령의 富民 수탈 등과 관련하여 더욱 보편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 지역마다 童蒙 또는 校生이라는 호칭이 서얼과 양민 子弟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한편, 풍기의 경우에는 서얼에 대한 규제를 상당히 강조하였던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사정이 《鄕校雜錄》의 다음을 통해 잘 볼 수 있다. 〈士林完議〉 동서종사 東西廡 유작 준비에 전과 마찬가지로 木을 납부하면 免役해 주는 例에 따라 1同씩 備納케 하여 願納人을 3, 4명으로 한다. 그러나 서얼은 원납을 허락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양민의 원납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실시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도 향교의 보수와 기물의 수요는 계속되고 있었고, 이때마다 이러한 원납 또한 계속되고 있었다. 앞의 원납인에게는 다만 면역의 혜택만을 허락해 주었던 것으로 보이나 실제에 있어서는 이들을 교생으로 입학시키고 있었다. 〈庚申報狀草〉 중수비용 70냥을 出納한 常漢 金學吉의 아들 尙宗을 西齋校生으로 받아들이자 〈完文〉 김상종의 입학을 허락하고 이후 身役과 雜役을 영구히 勿侵하라. 이상에서 《鄕校雜錄》의 단편적인 자료를 통해서 18~19세기의 향교에 상당수의 양민이 입학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문서가 작성된 시점에서도 이러한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겠다.
풍기향교는 정확하게 언제 건립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으나 원래 任實 서쪽 골짜기에 있었는 것을 周世鵬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692년(중종 37)에 지금 향교가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옮겼다. 향교가 새로이 이건되었으나 지리적으로 습한 지역에 위치하고 人家가 가깝고 번잡다는 논의가 이어지고, 수차례 조정되어 다시금 현재의 자리로 옮기게 되었고 향교의 중수와 크고 작은 수리는 꾸준히 계속되었다. 본 문서가 최종적으로 작성될 시점에는 향교의 건물이 크게 노쇠화 되었던 것으로 보여지는데, 당시의 사정을 수록한 《鄕校重修雜錄》에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1858년의 중수기록을 보면 이 당시의 향교는 大成殿과 東西廡의 벽이 넘어지고 서까래가 빠지는 등 퇴락함이 극심하였다. 이러한 사정에 중수의 논의가 鄕中의 발의로 진행되었고, 향교의 별다른 재원이 없었던 사정에서 관에서 재원을 확보해 줄 것을 요청하는 呈文을 수 차에 걸쳐 本府와 監營에 올렸고 마침내 감영의 최종 결정에 다라 5월 경에 시작된 수리는 8월 경에 완수되었다고 한다. 당시의 役事를 위해 都監과 각 有司는 사족이 맡고, 監官과 色吏 등도 정해졌으며 목수와 개와장 등 30여 명이 동원되었을 정도의 공사임을 감안한다면 거재록과 함께 향교 운영의 일면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자료적 가치
향교에 기거하며 공부했다는 사실만으로 향교의 재정적 상황을 살펴본다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나 거재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당시 향교 운영에 있어 교생들의 학습양식을 단면적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향교운영에 있어 적어도 어느 정도의 재정적 마련이 뒷받침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또한 풍기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각종 잡록 등의 기록과 결부하여 현전하고 있지 않은 사정의 대강을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인 재정적인 측면과, 교생의 인적구성원들의 신분적 변화양상 등에 대한 사정도 밝혀줄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0
『大丘史學』第 26輯, 申正熙,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안동문화연구회, 1991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1년부터 1854년까지 작성된 풍기향교(豊基鄕校) 거재록(居齋錄)
居齋錄
辛亥十一月十一日
居齋月有司案
張緯樞 台應 庚午
黃玉振 華宇 辛未
韓景偓 致伯 甲戌
洪凞遠 進叔 戊寅
黃應綸 邦彦 己卯
羅錫綱 紀兼 辛巳
李逵天 士鴻 壬午
南昌萬 汝一 壬午
朴瑞珩 行玉 甲申
朴慶益 善必 丁亥
黃應紀 公範 丁亥
李栻 敬甫 丁亥
安尙賓 觀國 己丑
權義守 身之 己丑
李濟 濟兼 己丑
李斗秀 士卿 庚寅
右十一月朔
金瑞景 天輝 癸酉
秦鼎和 殷卿 丁丑
黃履大 綏伯 戊寅
柳師鉉 遠伯 己卯
李復華 明夫 壬午
金柱泰 宗之 癸未
黃致大 (?)叔 乙酉
金弘景 通明 乙酉
金緯景 亘而 丙戌
金翼景 壽保 丙戌
李瀅 幼源 戊子
金德景 壽胤 庚寅
黃集大 (?)甫 壬辰
黃得大 仲能 癸巳
右十二月朔
李泳 澄伯 辛巳
金冑喆 汝哲 壬午
李泰馨 文彦 甲申
李觀英 亨彦 庚辰
黃宇鎬 京伯 癸巳
金重景 大休 甲申
柳熽 明仲 乙酉
李最培 美時 庚辰
金徽景 美汝 甲申
黃坫 (??) 乙酉
李守儉 君約 丁亥
黃垾 戊子
黃應緝 (??) 己丑
李慶復 (??) 丙戌
李天耈 (??) 甲午
安宅重 仁(?) 乙亥
黃宇鏜 (??) 己丑
右壬子六月朔
都有司 金冑嶷
掌議 南明復
齋任 黃應緖
別有司 秦鼎和
黃復輝
接錄 七月二十八日記八
月初六日罷
李逵天 士弘 壬午
權重崙 士(?) 壬辰
李淶 (??) 癸巳
李泰億 (??) 癸巳
黃宇鎬 (??) 癸巳
李興淵 輝甫 甲午
黃潤漢 (??) 丁酉
黃宇大 (??) 甲午
金時景 大仲 庚子
李遇正 (??) 庚子
韓遇良 (??) 壬寅
黃潤九 (??) 壬寅
南泰和 (??) 甲午
黃師漢 (??) 丙子
李維正 (??) 丁未
黃沃漢 (??) 丁未
李光世 (??) 丁未
安聖宅 (??) 丁未
黃應紘 (??) 戊申
李秀正 (??) 己酉
金彦福 己酉
李涵 (??) 庚戌
黃潤德 (??) 庚戌
金絳 (??) 庚戌
金彦國 (??) (??)
黃升漢 (??) (??)
李(?) (??) 癸亥
黃濬源 (??) 壬子
南泰一 (??) 癸丑
朴興源 甲寅
秦德獜 甲寅
朴順得 丁巳
李東彬 癸丑
柳喜泰 (??) 丁巳
黃潤璋 丁巳
黃泗源 戊午
黃潤身 戊午
黃樂金 庚申

甲戌八月初四日
都有司 金冑喆 汝喆 壬午
掌議 黃鎭大 (??) 庚子
齋任 權重晉 (??) 壬寅
李時馧 (??) 癸卯
別有司 權輝玉 (??) 己丑
安潝 (??) 癸巳
接錄 三月三十日記
四月初九日罷
權重崙 (??) 壬辰
李興淵 (??) 甲午
黃潤漢 (??) 戊申
黃潤九 (??) 壬寅
南泰和 熙叔 甲辰
李淮 (??) 辛亥
黃升漢 李胤 辛亥
朴聖祥 (??) 庚戌
朴斗元 (??) 丙辰
李東彬 (??) 癸丑
金紓 (??) 丁巳
黃涉大 (??) 丙辰
黃欽大 (??) 壬子
黃鍊大 幼剛 丁巳
趙昇 (??) 丁巳
權世憲 辛仲 乙卯
朴{潝/土} 和甫 甲寅
朴孝祥 百源 戊午
南龍普 魯仲 丙辰
金成運 成之 庚申
權世述 汝述 庚申
朴鉉 (??) 甲寅
李師國 元賓 戊午
朴聖元 善卿 丁巳
黃鱗漢 (??) 戊午
黃運河 (??) 戊午
黃最源 (??) 己未
黃泗源 (??) 己未
黃敎漢 (??) 辛酉
李尙德 辛酉
黃一漢 (??) 甲子
李鐵石 癸亥

己卯四月初九日
都有司 黃應緖 述夫 壬午
掌議 黃鎰 (??) 辛丑
齋任 李涵 (??) 庚戌
安薰 師座 壬子
別有司 蔡如沆 (??) 壬子
黃應紘 爾亘 戊申
接錄 庚辰七月初九日始接于(??)亭
十音(??)
金時景 大卿 辛丑
李遇正 (??) 辛丑
權以儁 辛丑
黃潤九 (??) 壬寅
李光世 汝卿 丁未
黃應紘 (??) 戊申
李長春 (??) 己酉
黃潤德 (??) 庚戌
安宗淵 (??) 庚戌
金光潤 (??) 庚戌
黃升漢 (??) (??)
李淮 (??) (??)
安薰 (??) 壬子
南泰 (??) (??)
朴鉉 (??) 甲寅
朴{潝/土} (??) 甲寅
金彦益 (??) 甲寅
南泰鎭 (??) 丙辰
朴鼎元 (??) 丁巳
李師國 (??) 戊午
李在恒 (??) (??)
朴孝祥 (??) 戊午
黃運河 (??) 戊午
黃鱗漢 (??) 戊午
蔡德潤
郭正彬 士郁 戊午
黃最源 (??) 戊午
黃泗源 (??) 戊午
李尙德 (??) 辛酉
黃敎漢 (??) 癸酉
黃紀漢 (??) 壬戌
郭必厚 (??) 癸未
金行鍊 宜卿 庚申
黃德源 壬戌
黃一漢 甲子
趙翼臣
河龍吉 吉仲 (??)
李復祖 (??)
柳故衡
李哲錫 (??)
柳天衡
黃達龍
朴祖甲
金賢
申栻

庚辰十月十五日
都有司 韓有良 (??) 辛卯
掌議 黃錫大 (??) 辛卯
齋任 金彦器 (??) 戊申
李涵 (??) 庚戌
別有司 黃任大 (??) 癸卯
金彦福 (??) 己酉
接錄 辛巳七月初六日始接于鳴鳳寺初十
(?)接
金時景 大卿 庚子
金觀烈 光奐 (??)
李光世 汝龍 丁未
金彦器 子重 戊申
黃潤德 輝汝 庚戌
李涵 (??) 上仝
安薰 (??) 上仝
李淮 (??) 辛亥
南泰一 萬長 癸丑
金彦益 坐甫 甲寅
朴(?) (??) 甲寅
南泰鎭 魯重 丙辰
黃涉大 (??) 上仝
黃運河 (??) 戊午
黃最源 (??) 己未
李師國 元(?) 上仝
黃泗源 (??) 上仝
黃鱗漢 龍見 戊午
黃敎漢 子承 辛酉
朴致謙 (??) 乙未
黃紀漢 (??) 壬戌
李師錫 (??) 癸亥
黃徹源 明澄 壬戌
朴鼎元 (??) 丁巳
李復泰
趙翼臣
李復祖
李尙德
黃一漢
朴必章 (??) 癸亥

辛巳七月初十日
都有司 李時馣 輝仲 己丑
掌議 黃潤河 (??) 癸卯
齋有司 黃憲大 (??) 丁未
李淮 (??) (??)
別有司 李世權 (??) (??)
南泰和 熙時 甲辰
接錄 四月十一日始十五日因(?)白日(?)
而罷
黃潤德 輝汝 庚戌
南宅九 望則 庚戌
李淮 懿(?) 庚辰
黃升漢 季兄 (??)
安薰 (??) 壬子
朴理 (??) 甲寅
宋一基 (??) 甲寅
南再郁 甲寅
南泰鎭 魯坐 丙辰
安命熙 休彦 丁巳
黃鱗漢 (??) 戊午
李師國 (??) 戊午
黃運河 (??) 戊午
朴性元 (??) 戊午
權衡石 (??) 戊午
李宗澤 善爾 (??)
金慶潝 和甫 戊午
黃最源 (??) 己未
黃泗源 (??) 己未
許渾 (??) 己未
朴成翰 (??) 己未
黃濬孝 (??) 庚申
黃敎漢 (??) 辛酉
金慶錫 (??) 庚申
權重淵 子澄 庚申
李尙愈 (??) 辛丑
黃經漢 (??) 壬戌
黃希榦 元直 壬戌
黃紀漢 子綱 壬戌
李重燁 時甫 壬戌
河龍吉 吉仲 癸亥
權台石 (??) 癸亥
權昌兆 (??) 癸亥
金慶一 (??) 甲子
黃一漢 甲子
柳宜潤 (??) 甲子
黃緯漢 綸甫 乙丑
金相純 (??) 乙丑
朴必章 (??) 癸亥
金必賢
李師錫 (??) 癸亥
甲申四月十五日
都有司 安㝎極
齋有司 黃鍊大
郭正彬
別有司 李時馧
南泰一
接錄 丁亥閏七月初十日始接十(??)
十日罷
黃昇漢 (??) 辛亥
安必誠 (??) 壬子
李周鼎 (??) 丁巳
李師國 (??) (??)
黃鱗漢 (??) 戊子
黃最源 (??) 己未
郭正彬 士郁 己未
李光燦 (??) 己未
黃敎漢 (??) 辛酉
李元郁 辛酉
黃運漢 (??) 壬戌
李師錫 (??) 癸亥
權益弼 (??) 癸亥
河龍吉 吉仲 癸亥
黃一漢 (??) 甲子
琴性道 甲子
金相純 (??) 乙丑
權益達 乙丑
李遂陽 (??) (??)
權思一 (??) (??)
李益彬 (??) 戊辰
李相植 丙寅
權應赫 (??) 己巳
琴興玉 己巳

丁亥閏七月初十日
都有司 金復景
齋有司 黃運河
黃泗源
別有司 黃憲大
黃潤德
接錄 庚寅七月初一日始接于(??)
初五日罷 行得四首
黃潤德 時汝 庚戌
黃昇漢 (??) (??)
安必誠 (??) 壬子
黃志大 (??) 壬子
柳喜泰 (??) 丁巳
李師國 (??) 戊午
權一彪 (??) 己未
權錫龍 (??) 己未
權裕孫 (??) 己未
金相黙 (??) 壬戌
黃徹源 (??) 壬戌
權石度 (??) 壬戌
河龍吉 吉仲 癸亥
黃運漢 (??) 壬戌
李世松 (??) 乙丑
李遂陽 (??) 丙寅
黃昌漢 (??) 丁卯
金晩鍊 (??) 戊辰
張願得 戊辰
李鎭弘 士溫 己巳
具命元 (??) 己巳
黃復源 己巳
權致龍 (??) 己巳
黃碩榦 己巳
金極範 (??) 庚午
李垠 宏仲 庚午
黃瑞源 (??) 辛未
黃濂源 辛未
李慶錫 辛未
南衡度 (??) 辛未
金相舜 (??) 辛未
李師德 辛未
金彦光 壬申
黃起源 (??) 癸酉
黃達源 癸酉
金仲聃 甲戌
黃希文 甲戌
南運度 甲戌
黃巖面 丙子
李師明 壬申
禹俊得 癸酉
黃濬漢 丁丑
李億 乙亥
黃慶孫 丙子

庚寅七月初五日
都有司 權輝玉 錫爾 己丑
掌議 南泰一 (??) 癸丑
齋有司 黃鍊大 幼到 丁巳
黃最源 (??) 己未
別有司 安溍 (??) 辛亥
黃泗源 (??) 己未
接錄 戊戌七月初一日始接于本(??)
罷(?)得四首
李師錫
黃復源
李宗範
黃尙鐸
金彦光
權石度
黃達源
黃中吉
黃延漢
黃耆漢
黃迪源
李宗鐸
黃夏源
黃霖漢
黃蓍漢
黃中謹
朴履謙
朴亨仁
李宗純
呂光東
呂光勛
呂善一
權相潑
裴憲朝
李鎭弘
黃碩榦
朴瑾
安必恭
李鎭斗
金獜慶
朴健元
朴統元
朴素吉
黃元漢
黃季漢
金熙文
金熙命
金文載
李師善
李師憲
柳祖應
丁載一
丁載赫
丁若嵗
朴周元
金絓
黃濬漢
金碩東
黃瑞漢
黃應漢
李師梅
呂光華
權應鏻
權必顯
呂光補
權必俊
柳爋
柳(?)
朴濟寧
秦浤
安應成
黃彬漢
黃寀漢
安命俊
黃逵漢
黃興昌
黃宗榦

戊戌七月初五日
都有司 黃應玄
掌議 黃泗源
齋有司 李垠
黃學榦
別有司 朴理
河龍德
壬寅接錄載郁陽接錄
柳相虎
黃尙鐸
黃起源
李垠
李師憲
南應度
朴履謙
黃中吉
黃中謹
黃耆漢
黃霖漢
朴處仁
黃迪源
李建彬
朴陞圭
金奎鍊
黃蓍漢
黃中敬
黃彬漢
黃寀漢
李用中
南順度
黃宗榦
金思軾
蔡周翰
李晦淳
丁若(?)
李象熙
黃章漢
丁若(?)
丁若暠
朴弘圭
朴素吉
黃儀漢
黃興昌
朴祖謙
李用正
安潤邦
蔡德普
黃潤瑞
李一純
黃龍潭
黃達慶
李達俊
柳學潤
黃國榦
李宗植
朴虎吉
琴興逸

癸卯六月初七日 開接十二日
罷校院合(?)
都有司 黃憲大
齋任 李宗範
別有司 李師錫
韓德峻
郁陽院長 黃潤九
齋任 韓德元
黃復源
別有司 黃潤源
郭必厚
接錄
李宗範
金彦光
李垠
黃復源
李師憲
朴履謙
李用中
蔡周翰
朴迺謙
朴素吉
金奎鍊
黃一憲
黃迪源
黃國榦
李一純
李建彬
黃潤瑞
黃宗榦
黃霖漢
黃蓍漢
黃柱漢
黃彬漢
黃寀漢
黃心漢
鄭啇濟
鄭來周
鄭汝濟
李改爕
黃章漢
成得魯
成奎魯
朴處仁
李用正
韓伯孫
金永億
韓達孫
金望快
李光宙
河(?)範
黃元得
黃千石
黃堅石
黃鍊石
金震鍊
南喜達
黃啇宲
黃彛宲

乙巳四月初七日 校院合接至十二

都有司 黃最源
齋任 黃達源
安必欽
別有司 黃學榦
南應度
愚谷書院 別有司
金龍正
李鼎錫
朴周元
河必淸
黃履漢
黃栻漢
李用中
金思黙
蔡德沂
韓永根
金樂奐
金樂惇
金文昌
張心矩
李志晦
權若訥
黃快(?)
黃嶺興
黃潤道
黃采鱗
李象熙
柳養根
李光裕
黃秀漢
黃楨漢
黃中呂
李勉行
徐幹周
鄭必達
鄭必瓚
李吾淳
金榮昭
裵相弼
余鍾暹
李光垂
朴龜洛
黃學石
黃允文
李世熙
柳棟
金應範
南致度
南孝肯
李汝祥
黃柱漢
黃楗漢
韓千孫
安元範
徐承烈
朴明元
甲寅四月三十日 都有司 韓德鳳
掌議 李後淳
齋任 黃敏榦
別任 黃潤千
安必欽
郁陽院長 南泰鎭
齋任 金孝源
黃心源
別任 李宗範
河必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