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0년에 작성된 풍기향안(豊基鄕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790.4721-20140630.Y14219050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작성시기 1790
형태사항 크기: 24 X 32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현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안내정보

1790년에 작성된 풍기향안(豊基鄕案)
1790년 5월 2일에 작성되어 117명의 인명이 입록되었고, 문서말미에 1명을 추록하였다. 당시의 향임으로 좌수 1인과 반수 1이 명기되어 있다. 당시 풍기지역의 향중사류들의 명부로서 총 118명의 인명과 그들의 생년간지 및 자호 등이 기록되어 있다. 향안이라는 제명과 함께 ‘봉성교통록향안복안’이라고 되어 있어 서얼허통과 더불어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입록자 118명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李氏 25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황씨 24명, 권씨 16명, 김씨 14명, 진씨 7명, 채씨 5명, 남씨, 안씨 각 4명, 손·금·박·한씨가 각 2명, 최·임·홍·나·조·전·여·정·곽·류씨가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大丘史學』第 26輯, 申正熙,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1790년에 작성된 풍기향안으로 당시 지역의 향중사류 118명의 인명과 생년간지 및 자호 등이 기록되어 있음
자료의 내용
1790년에 작성되고 풍기향교에서 소장 중인 풍기지역 鄕案이다. 당시 풍기지역의 향중사류들의 명부로서 총 118명의 인명과 그들의 생년간지 및 字號 등이 기록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기입되었던 본관이나 직임 및 관직, 가족관계 등에 관한 사항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향안은 조선시대 지방자치 행정기구라 할 수 있는 유향소의 구성원 명단을 일컫는 것이다. 조선시대 각 고을의 유력한 양반들은 유향소를 중심으로 자치규약을 제정하고, 수령이 있는 관청과 협조 또는 견제해가며 자신들과 고을의 이익을 반영해 나갔다. 아울러 그들만의 명부를 작성하였는데 이를 향안이라 하였다. 즉, 유향소 운영에 참여하고 향안에 입록되었다는 것은 해당 고을의 유력한 사족임을 표방하는 것이기에, 조선시대 양반들은 향안 작성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본 향안도 이러한 의도로 제작된 것으로 庚戌(1790)년 5월 2일에 작성되어 117명의 인명이 입록되었고, 문서말미에 1명을 추록하였다. 당시의 향임으로 座首 1인과 班首 1이 명기되어 있다.
지역적으로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17세기 중엽까지의 향안 입록은 재지사족들의 공론에 의해 이루어지는 추세였다. 풍기의 향안도 그러한 엄격한 자격조건 하에 사족들의 공론에 의해 작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17세기 후반부터 향권을 둘러싼 사족들 간의 갈등, 향안 입록을 요구하는 新鄕과 舊鄕의 갈등 등 복잡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여 공론에 의한 향안 입록은 쉽지 않게 되었다. 이는 곧 향안 입록의 파행, 또는 기 입록자의 削名 등의 현상도 나타났다. 풍기 향안도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로 향안 입록의 자격과 입록 절차 등에 있어 일정부분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명확하게 밝히고 있는 기록이 없어 추정만이 가능할 뿐이다.
본 문서 처음부분에는 향안이라는 제명과 함께 ‘奉聖敎通錄鄕案復案’이라고 되어 있어 서얼허통과 더불어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본 향안의 좌목은 풍기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여타의 향안과는 다르게 관직 및 직역이나 兵種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입록자의 성명을 기재하고 그 아래에 생년간지 및 자호를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입록자 118명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李氏 25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黃氏 24명, 權氏 16명, 金氏 14명, 秦氏 7명, 蔡氏 5명, 南氏, 安氏 각 4명, 孫·琴·朴·韓氏가 각 2명, 崔·林·洪·羅·趙·全·余·丁·郭·柳氏가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입록된 이들의 성관을 파악할 수는 없으나 기존 풍기지역의 토성인 鄭, 安, 皮, 邦, 陰, 秦, 辛, 吳, 朴, 金, 申의 수보다 타 고을에서 이주한 성관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풍기지역의 토성 중 중앙정계로 상경종사한 안씨와 진씨는 재경관인과의 통혼권을 확대함으로써 왕조교체기와 선초의 격변기에 이들 사족을 풍기지역으로 견인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풍기지역으로 이주한 성씨가 바로 많은 수를 차지한 황씨, 권씨, 김씨, 안씨이다.
이들 성씨는 일찍부터 유향소를 조직하여 토성이족을 대신하여 향촌질서를 재편하였고 18세기 말까지도 주도권은 그들에게 있었던 양상이 본 문서에 그대로 투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자료적 가치
1790년에 작성되고 풍기향교에서 소장 중인 풍기지역 鄕案으로 당시 풍기지역의 향중사류들의 명부 총 118명의 인명과 그들의 생년간지 및 字號 등이 기록되어 있다. 향안이라는 제명과 함께 ‘奉聖敎通錄鄕案復案’이라고 되어 있어 서얼허통과 더불어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풍기지역의 토성 중 중앙으로 진출한 사족으로 인해 통혼권 등이 확대되어 풍기지역으로 이주한 유력 성씨 중심으로 향촌질서를 이끌어 나갔다. 향안은 조선시대 자치행정기구인 유향소의 구성원 명단으로 조선시대 재지사족들은 향안을 폐쇄적, 배타적으로 운영하며 향안을 통해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를 확고히 해나갔다. 본 문서의 경우 18세기후반의 풍기지역의 재지사족의 동향변화와 향안 작성의 양상변화를 뚜렷이 보여줄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大丘史學』第 26輯, 申正熙,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0년에 작성된 풍기향안(豊基鄕案)
鄕案

聖敎通錄鄕案復榜
權命世 癸巳 聖甫
李泰慶 甲午 通叔
權以雄 戊戌 子豪
權德崇 戊戌 尙(?)
金寶信 辛丑 實之
權命河 辛丑 信甫
黃命純 壬寅 亨叔
南鎭六 壬寅 君儉
黃命九 壬寅 國老
李時正 癸卯 晦汝
孫仁大 甲辰 義叔
秦達增 乙巳 季三
秦逸增 乙巳 平仲
金光洛 丙午 述之
權以進 丙午 進汝
崔光宇 丙午 光甫
李光瑞 丙午 汝慶
黃錫圭 丁未 玄範
琴性沆 丁未 君重
金晉東 丁未 秋伯
黃運海 戊申 汝益
金復洛 己酉 成之
黃順大 己酉 宣仲
李德洙 己酉 汝潤
朴必俊 庚戌 子哲
黃一澈 庚戌 澈卿
權進正 辛亥 聖則
秦相夏 辛亥 益甫
秦惟一 壬子 (?)會
孫復筍 壬子 祖述
李翰國 癸丑 士彦
權師儁 癸丑 士英
黃緯漢 甲寅 任叔
南慶龍 甲寅 雲澤
安雲駿 甲寅 龍卿
金永源 甲寅 大之
林重秀 甲寅 子實
李光德 甲寅 汝潤
黃最大 甲寅 君仲
黃{必/玉} 乙卯 得仲
秦祥麟 乙卯 聖瑞
金就鍊 丙辰 唯龍
李廷鳳 丙辰 儀瑞
權進規 丙辰 順則
蔡時沆 丁巳 又黙
權師閔 丁巳 季聞
秦學增 丁巳 習之
權震復 戊午
金克景 戊午 錦甫
金重鍊 戊午 益(?)
安胤祖 戊午 述之
李時元 戊午 善長
黃約大 戊午 守汝
洪檥 戊午 粹汝
黃重大 戊午 直仲
金彦奭 己未 福伯
南龍澤 己未 以雲
蔡得沆 己未 重黙
黃垞 庚申 (?)卿
羅益洙 庚申 益甫
黃鱗大 庚申 雲澤
安必復 庚申 天心
趙顯東 庚申 大鳴
全光運 庚申 文叔
琴載絃 辛丑 汝若
丁澤祖 辛丑 季霖
李廷麟 辛丑 魯瑞
黃昌再 辛丑 汝潤
權必經 辛丑 經兼
李壤 壬戌 平仲
金碩烈 壬戌 俁仲
李元圭 壬戌 (?)伯
黃以大 壬戌 (?)之
李成榟 壬戌 (?)之
李熙純 壬戌 孝側
李羽龍 壬戌 (?)瑞
權一經 癸亥 道仲
秦玉秋 癸亥 仁則
金璞源 癸亥 琢之
李鼎錫 甲子 象三
余胤爕 甲子 和汝
郭師龍 甲子 文側
李光益 乙丑 道三
黃配大 乙丑 (?)彬
黃禹警 乙丑 責甫
黃安大 乙丑 士益
黃寔大 乙丑 士則
金必赫 丙寅 光(?)
權相亨 丙寅
李復陽 丁卯 道翁
韓德亨 戊辰 嘉仲
權從厚 戊辰 元龍
蔡德淵 戊辰 改龍
韓德峻 戊辰 道瞻
金思玉 戊辰 汝賢
柳尙潤 戊辰 幼澤
金璞烈 己巳 五汝
李遇陽 己巳 亨伯
黃碩榦 己巳 子直
李時馝 己巳 文彦
權應赫 己巳 昌龍
蔡德溥 庚午 (?)(?)
李垠 庚午 (?)仲
李昌純 庚午 文則
李應秀 庚午 汝寶
李宗範 庚午 箕伯
南衡度 辛未 甫玉
李師正 壬申 君範
黃達源 癸丑 子上
李光蓂 壬申 堯瑞
安必謹 癸丑 師仲
黃昭漢 乙亥
黃中吉 丙子 元美
黃中謹 丙子 敬用
蔡德晉 丙子 (?)甫
朴瑞萬 丙子 (?)之
權載厚 丙子 景興

庚戌五月初二日
因(?)官題音及鄕 老跋
尾復甲午
座首 蔡如沆
班首 金時景

權正功 甲寅 養汝

卽日追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