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8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교안(校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786.4776-20140630.Y14113022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영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양군
작성시기 1786
형태사항 크기: 35.5 X 23
수량: 7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양 영양향교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도계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78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교안(校案)
1786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에서 작성한 교안(校案)이다. 교안은 향교에 입학해 있는 일종의 학생 명부이다. 보통 지역을 대표하는 재지사족의 자제들이 교안에 수록되어 있었지만, 조선후기로 접어들게 되면 점차 성격의 변화가 나타난다. 피역(避役)이나 신분 상승을 도모하기 위해 사족 이하의 계층이 교안에 등록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로 인해 기존의 사족들은 교안에서 이탈하여 청금록(靑衿錄)과 유안(儒案) 같은 별도의 명부를 작성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본 교안은 18세기 후반의 것이지만 다른 향교의 청금록이나 유안과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영양향교영양현이 독립되는 17세기 후반에서야 건립되었기에, 아직 교안에서 신분적인 문제가 적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교안에 수록된 인사들의 현황을 파악하면, 당시 영양현에 분포하고 있던 재지사족들의 존재 양상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교안에서 확인되는 교생은 모두 143명인데, 교생의 성씨 가운데 두 자리 이상을 입학시킨 성씨로는 김씨(金氏) 26명, 오씨(吳氏) 24명, 이씨(李氏) 14명, 안씨(安氏) 13명, 구씨(具氏) 10명, 남씨(南氏) 10명, 조씨(趙氏) 10명으로 나타난다. 입학 비중이 높은 성씨들의 성관(姓貫)은 영양김씨(英陽金氏), 함양오씨(咸陽吳氏), 재령이씨(載寧李氏), 순흥안씨(順興安氏), 능성구씨(綾城具氏), 영양남씨(英陽南氏), 한양조씨(漢陽趙氏) 등으로, 이들 가문이 18세기 후반 영양향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여론을 주도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86慶尙道 英陽縣 소재 英陽鄕校에 소속되어 있던 校生 143명의 명부
校案 英陽鄕校 丙午三月日
자료의 내용
1786慶尙道 英陽縣 英陽鄕校 소속 校生의 명부이다. 향교 소속 교생의 명부를 校案이라 하는데, 본 교안에는 모두 143명을 수록해 놓았다. 기재 방식은 성명을 먼저 기재하고 그 아래에 해당 인물의 출생 干支를 세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문서의 기입 형태를 보아 143명이 일시에 기재된 것은 아닌 듯하다. 1786년 3월 처음 교안이 작성되었고, 그 이후 어느 시점에 몇몇 교생을 추가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시기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고 있다. 또한 교생 143명 이외에도 削籍 흔적이 열두 군데서 확인된다. 이들은 후대에 어떠한 사유로 교안에서 제외된 교생들이다.
한편, 수록된 143명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金氏 26명, 吳氏 24명, 李氏 14명, 安氏 13명, 具氏 10명, 南氏 10명, 趙氏 10명, 鄭氏 6명, 白氏 5명, 孫氏 5명, 琴氏 4명, 申氏 4명, 朱氏 4명, 權氏 2명, 朴氏 2명, 禹氏 2명, 尹氏 1명, 洪氏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자료적 가치
18세기 경상도 영양현 재지사족들의 동향과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시대 사족들은 이른바 三案이라 하여, 향교의 校案, 鄕廳의 鄕案, 書院의 院案 입록을 매개로 향촌 사회를 주도해 나갔었다. 시기 별로 차이는 있지만 해당 명부에 다수를 입록시켰다는 것은 지역 내 대표적인 사족 가문임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본 교안에서는 金氏, 吳氏, 李氏, 安氏, 具氏, 南氏, 趙氏 등의 비중이 특히 높은데 姓貫을 살펴보면 英陽金氏, 咸陽吳氏, 載寧李氏, 順興安氏, 綾城具氏, 英陽南氏, 漢陽趙氏로 나타난다. 이들 가문은 17세기 후반 영양현이 독립되고 향교가 건립된 이후, 향교를 중심으로 향촌 사회의 여론을 주도했던 가문들이다.
한편, 향교 교생의 명부인 교안은 시기별로, 또는 지역별로 성격 차이가 있다. 조선후기로 접어들게 되면 避役과 신분 상승의 목적으로 사족 이하의 계층들이 향교의 교생으로 입학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로 인해 기존의 사족들은 東齋와 西齋 교생의 구분, 額內와 額外 교생의 구분, 또는 교안에서 이탈하여 靑衿錄이나 儒案과 같은 별도의 교안을 작성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18세기까지 영양향교의 교안은 전통적인 사족 입학생 명부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영양향교가 건립된 지 불과 100여년 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교안 작성 시 신분적 문제가 다른 고을에 비해 적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86년 경상도(慶尙道) 영양현(英陽縣) 영양향교(英陽鄕校) 교안(校案)
校案英陽鄕校丙午三月日

金玉輝壬辰
金道輝壬辰
金以鐸丁酉
安祥馹庚子
具聖和壬寅
趙重五壬寅
吳聖臣
吳運泰
權鳳翔
吳尙海丁未
吳命耈
具世亨甲辰
南貞吉乙巳
南啓萬庚申
金道重甲辰
孫景濂丙午
孫景淵丁未
安祥駿戊申

吳伯欽
金就礪丙午
白應絢戊申
■■■【壬戌
■■■【庚申
■■■【壬申
■■■【庚申
朴希泌庚申
吳光國丙子
鄭錫命己亥
李逢春乙巳
李成春壬子
吳楨國戊寅
吳壽龜丙辰
吳聖民壬戌
吳仲欽己未
吳季欽癸亥
吳錫欽甲子
吳孟欽戊辰

李繼孝辛丑
李澈孝庚戌
李光新丙辰
李光斗丙寅
■■■
■■■【甲戌
白思絢辛亥
白肇絢癸丑
禹相舜
金仁宅乙巳
趙復采丙午
■■■【壬子
南致萬癸丑
南之萬丙辰
南規萬癸亥
朴時興
趙休道
李在龍庚戌
■■■
申羲錫
安祥駉庚申
安尙天丙子
安吉元庚申
安吉亨癸丑

安吉利乙卯
安吉貞丁巳
安思穆壬戌
安思默乙丑
安思訥戊辰
安思植己卯
安祥駜
白昇絢乙卯
白履郁癸酉
禹師儉丁卯
金載輝己丑
金箕輝乙巳
金成九戊午
金範九癸亥
金遂良庚戌
南鎭箕丙辰
南爾召甲子
南爾鐸庚子
金爾達戊午
■■■【癸酉
■■■【壬申
■■■【戊辰
■■■【己巳
金聖奎乙卯

金聖煥庚申
金景泰戊午
金佑東
洪羲錫庚戌
金鼎兌癸丑
金鼎大己未
申相周丙辰
李維道甲子
李時華戊午
李維泰丙寅
李維大庚申
金光鍊乙卯
金宗恊甲子
吳仲浩乙卯
吳全浩癸丑
吳達浩甲子
吳載浩丁卯
吳孟浩丁卯
吳德浩辛亥
吳相斗【▣▣】
吳相漢甲子
吳相翼壬申
吳祐大庚戌
吳復元己酉

金鳴大壬子
金源文己巳
具聖文戊申
具聖浩癸丑
具聖元庚申
具聖澤乙丑
具聖中庚午
金致聲己酉
具天柱甲子
具宅柱甲戌
南道衡壬戌
具師顔己酉
南成萬庚午
琴大咸戊申
琴必咸甲寅
琴達咸乙丑
權萬英己亥
趙連圭己酉
趙觀▣【▣▣】
孫景觀乙丑
孫以謨己未
孫以通壬戌
金澤範甲子

李鎭泰壬戌
李鎭箕戊辰
鄭錫亨乙巳
鄭載文己未
趙國奎丁未
尹思逈戊申
朱任夏己亥
琴德夏
鄭聖欽
鄭仁欽
李暻
金應鎬
金暘東
趙宜道
趙正道
趙居哲
趙龍錫
鄭光萬
朱瑱己丑
朱瓘癸卯
申重鍵
申孝悌

朱道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