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1년에 작성된 면분류(面分類)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751.4721-20140630.Y14219060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작성시기 1751
형태사항 크기: 26 X 19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현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안내정보

1751년에 작성된 면분류(面分類)
1751년에 작성된 면분류로 입록되어 있는 인물들의 양상이나 풍기향교에 소장된 여타의 고문서 중 향안이나 교생안, 선생안 등과 중첩되는 인물들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것은 향안과 같은 성격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뿐만 아니라 기재 형식 등을 통해서도 향안의 내용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풍기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총 6개 지역 123명의 향원을 인명과 자호, 생년간지를 연령순으로 기록하고 있는 양식으로 작성되었다.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0
『大丘史學』第 26輯, 申正熙,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안동문화연구회, 1991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신미년(1751)에 작성된 면분류로 풍기지역을 면별로 나누어 향안의 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인명과 자호, 생년간지를 순서대로 기입하고 있음
자료의 내용
1751년에 작성된 面分類로 입록되어 있는 인물들의 양상이나 풍기향교에 소장된 여타의 고문서 중 향안이나 교생안, 선생안 등과 중첩되는 인물들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것은 향안과 같은 성격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뿐만 아니라 기재 형식 등을 통해서도 향안의 내용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향안이란 그 지방에 있는 유력인사들을 選錄한 것을 말한다. 재지지주로서 강한 토호적 성격을 띄게 되는 이들은 재지사족, 혹은 土姓兩班들로서 一鄕의 기강확립과 민속 교화를 담당하는 세족으로 발전해 나갔는데 ‘세족’이란 문벌과 地閥을 갖춘 사족이란 의미로, 여기에는 토성에서 상경종사하였다가 낙향한 가문, 토성에서 재지사족으로 성장한 가문, 타지역 출신으로 이주하여 벼슬, 학문, 덕행을 갖춘 가문들로서 이들이 바로 향안에 입록될 수 있는 계층들이었다.
본 문서가 작성된 1751년경의 풍기지역을 주도하였던 인물들을 중심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향록에 기록된 것은 이름과 字號, 생년간지뿐이라 작성의 이유나 배경 등에 관한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당시 향안 작성의 형식의 틀이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아 향원의 명부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작성하고자 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하겠다. 이보다 앞서 작성된 여타의 시향록과 마찬가지로 풍기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총 6개 지역 123명의 향원을 인명과 자호, 생년간지를 연령순으로 기록하고 있는 양식으로 작성되었다. 앞선 시향록의 경우 풍기지역을 12개로 나누었으나 본 문서 작성 이후 그 지역이 6~10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나 그러한 것에 어떠한 배경이 작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가장 많은 입록자가 있는 지역은 西部지역으로 37명이 등재되어 있고, 이어 奴佐里, 東村, 牲峴 순이다. 내죽, 대평, 부석, 도간, 동원, 대룡산이 빠져있다. 기록되어 있는 지역만을 보면 1740년의 기록보다 12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기록되지 않은 지역이 있어 재지사족의 변화양상을 단편적으로나마 살펴볼 수도 없다고 하겠다.
자료적 가치
1751년인 18세기 중반에 작성된 문서로 향안과 같은 양식으로 작성되었는데, 지역별로 구분하여 향원의 인명과 기초사항을 기록한 것으로 풍기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여타의 면분류 형식의 문서와 비교하여 시기별로 향안 입록자의 추이와 풍기지역 내에서의 재지사족의 거주양상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겠다. 뿐만 아니라 면분류로 작성된 총 8건의 문서가 대부분 18세기 초, 중반에 집중되어 있어 짧은 기간이지만 비교적 상세히 입록자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0
『大丘史學』第 26輯, 申正熙,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안동문화연구회, 1991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51년에 작성된 면분류(面分類)
面分類
西部
安世勳 兄卿
李挺漢 子章 壬戌
朴施春 英伯 己巳
郭相李 唐卿 己巳
黃海翊 子擧 壬申
黃龍漢 天游 壬●
黃璐 汝玉 壬申
郭輝烈 宗休
黃雲祥 伯休
黃雲慶 仲休 己卯
黃處正 幼直 己卯
郭徽世 宗弼 己卯
黃璨 羔玉 己卯
黃瓘 瑩叔 辛巳
黃處信 景中 壬午
黃處仁 智卿 癸未
黃(?) 季玉 癸未
黃命耈 國老 己丑
黃道一 景行 丙戌
黃處謙 君益 庚寅
黃雲翼 鵬擧 辛卯
黃道三 爾能 壬辰
黃道密 九萬 壬辰
黃處智 仁卿
黃處厚 載叔 甲午
朴震夔 翊舜 丁酉
黃命龍 舜卿 戊戌
朴震虎 翊周 戊戌
黃處一 誠仲 己亥
李翊祥 慶來 庚子
安文石 士彬 庚子
黃道五 達甫 甲辰
黃夏振 漢卿 甲辰
琴銓 正則 乙巳
黃垶 章叔 丙午
黃埰 享汝 己酉
黃堡 爾完 癸丑
三十七員
東村
朴興先 孝述
金堯相 志遠 癸亥
南增善 優仲
朴興後 克述
權圾 㝎汝 丁丑
權用銓 平若 丁丑
李堬 爾遠 己卯
金鳴一 幼淵 庚戌
朴以素 文謙 壬辰
朴商雨 施仲 丁酉
南斗維 天極 丁丑
黃道明 汝行 戊戌
黃{玉+爕} 華玉 戊戌
黃道行 汝明 辛丑
十三員
奴佐里
李兄新
韓忠彦 而怒 甲寅
韓明彦 晦卿 己丑
蔡元耈 道章 戊辰
安晩珪 士輝
蔡方疇 會兄 戊辰
丁春燾 景壽 辛未
蔡亨耈 用九 丙子
李世維 爾張 己卯
李慶翊 善兼 庚辰
朴道行 敬夫 壬午
李設霖 設萬 甲申
朴履章 華伯 辛卯
黃壽星 南老
韓箕錫 錫(?) 癸巳
李燦英 輝卿 丙申
金聖三 承叔 丁酉
蔡應海 萬濟 己亥
金重三 德叟 庚子
蔡種億 子昌 辛丑
蔡夏祥 而錫 癸卯
安夏範 汝錫 癸卯
黃壽猉 仁老 乙巳
李雲培 丙子
蔡夏錫 汝祥 庚戌
朴弘耈 耆土 壬子
二十六員
殷豊
李鐄 器仲
權斗相 士齊 丁卯
蔡文疇 洛瑞 甲戌
金斗樞 子(?) 癸未
金萬甲 秀五 戊戌
金萬秀 成五 癸卯
金萬宣
金萬全
金冑衍 伯昌
金冑元 仲昌
十員
合百二十三員
辛未十月日
金漢相 公弼 壬辰
金振一 宣伯 甲午
朴以儉 孝兼 甲午
李塼 華卿 乙未
柳宗開 仲塗 己亥
李宣鐸 爾行 癸卯
權景濂 濂叟 癸卯
李孟鐸 汝道 甲辰
李行鐸 汝宣 丙午
權有銓 平叔 戊申
權景淹 文仲 辛(?)
李時鐸 汝聖 辛亥
二十一員
(?)峴
李亨達 泰遠 丙寅
李應瑞 慶餘
安晩球 士精 己卯
黃世烈 丕承 庚辰
黃世燾 仁甫
李惟達 時贊 辛巳
李壽翊 仁濂
李應禧 慶萬 己丑
黃世黯 近之
李承祖 孝兼 辛卯
李應祐 慶徵 壬辰
李興祖 孝叔 丁酉
李輝英 華彦 辛丑
黃壽聃 老玄
李華英 華兼 癸卯
安夏弼 君益 甲辰
十六員
臥龍洞
黃立正 士直
黃立誠 誠之 丙子
南斗平 天衡 己丑
朴齊閔 孝彦 庚寅
朴潤雨 施伯 庚寅
南斗潤 州(?) 壬辰
河羲圖 叔祥 丙申
南斗元 天(?) 乙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