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7년부터 1724년까지 순흥향교에서 거행되는 춘추 제향시 직임들의 명부를 기록한 집사안
자료의 내용
丁酉년(1717) 享祀부터 甲辰년(1724) 釋奠時까지 향교에서 거행된 제향의식 때의 임원의 명부를 기록한 집사안이다. 서두에 ‘己亥六月十五日改’라고 기입되어 있어 한번의 改修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보인다. 순흥향교의 집사안은 순흥이 府로 복설되고 바로 향교가 다시 건립되던 1685년부터 작성되었다. 현전하는 집사안은 본 문서를 포함하여 총 3건인데, 이 문서는 그 중 가장 나중의 것으로 ‘天’, ‘地’, ‘人’으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나눠 개수한 것 중 ‘人’에 해당되는 문서이다. 다른 집사안과 마찬가지로 初獻官, 亞獻官, 終獻官, 分獻官, 大祝, 都執禮, 贊者, 東唱, 西唱, 謁者, 賛引, 奉香, 奉爐, 奉爵, 奠爵, 司尊과 동서무의 奉香, 奉爐, 奉爵, 奠爵, 司尊, 都陳設, 滌器, 陳設, 司牲, 文外贊者, 學生 등의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향사에 임무 부여된 인원은 적게는 약 40여 명에서 많게는 90명을 넘어서지 않는 것으로 보아 향교정원의 대부분이 각자의 직무를 맡아 제향의식을 거행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조는 주자학을 지도이념으로 삼고 중앙에는 성균관·四學, 지방에는 鄕校를 통해 관학을 크게 장려하여 유교이념을 백성들에게 널리 보급하고 유교적 교양을 갖춘 관리를 양성하며 향풍을 교회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지방에서는 선현을 봉사하는 ‘祠’와 지방자제를 교육하는 ‘齋’로 구성된 서원처럼, 향교는 서울 소재 성균관의 축소형으로 孔子를 위시한 聖賢을 제향하는 大成殿과 지방의 生徒를 교육하는 明倫堂의 2대 시설을 갖추고 이러한 교육과 제향의 기능을 수행해 나갔기 때문에 文廟制度와 釋奠儀禮는 향교제도의 확립과 함께 일찍이 정비되었다. 그러나 16세기 이래 관학의 쇠퇴와 私學의 발달로 인해 교육적 기능은 점차 약화되고 유교주의의 시화와 함께 제향적 기능이 강조되었다. 특히 향교의 제례기능은 조선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강화되었다. 문화이념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 동요를 수습하는 데에도 제례의 강화는 필요하였던 것이다. 순흥향교의 집사안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하에서 작성된 것으로 향교의 제향의례를 강화하려는 순흥향교 주도세력들의 인적구성과 참여의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하겠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사회교화적 기능으로서는 釋奠祭 및 朔望焚香, 여러 祀典 등의 봉행을 들 수 있다. 유교적 이념을 국시로 표방한 조선에서 유교적 규범을 향촌사회에서 보존, 보급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춘추석전과 삭망분향의 봉행을 대단히 중요시 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행사는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져 향교의 고유 행사로 정착되었다. 조선후기에 향교의 교육적 기능이 쇠퇴하고, 재정의 어려움으로 향교가 피폐해졌지만 고유의 제의기능인 춘추 석전과 삭망분향의 享祀를 통한 교화의 기능은 오늘날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釋奠은 유교적 규범의 보급과 보전이라는 차원에서 중요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행사에 회동한 사람들이 한 지방의 공론을 조정했기 때문에 주목되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고려 이래로 仲春 및 中秋의 上丁日에 행해진 석전은 현재까지도 향교의 가장 중요한 행사로 남아있다. 본 문서는 순흥향교가 복설된 이후인 17세기 후반부터 작성되기 시작한 집사안의 가장 나중의 것으로 18세기 초중반까지의 순흥향교의 향사의식에 대한 사족들의 참여와, 향촌 지배세력들의 변화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禮成祭란 文廟에 從祀하기 위하여 位版을 조성하여 陞配한 뒤에 올리는 의식이다. 예성제를 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대성전에 승배의 사유를 고하는 告由祭를 올리고 東西廡에 승배시킨 뒤에 다음날 거행하게 된다.
告由祭란 국가나 개인의 집에서 중대한 일을 치른 뒤에, 또는 장차 치르고자 할 때에 宗廟나 家廟 등에 그 사유를 告하는 제사로서 四禮, 즉 관혼상제 가운데 제례의 祠堂奉祀儀式에 속하는 것이다.
『조선후기 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