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09년 순흥향교(順興鄕校) 제물단자(祭物單子)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1709.4721-20140630.Y1422006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내용분류: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작성주체 순흥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작성시기 1709
형태사항 크기: 33 X 21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순흥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청구1리
현소장처: 영주 순흥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청구1리

안내정보

1709년 순흥향교(順興鄕校) 제물단자(祭物單子)
1709년 7월에 기록된 순흥향교 제물단자이다. 본 문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 중 앞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향교의 향사에 쓰이는 제물의 품목과 개수를 열거하였고, 이어 향교건물의 구성과 칸수, 제기의 구성 및 제복의 품목과 개수를 이어 기록하고 또한 향교에 있는 서책의 종류와 수량을 비롯하여 자물쇠 등의 잡물을 기입하였다. 뿐만 아니라 속사인 부석사의 납품목 백지 10장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향교 임원과 잡역을 담당하는 인부, 유생 및 교생의 정원을 지정하여 기록하는 등 향교의 각종 물품과 구성원의 단면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조선후기 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기축(1709)년 7월에 베껴 쓴 것으로 춘추향사와 관련된 제물의 목록, 향교에 보관된 서책, 속사, 정원의 규정을 기록한 제물단자
자료의 내용
己丑年(1709) 7월에 기존의 것을 베껴 쓴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순흥향교 제물단자이다. 본 문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 중 앞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향교의 향사에 쓰이는 祭物의 품목과 개수를 열거하였고, 이어 향교건물의 구성과 칸수, 祭器의 구성 및 祭服의 품목과 개수를 이어 기록하고 또한 향교에 있는 서책의 종류와 수량을 비롯하여 자물쇠 등의 雜物을 기입하였다. 뿐만 아니라 屬寺인 浮石寺의 납품목 白紙 10장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향교 임원, 인부, 유생 및 교생의 수를 지정하여 기록하는 등 향교의 각종 물품과 구성원의 단면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하겠다.
享事時 사용되는 물품의 총 가지 수는 41개 품목이고, 각종 제기와 제관, 제복의 수량이 기록되어 있으나 추기된 사항이 없어 제향에 따른 구분을 파악할 수는 없지만, 품목의 가짓수가 중앙의 성균관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 점으로 보아 순흥향교가 복설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작성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향사의 규모가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조선왕조는 주자학을 지도이념으로 삼고 중앙에는 성균관·四學, 지방에는 鄕校를 통해 관학을 크게 장려하여 유교이념을 백성들에게 널리 보급하고 유교적 교양을 갖춘 관리를 양성하며 향풍을 교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지방에서는 선현을 봉사하는 ‘祠’와 지방자제를 교육하는 ‘齋’로 구성된 서원처럼, 향교는 서울 소재 성균관의 축소형으로 孔子를 위시한 聖賢을 제향하는 大成殿과 지방의 生徒를 교육하는 明倫堂의 2대 시설을 갖추고 이러한 교육과 제향의 기능을 수행해 나갔기 때문에 文廟制度와 釋奠儀禮는 향교제도의 확립과 함께 일찍이 정비되었다. 그러나 16세기 이래 관학의 쇠퇴와 私學의 발달로 인해 교육적 기능은 점차 약화되고 유교주의의 시화와 함께 제향적 기능이 강조되었다. 특히 향교의 제례기능은 조선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강화되었다. 문화이념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 동요를 수습하는 데에도 제례의 강화는 필요하였던 것이다. 즉 경제적 변화, 사회신분적 변화에 대처하고자 조정과 양반사족들은 예속을 강조하였고 향교의 경우에는 선현에 대한 제례의 강화와 이를 통한 하층민에 대한 교화가 강조되었다. 이 문서가 작성된 18세기 초반은 향교의 제향적 기능이 강조되는 시기였을 뿐만 아니라, 순흥부가 복설되면서 다시금 그러한 기능의 강조를 통한 지역사회의 교화 및 순흥향교의 순기능으로서의 역할을 부각시키기 위해 노력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문서의 후반부는 향교의 임원과 향교구성의 정원을 각각 기록하고 있다. 향교의 대소사를 관장하는 인원은 都有司 1명, 掌議 1명, 齋有司 2명, 典敎有司 1명, 下任殿直 1명, 書者 1명, 庫直 1명, 差使 2명, 酒母 1명, 食母 1명, 菜畨 3명이고, 향교교생의 정원은 額內儒生 70명, 校生 70명으로 기록하고 있다. 특히 액내유생과 교생을 구별하여 기록한 것으로 액외교생으로 입교하였던 평민, 서얼층의 향교참여가 뚜렷하게 증가되고 있던 시점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교생에게는 軍役免除를 비롯한 무상교육 및 하급관리로의 진출 등의 여러 특권이 부여되었다. 이러한 특권의 무분별한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에서는 군현의 등급에 따라 교생의 수를 규정하였다. 『經國大典』에 규정된 교생의 수는 府, 大都護府, 牧은 90명, 都護府는 70명, 郡은 50명, 縣은 30명으로 이러한 교생의 정원은 『大典會通』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지켜졌다. 순흥은 당시 府로 복설되었지만 90명의 교생정원을 그대로 대입한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법률상 정하는 바의 교생의 개념은 본 문서에 기록되어 있는 유생과 교생을 합친 것이지만, 당시 실정을 반영하고 있는 문서에서는 엄밀히 140명의 교생을 허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정에 대한 부기된 내용이 없어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자료적 가치
18세기 초반에 작성된 순흥향교 鄕校雜錄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祭物單子, 書冊目錄, 屬寺, 任員 등에 대한 기록으로 순흥향교가 복설되고 난 뒤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의 순흥향교의 운영의 전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순흥향교도 여타의 영남지역의 향교와 마찬가지로 최초의 건립연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자료가 없지만, 순흥부의 혁파와 복설과 함께 1683년 부의 복설과 함께 새롭게 건립되었는데 본 자료를 통해 향교의 건립 후 초창기의 향교운영의 일반적 형태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향교의 제향시에 사용되는 제물 및 제기, 제복 등을 비롯하여 향교교육에 사용되는 서책류, 향교재정에 뒷받침 되는 속사와 그에 조달되는 내용, 향교의 임원과 잡역을 담당하는 이들의 정원, 유생, 교생의 정원 수를 정한 부분을 상세하게 전달하고 있어 순흥향교가 운영되는 형태를 낱낱이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조선후기 향약연구』, 鄕村社會史硏究會,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09년 순흥향교(順興鄕校) 제물단자(祭物單子)
祭物單子 己丑七月二十八日膽寫
稻米十四斗一刀九合六夕
黍米十四斗一刀九合六夕
梁米二斗三刀五合八夕
稷米二斗三刀五合八夕
鹿脯十六帖加四条
黃(?)二十二(?)一柄
黃尾一柄
眞墨一丁
鹿鹽四斗一刀
幣帛九十尺
銀杏一斗
柏子一斗
生栗六斗二刀秋則(?)桃
乾棗一斗
魚脯五尾
鹿鹽五刀
魚鹽五刀 酡鹽五刀
塩五升
韭菹七升
芹菹七刀
菁菹三斗九刀
筍菹七刀
燈油一刀五合
香三兩
(?)骨二部
柳(?)二部
古里■■
炭一石
燒木十■
■子一斗
兎鹽五■
祝文紙二張
刺■白紙
■案紙一束
油紙十張 祭席白紙一束 曲子一■一立
生猪三口 酒米八斗二刀四合 窓戶紙二束十丈 秋■…■
祭物有司兩員及遆年一人自官供(?)事辛酉春呈報狀得題施行
舊件莊于匱中
鄕校雜錄卷之一
■間閣
大成殿九間 東西廡各六間 典祀廳三間 明倫堂十二間
東西齋各六間 食樓十四間 大門三間 公需
祭器
鍮簋 鍮■ 竹邊 木豆
鍮爵 鍮句 爵坫 牲匣
幣篚 燭臺 犧尊 象尊
香爐 香榼 椅子 祭床
尊所床 祝板 飮福爵 陳設啚
笏記 硯 具匣 具卓
祭服
祭服七件 梁冠七件 佩玉七件 草帶七件
襪七件 履七件 木笏七件
書冊
論語七卷 舊 孟子七卷 舊 中庸一件 舊 大學一件 舊
書傳九卷 舊 詩傳九卷 舊 周易繋辭 合十四卷 春秋十七卷
小學五卷 又新備四卷 禮記十六卷 通鑑一卷 正俗諺解一卷
三仁錄 閔文忠公奏議五卷 三綱行實 二倫行實
錦溪集五卷 愚齋實記 家禮 舊 誣書卞破錄
良齋集四卷 昭鑑錄 ■亂錄 文節公集新舊件
雜物
都匱具鎖 掌議匱具鎖 舊 齋匱具鎖 有司匱 舊
硯匣具硯 套署一 舊 足鼎二坐 古自里一坐
釜一坐 斫刀一 食刀一 聖殿開鎖鉄
東西廡開鎖鉄 典祀廳開鎖鉄 挾門開鎖鉄 大庫開鎖鉄
假庫開鎖鉄 鍮量盒一 舊 鍮■具臺一 舊 匙五柄
祭器藏開鎖鉄
屬寺
浮石 每朔白紙十丈春秋大享時■■山果造■列納大壯紙一■
任員
都有司一員 掌議一員 齋有司二員 典敎有司一員
過年一人 下任殿直一人 書者一人 庫直一人
差使二人 酒母一人 食母一人 菜畨三人
額內儒生七十員 校生七十人 ■■二十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