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임자년에 작성된 임사안(任仕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0000.4721-20140630.Y14219050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형태사항 크기: 32 X 30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현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교촌리

안내정보

임자년에 작성된 임사안(任仕案)
작성연대 간지에 대한 기록으로 1801년으로 추정되는 임사안이다. 제명은 ‘봉 성교통동 임사안’으로 되어 있으며, 임사안이지만 형식은 《통록향안》과 같은 체제로 이름과 출생 간지와 자가 차례대로 기입되어 있다. 총 143명이 등재되어 있으나, 2명은 도개된 듯 명부에서 깨끗이 지워진 흔적으로 남아 있고 마지막에 좌수와 반수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0
「鄕案硏究」『大丘史學』第 26輯, 申正熙,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안동문화연구회, 1991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1801년에 작성된 것으로 향안과 같은 체제로 인명과 생년간지, 자가 차례대로 기입되어 있는 임사안
자료의 내용
작성연대 干支에 대한 기록으로 1801년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任仕案이다. 제명은 ‘奉 聖敎通同 任仕案’으로 되어 있으며, 임사안이지만 형식은 《통록향안》과 같은 체제로 이름과 출생 간지와 字가 차례대로 기입되어 있다. 총 143명이 등재되어 있으나, 2명은 도개된 듯 명부에서 깨끗이 지워진 흔적으로 남아 있고 마지막에 座首와 班首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향안이란 일종의 鄕紳錄으로서, 그 지방에 있는 유력인사, 즉 鄕大夫, 士들로서 品藻가 뛰어난 이들을 選錄한 것을 말한다. 재지지주로서 강한 토호적 성격을 띄게 되는 이들은 재지사족, 혹은 土姓兩班들로서 一鄕의 기강확립과 민속 교화를 담당하는 세족으로 발전해 나갔는데 ‘세족’이란 문벌과 地閥을 갖춘 사족이란 의미로, 여기에는 토성에서 상경종사하였다가 낙향한 가문, 토성에서 재지사족으로 성장한 가문, 타지역출신으로 이주하여 벼슬, 학문, 덕행을 갖춘 가문들로서 이들이 바로 향안에 입록될 수 있는 계층들이었다.
향촌사회에 대한 모든 문제는 반드시 鄕會를 통해서 처리했고, 이때 여기에 참여 할 수 있는 사람은 반드시 향안에 등재된 인물에만 국한시켰기 때문에 향안은 재지사족들의 자기과시, 또는 자기방어적 차원에서 작성되어 폐쇄적이면서 배타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향안에 입록되어야 비로서 양반으로서의 대우는 물론, 좌수, 별감이라는 鄕任에도 선출될 수 있고, 재지사족으로서 지배신분의 반열에 오를 수도 있었다. 이처럼 상하신분관계를 중시하고 사족들의 권위의식을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에 향안에 입록되는 것은 대단히 엄격하였다.
지방에 대한 직접지배형식으로 수령권이 강화되자 재지사족들은 이들에 대항하면서 향촌사회에 대한 우위권을 확보하기 위해 유향소를 설치하여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를 확고히 하려했다. 그에 따라 재지사족들의 공론 및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입록 기준을 바탕으로 향안을 작성하였는데 본 자료를 통해 당시 풍기지역의 재지사족의 인적구성의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하겠다.
본 문서 처음부분에는 향안이라는 제명과 함께 ‘奉聖敎通同任仕案’이라고 되어 있어 1790년에 작성되었던 향안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것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풍기의 향록 작성도 엄격한 자격조건 하에 사족들의 공론에 의해 작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17세기 후반부터 향권을 둘러싼 사족들 간의 갈등, 향안 입록을 요구하는 新鄕과 舊鄕의 갈등 등 복잡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여 공론에 의한 향안 입록은 쉽지 않게 되었다. 이는 곧 향안 입록의 파행, 또는 기 입록자의 削名 등의 현상도 나타났다. 19세기 초반에 작성된 본 향안은 재지사족들의 공론에 의해 이뤄진 것으로 파악되지만 조선후기의 향안작성에서 야기되는 문제점과는 격리되어 작성되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다만 본 문서를 통해서는 단편적이나마 당시 풍기지역을 주도하였던 인물들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문서에서는 향안의 작성 이유와 인명과 함께 부기되는 기타사항이 기록되어 있는 것이 없어 어떠한 배경을 갖춘 인물들로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구분은 알 수 없지만, 풍기지역을 근간으로 한 재지적 기반이 중요한 기준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풍기의 토성은 鄭, 安, 皮, 邦, 陰, 秦, 辛, 吳, 朴, 金, 申 등인데 향안에 기록된 인원 중 상당수가 이들과 일치하지 않는 黃, 李, 琴씨 등으로 보아 이 시기에 접어들어서는 풍기의 재지사족의 인적구성의 변화가 뚜렷이 투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문서만으로는 시대적으로 어떠한 배경이 작용한 것인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조선후기의 영남지역의 재지사족의 양상변화와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본다. 19세기에 점차 증가하는 향권을 둘러싼 신·구향간의 갈등에서도 그 영향을 찾아 볼 수 있겠지만 구체적인 내막을 파악하는 것은 족보의 대조 및 별도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초반의 풍기지역의 재지사족의 추이를 보여주는 자료로써 이전의 향안 및 교안, 선생안 등에서 나타나는 사족의 인적구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단면적으로나마 보여주고 있다. 풍기의 주요 토성이 아닌 성관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양상을 보이는데 조선후기 영남지역의 재지사족의 변화양상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90
「鄕案硏究」『大丘史學』第 26輯, 申正熙, 民音社, 1990
『嶺南士林派의 形成』, 李樹健, 嶺南大學校 出版部, 1979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安東文化硏究』5, 정진영, 안동문화연구회, 1991
『嶺南鄕約資料集成』, 吳世昌 外, 嶺南大學校 出版部, 1986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임자년에 작성된 임사안(任仕案)

聖敎通同
任仕案
秦景秋 癸卯 聖汝
琴德臨 癸卯 (??)
黃翊大 癸卯 大用
韓東憲 丙午 文源
黃堅 丁未 永化
秦得秋 戊申 秋(?)
安國衡 戊申 (??)
李師軾 己未 後發
黃命箕 庚戌 子範
金相坤 壬子 元甫
呂必鍵 癸丑 開甫
李廷泰 甲寅 士仰
洪大錫 甲寅 士寒
黃一成 甲寅 淸時
李師潤 甲寅 潤汝
張泰宗 乙卯 大胤
宋光玉 丙辰 仲玉
李師轍 丙辰 仲儀
李廷耈 戊午 國(?)
任泰基 己未 (??)
權漢忠 己未 子亮
權思漢 己未 益(?)
秦碩秋 庚申 景甫
南永爕 庚申 和甫
權思望 庚申 君(?)
金德守 辛酉 (??)
洪達錫 辛酉 士通
李喜赫 壬戌 善汝
李復祖 癸亥 士述
李光玉 癸亥 顯甫
金悅宅 癸亥 義(?)
南慶文 癸亥 仲質
林櫟 癸亥 (??)
南慶基 癸亥 基甫
黃垈 癸亥 宅中
金宅烈 甲子 大而
金達行 甲子 行彦
秦範大 乙丑 繼範
南恒爕 丙寅 常甫
權鳳羽 丁卯 聖章
林檜 丁卯 直卿
李聖鐸 丁卯 㝎汝
黃獜大 戊辰 元甫
琴挺 戊辰 秀汝
琴相心 戊辰 相甫
黃養大 己巳 汝直
黃景大 庚午 義甫
權正錘 庚午 得中
黃極大 庚午 極甫
金華國 庚午 時甫
尹昌灝 辛未 山甫
崔器玉 壬申 (?)之
黃采大 壬申 君(?)
李復元 癸酉 善伯
南尙耈 癸酉 老彦
金東泰 癸酉 仲(?)
宋之疏 癸酉 季玉
南觀爕 癸酉 君賓
黃植大 甲戌 君寧
安光迪 甲戌 (?)叔
李崑 乙亥 信之
權相漢 乙亥 汝弼
秦秀 乙亥 羔時
南慶漢 乙亥 季雲
金相浩 丙子 卿瑞
秦重基 丙子 厚甫
秦種百 丙子 伯春
黃宲漢 丁丑 伯賢
李復明 丁丑 士善
秦亨基 丁丑 元(?)
金尙宅 丁丑 士高
李(?) 丁丑 峻甫
李嵓 丁丑 仲瞻
李經億 丁丑 兼仲
蔡必浩 戊寅 養仲
蔡德明 戊寅 淳甫
李聖文 戊寅 來章
金璟鍊 戊寅 文若
柳逢春 戊寅 花枝
黃載岱 戊寅 衡仲
李夏臣 戊寅 靡仲
權德一 戊寅 道(?)
金斗烈 戊寅 七汝
權之度 戊寅 度之
朴素吉 己卯 稚賢
權宗信 己卯 四(?)
黃昌五 己卯 而瞻
李崗 己卯 壽若
秦種萬 己卯 (??)
李春榟 庚辰 春伯
余重趙 庚辰 聖叟
金粹烈 庚辰 性汝
黃九漢 庚辰 萬源
黃琳漢 庚辰 通寶
韓光赫 庚辰 漢明
金啓商 庚辰 漢賓
秦彦基 辛巳 孝(?)
李復圭 辛巳 子參
李學純 辛巳 士悅
黃時浩 辛巳 基天
李斯立 辛巳 成甫
黃謹大 辛巳 子彦
安應亨 壬午 通元
秦舜基 壬子 (?)仲
李復運 壬午 (??)
權德兼 壬午 道元
黃永漢 壬午 士楫
黃一壽 壬午 邦老
黃龜漢 壬午 澤元
余重奎 壬午 文伯
南有星 壬午 汝光
林枋 壬午 和彦
秦種立 癸未 遇世
權若崙 癸未 汝玉
秦碩基 甲申 命汝
權宗彦 甲申 聖(?)
黃啓河 甲申 淸(?)
權致復 甲申 (??)
李峉 甲申 仰之
蔡德晉 乙酉 明甫
李萬英 乙酉 天應
金樂濂 乙酉 學源
金武鍊 乙酉 文述
余重呂 乙酉 大則
孫光億 乙酉 益之
權德正 乙酉 敬仲
黃一福 乙酉 邦慶
李亮純 丙戌 子明
黃仁大 丙戌 義(?)
李東春 丙戌 時伯
金彦采 丁亥 季良
朴必中 戊子 士直
秦厚增 己丑 厚之
黃之漢 己丑 夏(?)
黃宣大 甲午 潤(?)

壬子四月初四日
座首 朴必興
班首 朴智儉

鄭受潤 己巳 聖稱

辛酉二月初七日
座首 朴智儉
班首 權鳳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