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신사년(辛巳年)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경주향교(慶州鄕校) 향교깃기(鄕校衿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XG.0000.4713-20140630.Y1410103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깃기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깃기
작성주체 경주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형태사항 크기: 32 X 30
수량: 7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경주향교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신사년(辛巳年)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경주향교(慶州鄕校) 향교깃기(鄕校衿記)
조선후기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소재 경주향교(慶州鄕校)가 보유하고 있던 전답(田畓)의 규모를 기재해 놓은 장부이다. ‘신사년(辛巳年) 정월(正月)’에 작성된 것이라 명기되어 있지만, 정확한 연도는 파악되지 않는다. 장부에는 우선 해당 전답이 위치한 장소를 ‘원(員)’으로 명기해 놓았고, 천자문 순서로 된 자호(字號)와 숫자로 된 지번(地番)을 기재하였다. 이러한 기재 방법은 조선시대 관공서와 개인 소유의 전답을 기재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어 전(田)과 답(畓)을 구별해 놓았으며, 보유 전답의 규모는 곡식 수확량을 기준으로 경작지 면적을 나타내는 결부(結負)로 표시하였지만, 일부 지역은 넓이를 나타내는 두락(斗落)도 세주로 표시해 놓았다. 장부에는 결락되어 확인되지 않는 일곱 여덟 곳의 내용을 제외하고 160곳의 내용이 확인되는데, 이를 종합하면 당시 경주향교는 전(田) 8결(結) 65부(負) 5속(束), 답(畓) 7결(結) 72부(負) 3속(束)으로, 최소 16결(結) 37부(負) 8속(束)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장부에 결락된 곳을 포함한다 치더라도 당시 경주향교는 약 17결(結) 정도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조선후기 慶尙道 慶州府 소재 慶州鄕校가 보유하고 있던 재산 가운데 전답의 규모를 기록해 놓은 자료
자료의 내용
조선후기 慶尙道 慶州府 소재 慶州鄕校가 보유하고 있던 전답의 규모를 기재해 놓은 깃기이다. 자료 서두에 ‘辛巳正月’의 깃기임이 기재되어 있으나, 정확한 작성연도는 확인되지 않는다. 깃기는 경주향교가 보유하고 있던 전답의 위치를 員으로 명기해 놓았으며, 字號와 地番을 함께 기재하였다. 전답은 田과 畓을 구별하여 結負로 기재하였으며, 몇몇 전답은 結負數 아래에 斗落數를 세주로 표시해 놓았다.
본문에 군데군데 결락이 있어 경주향교의 정확한 전답 보유 규모는 파악 할 수 없다. 대략 일곱 여덟 곳의 결락을 제외하고, 확인되는 160곳의 전답 규모를 합하면 田이 8結 65負 5束이며, 畓이 7結 72負 3束이다. 田과 畓을 합쳐 최소 16結 37負 8束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락으로 확인되지 않는 곳의 전답 규모를 합해도 1結 미만이라 생각되는데, 이를 미루어 볼 때 당시 경주향교는 17結 정도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한편, 당시 경주향교 보유 전답은 대부분 경주 府內 인근에 분포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재정 규모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시대 향교의 주요 재정적 기반으로는 전답, 奴婢, 관의 재정보조, 儒錢 등의 기부금, 校村과 校保, 屬寺 등 다양한데, 그 중에서도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단연 전답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농업기술의 발달로 토지 생산력이 높아지는 조선후기로 접어들면, 향교의 재정적 기반에서 전답의 비중은 더욱 높아지게 되며, 각 향교도 전답 확보를 위해 노력하게 된다. 이에 조선후기 경주향교의 전답도 이전보다 증가했을 것으로 보이며, 본 향교깃기는 그러한 경제적 환경의 변화 가운데 작성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자료에선 확인되는 약 17結 정도의 경주향교 전답은 비교적 많은 편에 속한다. 『續大典』에 따르면 향교에 지급되는 學田의 경우, 州와 府의 향교는 7結을 지급받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즉 경주향교는 국가가 보조하는 규모보다 많은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조선후기 향교의 일반적인 양상으로, 실제 18~19세기 같은 嶺南의 향교 중 규모가 컸던 尙州鄕校安東鄕校는 10結 정도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런데 경주향교에 전해지는 자료 가운데 본 깃기를 제외하고, 정확한 전답의 규모를 알려주는 자료가 전해지지 않아, 경주향교 보유 전답 규모의 변천에 대해서는 확인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만 韓末에 작성된 경주향교 소장 「慶州鄕校事例調査表」에 따르면 古代에 賜牌結이 8結 2負 9束이었으나, 近代에는 月星小學校의 설립에 기부하면서 없고, 향교 소유 전답은 고대에는 畓 500斗落, 田 400斗落이었지만 近代에는 畓 246斗 2升洛, 田 297斗 7升洛이라는 기록이 있어, 대략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신사년(辛巳年)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경주향교(慶州鄕校) 향교깃기(鄕校衿記)

辛巳正月鄕校衿記
府東初牙背洞
豈十五畓二卜
十六田二卜八束
敢三十四田三十二卜三束【戊戌出給】
三十六田五卜
三十七田十六卜六束
三十九田六卜四束
四十二田一負三束
四十五田十四負
四十六田三十負一束
五十三田九負
傷四十六田十六負五束
四十七田十六負一束
四十八田九負四束
四十九田十二負九束
五十田五負三束
五十一田五負四束
四畓十八負一束
七畓二十三負五束
七畓二十二負九束
十畓二十▣…
十三畓▣…
十五田十六負四束
十六畓七負九束
十八畓十負一束
五十一畓六負七束
五十二畓十三負
六十田一結五束

臥石員
必四十三畓十四負五束
改六十九畓八負四束
金堂西邊員
王六十靡十九畓六負三束
十六畓十四負
皇伏員
雨三十三田八負八束
騰二百五畓七負
棑盤員
麗一百九十八田二十四負四束
自令洞員
信五十八內畓十負【五斗落】
五十九畓五負五束【二斗落】

一百三十二畓十四負三束【五斗落】
收五十六田三負六束【四斗落】
東二同初朝驛北坪員
禍六畓十九負【七斗落】
東三同二望德員
萬一畓二十負六束
恒二十三畓六負三束
垈六十一畓八負八束
七十二畓十負八束
七十八畓八負六束
臥山員
富九畓三十二負一束
二十七畓三負四束
二十八畓五負九束
三十六畓七負八束
東五洞

甕二十十九妾一百二十九田十負一束【▣九卜▣朴▣▣典】
惟八十宰五畓五負
府南初五龍泉▣…▣
李二十二田▣…▣
瞻星▣…▣
海十田八負九束
十七田十七負八束
三十三田十八負九束
四十七田九負四束
五十四田十七負六束
醎六十七田一負九束
九十三田十二負三束
一百一田四負九束【二斗落】
一百二田二負八束
一百三田九十四負五束【坐地】
一百四田二負一束
一百五田七負二束
一百九田二負二束
一百八田十五負七束
一百十二畓四負四束
一百十四田十二負一束
一百十七田三負六束
一百十八畓三負
一百十九田十負六束
一百二十田三負七束
一百三十田六負六束
一百三十四畓二負三束
一百三十五畓一負四束
一百二十一田七負五束
一百二十三畓五負一束
仁王員
談五十六田十五負四束
五十七田五負
六十五田三負四束

六十六田十負三束
鱗八十五田七負七束【典】
十一田九負八束
鱗八十三田十二負五束
一百三十二內田十五負【典十斗落】
潛一百五十一田二負六束
一百五十二田一負六束
一百七十二畓四負五束
一百七十三畓三負二束
一百八十六畓四負六束
一百九十八田三負三束
一百九十九田六負六束
會旨員
羽二十三畓二負九束
二十四田一負七束
二十五田三負五束
二十七田▣…▣
二十八田七負…▣
二十九田二負七束
四十田四負三束
四十一田二負
四十二田三負二束
四十三田一負九束
四十四畓一負一束
四十五田一負八束
四十六畓四負九束
五十一田五負一束
五十三田三負
五十四畓三負八束
五十五畓二負六束
六十一畓二束
六十二田十五負九束
六十三田十負一束
六十四田三負四束

六十五田三負八束
院八十五畓八負八束
鬼橋員
始六十八畓三負七束
字二百十七田十八負五束
二百十八畓三負一束
裳一百七十二畓四負九束【典】
一百八十四畓一負一束
太櫓院
民二百七十七畓六負七束
一百九十一畓六負一束
學八十七畓七負六束【四斗落典】
五十二畓二十七負七束
四十八畓八負七束
四十四畓十負一束【四斗落】
一百六十三畓五束【四斗落】
一百六十四畓六負【典】
一百六十五畓二負六束【三斗落】
賴三十畓十負
半大員
二九十七畓四負二束
一百畓十一負一束
竹羅里員
嗣四畓十五負二束【典】
申大坪員
特四十七畓十七負七束
五十三▣…▣
杜陵▣
擧四十五畓七負九束
頓一百四畓六負【三斗落】
五龍泉員
淡七十八田八負一束
七十七田一負一束【七斗落】

處容橋員
薑一百七田十六負八束
一百二十二田十一負六束
河一百八十九田八負九束【七斗落】
一百六十一田一負九束【三斗落】
會旨員
翔一百十七田十負六束【四斗落】
一百十八畓一負五束
一百十四畓二負三束
一百二十反畓二負二束
一百三十三田十五負二束【▣▣▣▣▣▣▣▣▣▣】
新院員
制一百二十二內田十負【十二斗落】
皇三十六畓六負九束【三斗落】
祀二十畓二十三負八束【五斗落】
尹一百五十畓二十七負
安南初甲山員
靡十六畓十四負【典】
安南二同所里員
履二十二畓十負二束
靑尋員
靜容一百三十一畓十四負五束
二畓六負七束
三畓十七負九束
白石員
止二十五畓五十五負四束
二十七畓四負三束
三十二畓十六負
長水淵外員
安四十一畓十九負一束【典】
誠五十六畓十四負六束

二畓十三負二束
四方浦陳員
義三十五畓十八負四束
▣八畓十七負三束
高陽寺員
▣八十二▣▣▣
加▣田員
甚五十三畓▣負四束
東三同二望德員
垈五十九畓五負八束【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