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14년 이범익(李範益)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14년 5월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소재 현풍향교(玄風鄕校)를 중수한 후 작성한 기문(記文)이다. 작성자는 1914년 달성군수(達城郡守)로 부임한 이범익(李範益)인데, 1914년은 독립된 고을이었던 현풍군(玄風郡)이 달성군에 편입된 해이다. 한편, 본 자료는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라는 제목으로 1990년 현풍향교에서 필사본으로 간행한 『사적록(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1914년 작성된 「향교중수기」에는 현풍향교 중수의 경위와 의의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1914년 이범익이 달성군수로 부임한 후, 현풍향교를 찾아가 참배한 뒤 향교 건물을 둘러보았는데, 대성전(大聖殿)과 양무(兩廡)는 퇴락하여 비와 바람이 새고 있고, 제기로 사용되던 두(豆)와 변(籩)은 썩어 그 형체만 남아 있어 매우 안타까워했다고 한다. 이에 당시 향교의 교임이었던 김은식(金殷埴)과 함께 향교 중수를 모의하였고, 이에 호응한 지역 유림들이 자금을 서로 기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십일 만에 현풍향교 중수 공사를 마무리하였음을 밝혀 놓았다. 이러한 현풍향교의 모습은 일제강점기 근대식 교육의 확산으로 점차 위축되어 가던 향교의 운영 실태를 보여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