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14년 이범익(李範益)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WZ.1914.2771-20140630.Y1411007015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중수기
작성주체 이범익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작성시기 1914
형태사항 크기: 38 X 27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현풍향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상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14년 이범익(李範益)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914년 5월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소재 현풍향교(玄風鄕校)를 중수한 후 작성한 기문(記文)이다. 작성자는 1914달성군수(達城郡守)로 부임한 이범익(李範益)인데, 1914년은 독립된 고을이었던 현풍군(玄風郡)달성군에 편입된 해이다. 한편, 본 자료는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라는 제목으로 1990현풍향교에서 필사본으로 간행한 『사적록(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1914년 작성된 「향교중수기」에는 현풍향교 중수의 경위와 의의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1914이범익달성군수로 부임한 후, 현풍향교를 찾아가 참배한 뒤 향교 건물을 둘러보았는데, 대성전(大聖殿)과 양무(兩廡)는 퇴락하여 비와 바람이 새고 있고, 제기로 사용되던 두(豆)와 변(籩)은 썩어 그 형체만 남아 있어 매우 안타까워했다고 한다. 이에 당시 향교의 교임이었던 김은식(金殷埴)과 함께 향교 중수를 모의하였고, 이에 호응한 지역 유림들이 자금을 서로 기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십일 만에 현풍향교 중수 공사를 마무리하였음을 밝혀 놓았다. 이러한 현풍향교의 모습은 일제강점기 근대식 교육의 확산으로 점차 위축되어 가던 향교의 운영 실태를 보여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14慶尙北道 達城郡 소재 玄風鄕校 건물을 重修한 후, 중수 의의를 언급해 놓은 達城郡守 李範益의 重修記
事績錄 玄風鄕校
자료의 내용
1914년 端陽節, 慶尙北道 達城郡 소재 玄風鄕校를 중수 한 후, 당시 達城郡守였던 李範益이 작성한 重修記다. 본 자료는 1990현풍향교에서 필사본으로 간행한 『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事績錄』은 1758년부터 1990년까지 현풍향교 운영과 관련해서 작성된 각종 글들과 문서 등을 엮어 놓은 자료로, 1914년의 「鄕校重修記」는 그 중에서도 열다섯 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1914년의 「鄕校重修記」에는 현풍향교가 중수되는 경위와 의의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중수기에서는 우선 나라에 太學이 있고 郡에는 향교가 있으니, 이는 성인을 기리고 학문을 숭상하는 뜻임을 전제해 놓았다. 그러나 근래 풍속이 비속해지고 禮樂이 무너져, 향교의 森嚴함이 없어지고 舊儀가 없어지고 있음을 개탄하고 있다. 그런 와중에 지난 1910년 가을 勅令에 따라 京城經學院이 세워졌다고 한다. 경학원1910成均館을 폐지하면서 세워진 기관이다. 이범익은 이 경학원 건립을 둘러싸고 유림들끼리 말이 많았음을 언급해 놓았다. 그리고 지난 1914년 자신이 재주가 없음에도 달성군의 지방관이 되었다고 하였는데, 1914년은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독립된 고을이었던 玄風郡이 통폐합되어 달성군으로 개편된 해였다. 이범익은 부임한 뒤 곧바로 校宮에 가서 참배한 후 향교의 건물을 살펴보니, 聖殿과 兩廡가 무너지고 부서져 비와 바람을 막지 못하고 있으며, 豆와 籩은 썩어 형체만 남아 있어 송구한 마음을 매우 감당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에 현풍향교의 祠官인 金殷埴과 함께 모의한 뒤, 고을 사람들에게 개선책을 두루 물어 중수 공사를 실시하기로 결정 하였다. 김은식은 당시 현풍향교의 學職을 맡고 있던 자로, 공사가 끝난 후 별도의 「鄕校重修記」를 작성하였는데, 그의 중수기도 『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현풍향교 건물의 중수를 결정하니, 郡 중의 많은 선비들이 중수 공사에 쓰일 재물을 다투어 내놓았다고 한다. 기부된 자금을 바탕으로 수십일 만에 중수 공사는 마무리 되었다. 중수기 말미에는 달성군수 이범익이 향후 고을의 유림들이 현풍향교 중수를 계기로 배움을 돈독히 하고, 가르침을 두텁게 하여, 본업에 힘쓸 것을 당부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일제강점기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19세기 후반부터 근대식 교육기관이 건립됨에 따라 향교의 기능과 재정은 크게 위축되었다. 1910성균관경학원으로 개편하는 정책도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유림들의 적지 않은 반발이 있었는데, 당시 달성군수 이범익은 지방관이라는 자리 때문인지, 이것을 언급하면서도 판단은 유보하고 있다. 이는 근대식 교육의 확산으로 향교의 기능이 전환되어가는 과도기적 상황을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한편, 현풍향교 중수를 하는데 있어 지역 유림들이 적지 않은 자금을 기부한 듯하다. 향교에 큰 일이 있거나, 재정적으로 궁핍할 때, 지역 유림들이 자금을 기부하는 행위는 이전부터 있어 왔던 것으로 보통 儒錢이라 불렸다. 儒錢은 향교의 중요한 재정적 기반 중 하나로, 조선시대 향교가 官의 협조를 받아 지역 유림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914년 지역 유림들의 기부 행위는 이러한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914년 이범익(李範益)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鄕校重修記
國有太學郡有鄕校皆慕聖崇學之旨意也挽近世
降俗頹禮壞樂崩校宮之森嚴頉失舊儀儒家之課學
漸臻況淪有志者甞忱慨歎矣粤在庚戌秋勅設經學院
京城於是祗順德意竭力彈憲惟不克稱越甲寅春不佞
叨守是郡先詣校官〖宮〗展謁之殿廡也頹破不蔽風雨豆邊也
杇損只存形骸不勝悚懼駭歎乃與祠官金君殷埴發謨鳩
孱詢于鄕人郡中多士爭先捐財以助重修數旬先浚觀瞻

如新恢拓從多窃惟聖人已遠吾道久衰古禮不見古樂不
聞今焉重修文廟篤學敦敎使斯民人相孝慈出相
悌長力田之天皆知杆蔽習財之儒亦能干城治亂安危俱有
耶恃是郞朝家崇敎之志若其苟且形式望風承旨覬
利邀譽有怡無終非徒多士之耶羞不侫之而惜抑亦
隣近之聳誚政府之深憂惟願勉旃哉
宣聖誕降二千四百六十五年端陽節
甲寅西紀一九一四年完山李範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