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65년 이정두(李廷斗) 「향교동국유림기(鄕校東國儒林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WZ.1865.2771-20140630.Y14110070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기
작성주체 이정두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작성시기 1865
형태사항 크기: 38 X 27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현풍향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상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65년 이정두(李廷斗) 「향교동국유림기(鄕校東國儒林記)」
1865경상도(慶尙道) 현풍현(玄風縣)의 수령인 이정두(李廷斗)가 작성한 기문(記文)으로, 본 자료는 1914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으로 편입된 현풍향교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사적록(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향교동국유림기(鄕校東國儒林記)」는 당시 현풍현감(玄風縣監)이었던 이정두가 우리나라 유학의 연원과 자신 집안의 가학(家學)의 연원을 비교하며, 향교의 유림들에게 학문을 장려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특히 이정두는 자신의 현조(顯祖) 가운데 이관(李琯)이유수(李幼洙)를 거론하였는데, 이들은 16~17세기 명망 있던 유현들과 교유했던 행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 인연을 바탕으로 은연중에 가학의 연원을 자부한 뒤, 본 고을이 오현(五賢) 중 한 분인 김굉필(金宏弼)이 강도(講道)하던 고을임을 들며 향교 유림들에게 학문을 장려하고 있는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65慶尙道 玄風縣玄風縣監으로 있던 李廷斗가 향교 유림들에게 학문을 권장하기 위해 작성한 記文
事績錄 玄風鄕校
자료의 내용
1865慶尙道 玄風縣의 수령으로 있던 李廷斗가 작성한 記文이다. 본 자료는 1914慶尙北道 達城郡으로 편입된 현풍향교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事績錄』은 1758년부터 1990년까지 현풍향교 운영과 관련해서 작성된 각종 글들과 문서 등을 엮어 놓은 것이다. 1865년의 「鄕校東國儒林記」는 그 중에서 일곱 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鄕校東國儒林記」를 작성한 이정두1864玄風縣監로 부임한 인물로, 향교 유림들에게 학문을 권장하기 위해 본 기문을 작성하였다. 기문의 본문에는 우리나라 유학의 연원이 나열되어 있는데, 특히 이정두 본인의 顯祖인 李琯(1518~1577)과 李幼洙(1591~1656)의 연원을 강조해 놓았다. 본문에서는 먼저 우리나라가 비록 바다 밖 벽지에 위치해 있지만, 箕子의 교화를 얻고 孔孟程朱의 학문이 번성하게 되어 三綱과 五常이 밝은 곳이라고 하였다. 이에 서울영남에서 五賢이 차례대로 배출되어, 洙泗와 濂洛의 학풍이 있게 되었고, 이때부터 후학이 일어나 큰 儒賢이 배출되니 일일이 기록할 수 없을 정도라며, 우리나라 유학의 번성을 자부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정두는 자신의 현조를 거론하면서 우리나라 儒賢들과 家學의 淵源을 설명해 놓았다. 우선 李琯宋瑄(1544~1629), 權恢, 鄭淑과의 관계를 거론하였고, 그들로부터 再傳된 인물이 선조 李幼洙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연원을 孔子와 그 제자들 간의 관계와 비교하고 있다. 특히 李幼洙는 일찍이 許厚許穆과 同學으로 成均館에 있으면서 덕망이 있었음을 칭송하였고, 權大載(1620~1689)의 말을 인용해 그의 공적을 높게 평가해 놓았다. 이어 李琯가 五賢에 연원을 두고 있는 것과 같이, 향후 孔孟程朱를 배우려면 반드시 五賢을 배워야 되고, 五賢을 배우려면 반드시 先學과 宣祖를 배워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정두 본인의 현조인 李琯, 李幼洙와 五賢과의 관계를 거론하며 家學의 연원을 은영 중에 자부하고 있는 것이다. 기문 말미에서는 본인이 다행히 五賢 중 한 분인 金宏弼이 講道했던 고을에 부임하게 되었다며, 향후 후학들이 觀感하는 바가 있기를 당부하고 있다.
자료적 가치
본 자료는 수령이 향교 유림들에게 학문을 장려하기 위해 작성한 기문이다. 조선시대 향교는 지방의 공립교육 기관으로 수령의 각별한 관심 하에 운영되고 있었다. 특히 興學은 考課와 관련된 것이기에 뜻있는 수령이 부임할 때 마다 향교 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거나, 본 기문을 작성한 현풍현감 이정두처럼 향교 유림들에게 학문을 권장하기도 했던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65년 이정두(李廷斗) 「향교동국유림기(鄕校東國儒林記)」

鄕校東國儒林記
惟我東方雖僻在海外服箕子之敎被英祖之化使
孔孟程朱之學晦而復明三綱五常之道數而復叙束一世
於禮法名敎之中漢京嶺鄕五賢相繼有洙泗濂洛之風

後學蔚興抱經仗野往往有人傑鉅儒賢磊落相望理
氣之辨典禮之論千言萬語各守己見東方儒林之盛雖
不能悉記然其門路之互相出入一時之從遊彬其學門之淺深
高下百世之公議堂堂此非後生末學耶敢與議然以家學
淵源則先祖順天〖川〗君渾溪先生之於宋木翁瑄權石塘恢
鄭藥畹淑如孔顔曾關之傳也木翁石塘藥琓之於先祖
梧洲公如曾思再傳耶梧洲公之於李梅山夏鎭吳龜沙
梃一
閔雙梧點如思孟再傳也豈不盛哉昔先梧洲先生
早與雪翁眉老同學於宋木翁權石塘鄭藥畹
仁孝間黨議稍年之時始遊太學處己謙約持論公平其一
時德望爲多士耶推以爲家庭之訓足以模範一世權艮隱
先生曰公才地雅望爲儕流耶推服持綱序庠領䄂儒林一
疏抗言以拂流講雖見忤於時而扶植斯文之功公實有焉
誠哉是言也其使後學有耶興起也柳亦爲子孫家學也
嶺南鄒魯之鄕也五賢我東方道學之祖也先祖
順天〖川〗先生卽五賢淵源也欲學孔孟程朱必先學五賢欲
學五賢必先學先祖則庶乎其不差矣入自五賢門路卽可
以溯閩洛仰泰山矣是豈阿好哉蓋天下處假成風無公議

久矣有侯乎百世以後庶可定也今幸以莅任於寒暄堂先
講道之鄕百世之下爲後學之觀感也故於是記
上之二年乙丑正月日
後學縣監完山李廷斗謹記
高宗二年西紀一八六五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