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19년 성대로(成大魯)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WZ.1819.2771-20140630.Y14110070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중수기
작성주체 성대로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작성시기 1819
형태사항 크기: 38 X 27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현풍향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상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19년 성대로(成大魯)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819경상도(慶尙道) 현풍현(玄風縣) 소재 현풍향교(玄風鄕校)의 중수(重修) 기록으로, 본 자료는 1914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으로 편입된 현풍향교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사적록(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는 1819현풍향교 건물을 새롭게 중수한 후, 지역 유림이었던 성대로(成大魯)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글자는 곽수익(郭壽翼)이 쓴 것이다. 본문에는 1819년 향교 건물이 중수되는 과정을 간략히 언급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1819년의 지역 유림들이 향교 건물을 살펴보았는데, 기둥과 서까래는 썩고, 기와는 무너지기 일보 직전이며, 몇몇 부속 건물은 비바람에 전복되어 여기저기 흩날리는 지경이라며 매우 안타까워했다고 한다. 그래서 유림들이 각자 자금을 모금하여 공사 대금을 마련하였고, 당시 현풍현감(玄風縣監)이었던 이탁원(李鐸遠)의 지시를 받아 공사를 시작하여, 그해 3월에 환안제(還安祭)를 거행하게 되었다며 중수 경위를 밝혀 놓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19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 건물을 重修한 후, 중수 경위와 의의를 기록한 玄風縣 출신의 유학자 成大魯의 重修記
事績錄 玄風鄕校
자료의 내용
1819慶尙道 玄風縣 소재 玄風鄕校를 重修 한 후, 현풍현 출신의 유학자 成大魯가 記하고, 郭壽翼이 書한 重修記다. 본 자료는 1914慶尙北道 達城郡으로 편입된 현풍향교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事績錄』는 1758년부터 1990년까지 현풍향교 운영과 관련해서 작성된 각종 글들과 문서 등을 엮어 놓은 것이다. 1819년의 「鄕校重修記」는 그 중에서 세 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성대로가 記한 「鄕校重修記」는 1819현풍향교가 重修되는 경위와 의의를 언급해 놓았다. 우선 「鄕校重修記」에서는 지난 1758玄風縣監 金光泰에 의해 향교 移建이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당시 향교 건물이 퇴락하자, 김광태와 지역 유림들은 그 원인으로 입지 조건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위치로 향교를 이건했던 것이다. 이때의 이건 과정에 대해서는 『事績錄』에 수록된 「大成殿重修上樑文」과 「聖廟移建記」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는데, 두 편 모두 김광태가 작성하였다. 향교 이건 후 오랫동안 비바람으로 입는 손상이 과연 적었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 李鐸遠현풍현감으로 재임하고 있는데, 백성을 너그럽게 위무하고 선비들을 예로 대하며, 소송이 줄어들고 오랜 폐단이 없어지고 있다며 그 업적을 칭송하고 있다. 이탁원1816년부터 1820년까지 현풍현감을 역임했던 인물로 1819년의 향교 중수를 지시했던 인물이다. 이 무렵 학생들이 향교를 奉審하였는데, 東廡의 기둥과 神門의 서까래가 썩었으며, 明倫堂의 기와는 기울어지고, 東齋와 西齋의 처마가 무너져 있는데다, 바람에 향교의 齋寮 수 칸이 전복되어 여기저기 흩날리고 있는 모습을 보고 매우 안타까워했다고 한다. 이에 지역 유림들이 重修를 모의하여 공사 자금을 모금하였고, 현풍현감 이탁원이 자신에게 공사의 관장을 맡겼다며, 중수 경위를 밝혀 놓았다. 그리고 중수 공사를 진행하는데 있어 移安祭는 2월 6일에 거행했다고 한다. 이안제 이후 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썩은 기둥은 새롭게 세우고 서까래의 꺾임은 바로 잡았으며, 기와는 보수하고 庖와 庫는 예전처럼 띠 집으로 만들었다. 공사가 끝나고 3월 20일 還安祭가 거행되었는데, 많은 유생들이 서로 기뻐했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성대로는 여러 유생들에게 옛날에도 改修하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자금이 없어 이루지 못하였으나, 다행히 지금 이루어 내었으니 자제들로 하여금 향교에서 열심히 학문을 닦도록 이끌 것을 당부하였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 운영의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현풍향교에서 성대로를 비롯한 지역 유림들은 향교 중수를 위한 자금을 모았지만, 현풍현감이었던 이탁원의 지시를 받은 이후에 향교 건물을 중수하였다. 이는 실질적으로 향교가 지방 유림들 주도로 운영되고 있었지만, 지방 공립교육기관이었기 때문에 관권의 결정과 협조 하에 통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819년 성대로(成大魯)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鄕校重修記
學必待人而與非其人則學無以歟此相須之理也
奧在戊寅知縣金候光泰爲多士移建學舍而歷年
久不無風雨之受傷每爲一鄕之憂何幸今候李公
鐸遠
好學有文而適莅玆邑寬以撫民禮以待士數
年間政淸訟簡宿廢方興諸學祗謁審視學舍東
廡之朽棟將祠神門之腐椽欲摧明倫堂瓦傾而雨
漏東西齋簷圮而風打齋寮數間顚覆不起徘徊咨
嗟慨念不已於是丞謀重修控按使勸誌儒裒集錢鈔
凡數百餘婚也命余掌重修事二月初六日因享移安而
承候指敎從事董於是工樂爲用民事廡棟之
朽敗者易而新之門椽之摧折者備而葺之其瓦齋補以
抲庖庫茅舍依舊復立不敎月學貌重新三月二十日候斤

于學還安禮仍升于堂揖諸生而進詩賦列邊豆以落之
誠吾鄕盛事也余與鄕人相賀高且勉曰昔學之頹敝也
議改修而鄕貧財遺有志未就今幸大順成蓋其時有待
爲而候安能如是耶然則今日之爲鄕儒者久自
慯勵衛護學舍崇禮義黜浮薄使鄕子弟日月經誦於
斯學則庶不吾候與學之本意而亦豈非吾候
之耶望於鄕多士咸曰是于記
上之二十年己卯三月日鄕後學成大魯
郭壽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