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97년 장석윤(張錫胤) 「시서(詩序)」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6+KSM-WZ.1797.2771-20140630.Y141100702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서
작성주체 장석윤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작성시기 1797
형태사항 크기: 38 X 27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현풍향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상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97년 장석윤(張錫胤) 「시서(詩序)」
1797경상도(慶尙道) 현풍현(玄風縣)현감(縣監) 장석윤(張錫胤)이 작성한 서문(序文)이다. 본 서문은 1914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으로 편입된 현풍향교(玄風鄕校)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사적록(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장석윤의 서문에서는 당시 국왕이었던 정조(正祖)1797년 전국에 반포한 『향례합편(鄕禮合編)』에 대해 언급해 놓았다. 이 책은 옛 법을 되찾고 백성의 교화를 위해 향촌에서 실시할 향음주례(鄕飮酒禮), 향사례(鄕射禮), 향약(鄕約) 등을 수록한 것이다. 이때 현풍현에는 모두 세 편의 『향례합편』이 반포되었었다. 이에 현풍현감(玄風縣監) 장석윤은 지역 유림 80여 인과 함께 현풍현에 소재한 태고당(太古堂)에 모여, 『향례합편』 수록 의례들에 대한 준수를 약속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의의를 기리는 본 서문을 작성하게 된 것이다.
『鄕禮合編』,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97慶尙道 玄風縣縣監 張錫胤太古堂에서 지역 유림들과 『鄕禮合編』의 의례 시행을 약속한 뒤 작성한 序文
事績錄 玄風鄕校
자료의 내용
1797慶尙道 玄風縣에서 작성된 序文으로 작성자는 당시 玄風縣監이었던 張錫胤이다. 그는 1796년부터 1799년까지 玄風縣監으로 재임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본 자료는 1914慶尙北道 達城郡으로 편입된 玄風鄕校에서, 1990년 필사본으로 간행한 『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事績錄』은 1758년부터 1990년까지 현풍향교 운영과 관련해서 작성된 각종 글들과 문서 등을 엮어 놓은 자료다. 1797년의 「詩序」는 그 중에서 스물세 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서문에서는 정부에서 서울과 京外의 郡縣에 반포한 『鄕禮合編』에 대해 언급해 놓았다. 『鄕禮合編』은 1797正祖가 옛 법을 다시 일으키기 위해 전국에 반포한 것이다. 현풍현에 모두 세 편이 반포되었는데, 『鄕禮合編』에는 鄕飮酒禮, 鄕射禮, 鄕約 등이 수록되어 있어, 이것의 시행을 두고 장석윤과 지역 유림들이 현풍현에 소재한 太古堂에 모였다고 한다. 모두 80여 인의 지역 유림들이 모였으며, 이 중 郭氏는 9명인 것도 세주로 부기해 놓았다. 이 자리에서는 『鄕禮合編』에 수록된 옛 법을 잘 준수하겠다는 이야기가 오갔으며, 그 의의를 기리는 序文을 장석윤이 작성하게 된 것이다.
자료적 가치
鄕禮合編』은 교화를 위해 정조가 전국에 반포한 것이다. 이에 현풍현의 수령과 지역 유림들이 『鄕禮合編』에 수록된 의례 시행을 위해, 즉각 모임을 가졌음이 나타난다. 이는 정조 연간 교화 정책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鄕禮合編』,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90년 간행 경상북도(慶尙北道) 달성군(達城郡) 현풍향교(玄風鄕校) 『사적록(事績錄)』 수록 1797년 장석윤(張錫胤) 「시서(詩序)」

詩序
也樂興人同絧之以節文實
有二載恭篤于文敎以增光然國家承平亦奮矣

園之虞閭里衛巷恬戱以卒安或幾序委靡而弛禮
鄕合編三編頒京外郡縣俾鄕父老子弟用務間時
比年農休老序長幼辨隆卑導俗也孟冬之月且在
厥式於是長速鄕之儒士八十餘人以爲賓【郭氏九】又以
其嫺辭者爲約之焉乃席于太古之堂欽孔踐洗奠
有觀酌晬之可以醸容涵
少長之優游夷曠浩曼宣淺敦行無雅頌之復作旣事
在謁之又難其意而爲序云
月日太古軒主人張錫胤
西紀一七九七年正祖十八〖二十一〗年